육상체계 불안해지는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

22.12.01. 00:40
https://milidom.net/miliboard/1368495
며칠전 LAH글을 자세히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출처 - https://www.dapa.go.kr/dapa/na/ntt/selectNttInfo.do?bbsId=326&nttSn=42658&menuId=678
'22.11월 방추위에서 LAH 외에도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에 대해서도 구매계획안을 의결했습니다.
출처 - 본인작성, 정보공개포털 및 국정감사, 국회국방위 회의록 등 자료 활용
선행연구 당시에는 3조 1,797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나, 실제 예산은 3조 3.027억원이 반영되어서 선행연구보다 비용이 1,230억원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죠.
그리고 밀리돔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군 ROC에 가장 근접하는 기종은 AH-64E입니다. 심지어 AH-64E도 군이 최초로 요구했던 ROC는 미치지 못함을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적이 있죠.
출처 - 본인촬영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서도 기종은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AH-64E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이 사업이 순조롭게 가진 않을 듯합니다.
출처 - 정보공개포털, '22.7월 기준
정보공개포털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보잉에서는 '21.3월 제시한 가격 대비 '22.6월 3,600억원이 더 필요하다는 내용을 방사청에 보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1.3월에 제시된 비용이 얼마인지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단순 증가액인 3,600억원만 보면 절대 쉽게 사업이 흘러가진 않을 것으로 보이네요.
또한 경쟁입찰을 위해 Bell에게도 문의한 결과 대형공격헬기 1차가 AH-64E로 선정되었으니 AH-64E를 사면되지 굳이 AH-1Z를 사려는 이유를 물어보는 것으로 보아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여 경쟁입찰이 되기 어려운 분위기가 점점 갖춰지고 있습니다.
아, 혹은 KAI의 MAH도 언급하실 분이 있어서 잠시 언급하자면 선행연구에서는 수리온 기반 공격헬기의 경우 군 ROC를 만족하기 어렵고, KAI에서 대형공격헬기2차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회신했다고 선행연구 보고서에 명기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이 비용 / 경쟁입찰이 어려워짐 등 여러가지 대내외적 상황이 좋게 흘러가진 않아 사업이 흔들릴 수 있는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22.12.01. 00:39
https://milidom.net/miliboard/1368495
며칠전 LAH글을 자세히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출처 - https://www.dapa.go.kr/dapa/na/ntt/selectNttInfo.do?bbsId=326&nttSn=42658&menuId=678
'22.11월 방추위에서 LAH 외에도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에 대해서도 구매계획안을 의결했습니다.
선행연구 당시에는 3조 1,797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나, 실제 예산은 3조 3.027억원이 반영되어서 선행연구보다 비용이 1,230억원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죠.
그리고 밀리돔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군 ROC에 가장 근접하는 기종은 AH-64E입니다. 심지어 AH-64E도 군이 최초로 요구했던 ROC는 미치지 못함을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적이 있죠.
출처 - 본인촬영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서도 기종은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AH-64E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이 사업이 순조롭게 가진 않을 듯합니다.
출처 - 정보공개포털, '22.7월 기준
정보공개포털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보잉에서는 '21.3월 제시한 가격 대비 '22.6월 3,600억원이 더 필요하다는 내용을 방사청에 보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1.3월에 제시된 비용이 얼마인지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단순 증가액인 3,600억원만 보면 절대 쉽게 사업이 흘러가진 않을 것으로 보이네요.
또한 경쟁입찰을 위해 Bell에게도 문의한 결과 대형공격헬기 1차가 AH-64E로 선정되었으니 AH-64E를 사면되지 굳이 AH-1Z를 사려는 이유를 물어보는 것으로 보아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여 경쟁입찰이 되기 어려운 분위기가 점점 갖춰지고 있습니다.
아, 혹은 KAI의 MAH도 언급하실 분이 있어서 잠시 언급하자면 선행연구에서는 수리온 기반 공격헬기의 경우 군 ROC를 만족하기 어렵고, KAI에서 대형공격헬기2차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회신했다고 선행연구 보고서에 명기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이 비용 / 경쟁입찰이 어려워짐 등 여러가지 대내외적 상황이 좋게 흘러가진 않아 사업이 흔들릴 수 있는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https://milidom.net/miliboard/1368495
며칠전 LAH글을 자세히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출처 - https://www.dapa.go.kr/dapa/na/ntt/selectNttInfo.do?bbsId=326&nttSn=42658&menuId=678
'22.11월 방추위에서 LAH 외에도 대형공격헬기 2차 사업에 대해서도 구매계획안을 의결했습니다.
출처 - 본인작성, 정보공개포털 및 국정감사, 국회국방위 회의록 등 자료 활용
선행연구 당시에는 3조 1,797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나, 실제 예산은 3조 3,027억원이 반영되어서 선행연구보다 비용이 1,230억원이 늘어났음을 알 수 있죠.
그리고 밀리돔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군 ROC에 가장 근접하는 기종은 AH-64E입니다. 심지어 AH-64E도 군이 최초로 요구했던 ROC는 미치지 못함을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적이 있죠.
출처 - 본인촬영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서도 기종은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AH-64E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이 사업이 순조롭게 가진 않을 듯합니다.
출처 - 정보공개포털, '22.7월 기준
정보공개포털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보잉에서는 '21.3월 제시한 가격 대비 '22.6월 3,600억원이 더 필요하다는 내용을 방사청에 보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1.3월에 제시된 비용이 얼마인지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단순 증가액인 3,600억원만 보면 절대 쉽게 사업이 흘러가진 않을 것으로 보이네요.
또한 경쟁입찰을 위해 Bell에게도 문의한 결과 대형공격헬기 1차가 AH-64E로 선정되었으니 AH-64E를 사면되지 굳이 AH-1Z를 사려는 이유를 물어보는 것으로 보아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에 큰 관심이 없는 것으로 보여 경쟁입찰이 되기 어려운 분위기가 점점 갖춰지고 있습니다.
아, 혹은 KAI의 MAH도 언급하실 분이 있어서 잠시 언급하자면 선행연구에서는 수리온 기반 공격헬기의 경우 군 ROC를 만족하기 어렵고, KAI에서 대형공격헬기2차에 불참하겠다는 의사를 회신했다고 선행연구 보고서에 명기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대형공격헬기2차 사업이 비용 / 경쟁입찰이 어려워짐 등 여러가지 대내외적 상황이 좋게 흘러가진 않아 사업이 흔들릴 수 있는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댓글 24
댓글 쓰기
이걸 위해서 장갑차량도입사업 스케쥴도 조절하면서 한거죠
워낙 육방부라고 욕을 먹어서 홍보를 자제한거 아닌가 싶네요
해군,공군이 대규모 도입사업을 앞두고 있으니 말이죠

