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공군 F-35A의 드래그 슈트

23.02.25. 19:14
(노르웨이공군 F-35A 몬타지)
노르웨이공군 F-35A를 보면 국군을 포함한 다른 국가의 F-35와 외형에서 다른점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다른 국가 사양에는 없는 착륙 시 신속한 기체 감속을 위한 제동 낙하산(drag chute)입니다.
노르웨이는 영토 일부가 북극인데다 겨울이 길은 저온의 운용환경을 가진 국가입니다.
이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착륙 후 활주거리를 최소화 해주는 드래그 슈트를 기존의 F-16에도 장착하여 운용하였습니다.
F-35A용 제동 낙하산 포드는 Fokker라는 저명한 네덜란드 국적의 항공우주 업체가 생산 및 납품 중입니다.
네덜란드는 약 천백만불의 개발비를 해당 능력개발에 투자했지만 결국에는 미도입으로 결정했습니다.
노르웨이공군 기체 외에는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공군 기체에 적용 예정입니다.
(네덜란드 기업의 F-35 부품 납품현황 인포그래픽)
('18년 2월 16일; 노르웨이 Ørland 공군기지 드래그슈트 시험)
('20년 2월; 노르웨이공군 F-35A 아이슬란드 도착 중 드래그슈트 사용)
('17년 미국 내 미 공군 기체 'AF-2' 사용 시험)
미 공군과 록히드마틴은 '20년부터 시작된 F-35A의 알래스카 아일슨(Eielson) 공군기지 배치를 대비해 '17년 말부터 현지 시험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노르웨이공군을 위한 극지방 운용성 인증을 위함이기도 했습니다.
(좌측 F-16 / 우측 F