일단 육군은 아파치를 100대 채우는 것을 원하고 있지만은 일단 상황을 두고봐야겠군요

이전에 아파치 도입할 때, 이것저것 옵션을 꽤 빼서 도입한거로 기억하는데, 이번에는 좀 채워서 가져오려나요? 헬파이어도 단종되고 무장도 좀 바뀌려나요?


일단 AH-6U(500MD 무인화버전)과 MQ-1C 제어기능은 빠져있습니다
보잉버전이 아닌 대한항공에서 500MD를 무인화했고 현재 시험비행은 성공했습니다
근데 이걸 AH-64에 연동을 할수 있을지는 아직 미정입니다 그리고 차기 군단급 무인기를
여기에 연동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롱보우 헬파이어는 미국은 JAGM으로 한국은 현궁 파생형으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단 이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1발의 양산 단가를 얼마까지 내릴수 있냐고 문제입니다
헬파이어가 발당 최소 7만달러~20만달러인데 현재 JAGM의 가격이 32만달러여서 얼마까지
떨어질가 문제구요 심지어 브림스톤 2의 가격도 10만~20달러이니 얼마나 비싼 가격인지 아시겠죠
현궁도 현재 10~12만달러정도인데 파생형 가격이 얼마나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차기 군단급 무인기에 무인 500MD를 붙인다는 건가요?
AH-64E+대한항공제 무인 500MD(AH-6U),AH-64E+군단급 무인기(MQ-1C)
그런데 개발은 어떻게든 할수 있을거 같은데 인티가 쉬울런지는 모르겠네요


사실 LAH와 500MD가 수행하는 임무는 LAH가 수행하게되고, AH-64는 신규 임무를 부여받았죠.
최소한 포병전력이라도 쥐어주고 좀 여유있으면 미군 CAS 끌어다주고 했을텐데요
확실히 K1도입되고 옆중대 소대장이 2대로 여단 ATT에서 옆대대 M48 40대를 초토화 시켜서 말이죠... 산악뚫고 가서 정찰하고 그대로 산넘어서(훈련장소 이탈!!!)그대로 언덕에서 쏴대니깐 호프만 쓰는데도 제대로 위치 못찾고 위왕좌왕 해서 통제관이랑 여단장이 결과보고 흥미진진해 했다는........
여단장님이 3차중동전쟁의 교훈을 잊으셨나보군요
맨들러장군과 면담을 주선해야 되나(그분 돌아가시지 않았나요??)



시가전에 대한 기갑전력의 피해 특히 장갑차량의 피해가 엄청나다라는 사실입니다.
기본전술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라는 것이죠 이제 전장에 무인장갑차량 혹은 무인드론과 함께 공중 헬리본의 지원이 시가전을 중심으로 가야 한다라는 사실입니다. 예 대전차무기의 발달과 더불어서 기갑전력에 보병부대가 대항하는데 모자람이 없다라는 사실입니다. 신형전차에서는 KF51을 선보인 독일이지만, 실상 보면 대량생산체계와 더불어서
시가전의 상정한 모델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문제는 전쟁을 하더라도 시가전에서 상당한 피해를 볼수가 있고 심지어 적시가지에 대한 전투능력이 마리우풀에서의 교전을 볼때 시가전상정의 보병부대의 점령은 사실상 엄청난 전력을 투입해야 한다라는 사실을 절실히 깨닫게 되는 순간입니다.
그것에 AH64E 라는 기종의 수량이 과연 대량으로 필요할까 하는 의문점이 드러납니다.
결국 보병간의 전투에 시가전은 이제는 기갑전력의 투입은 상당히 연구해볼과제입니다.
특히 시가전에서 보병의 이동은 전부 하수도로 대규모로 이동하고 신시가지에대한 하수도정비사업으로 인한 상황과 함께 지하철 등. 관련 지하관계시설까지 보자면 시가전의양상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라는 사실입니다.
시가진입후에 그날저녁에 바로 발밑의 하수도 두껑열고서 RPG를 쏴대는 통에 사실상 시가지진입이 쉽지 않다라는것을 쉽게 깨닫게 됩니다. 그것도 우크라이나는 구시가지였던 상황이였고 말이죠.
현재는 시가지로서 헤르손이외에는 나머지는 대평야지대로 전장을 옮기는것도 의외로 LAH 같은 시가전 지원전력이 이제는 절대적으로 필요할지도 모른다라는 생각입니다.
거기에 시가전에서 기갑세력의 진입에 대한 전술적인 부분은 드론을 이용한 엄청난 물량공세를 들여야하고
지상뿐만 아니라 지하까지 관련해서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그대로 당한다라는 사실입니다.
항상 기갑전력은 시가진입후에 바로 빠져나와야 하는 상황에 처한것이죠.
예전에야 대전무기가 일반화되지 못해서 보병부대에 대한 지원이 극히 부족했던 상황이였기에 그렇다 쳐도.
지금은 아니라는 소리입니다.
현재 미군도 급히 AH64E 관련한 부분에서 최종개량을 마치고서 퇴역을 암시한 상황입니다. 미래전에 대비하겠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앞으로 시가전의 진입에 대해서 새로운 전술적인대처를 하지 않는이상 힘들겁니다.
특히 신시가지 나 지하하수시설의 정비된 구역이라면 더욱더 말이죠.
예전 레닌그라드전투에서도 지하참호시설 과 더불어서 하수도시설에 대해서 엄청난 이동로를 확보해서 실질전장과 더불어서 후방전방할것없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고전을 했지만, 이제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시가전의 기갑전력의 진입은
완전히 사신모드로 바뀌게 된다라는 사실입니다.
결국 시가전에서 전장상황의 급변하는 상황판단을 제대로 해야하는데 그게 실시간으로 변화하니 힘들다라는 것이 현대시가전이 힘들다라는 사실입니다.
한반도의 상황에서는 무조건 진군해야 하는 입장에서 평양을 위시한 시가전에서 과연 빠른 진입이 가능한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하는 문제고 후에 중국과의 교전에서의 상황판단에 의한 국경이외의 진출에 대해서도 상당한 고민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결국 시가전의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면 주력전력은 주력보급기지의 빠른 타격으로 보급을 끊어야 하고,
시가전에서의 진입보다는 대치 상황에서 오히려 105MM 포의 견제사가 도움이될것이라는 것입니다.
거기에 전차보다는 헬기의 공중 상황 지원이 오히려 더효과적인 상황이고, 드론과의 접촉도 줄일수 있어서 경공격헬기의 존재는 실전에서 상당한 유용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현대전은 상당히복잡한 양상으로 들어갈듯이 보여집니다 경전차의 재등장이 요구되는 시점이기도하고.
드론전차의 등장으로 미국은 선보엿지만,
실질적으로 경전차의 등장 기존사실화되어가는상황입니다. 이미 기동차륜형차량에 의한 장갑차량도 미국에서도 아프칸에서 철저한 실패도 맛보았고, 실제적인 점령지를 시가전으로 상정하는 전투가 당연시 되고 있습니다.
AH-64E V6 도입이겠죠? 육군이야 흑표에 LAH 계획대비 수량도 조정하고 밑에 올려주신 것 처럼 어떻게 하든 양산 단가 절감에 최선을 다하고 뇌피설이지만 LAH가 너무 뜨면 아파치 도입에 악영향을 줄까 다른 국산(?) 무기보다 홍보도 잘 안한것 같던데. 보잉상태도 그렇고 걱정되네요. 이런 난관을 헤치고 원안 대로 도입되면 AH-64E 72기에, LAH 178대. 육군의 수준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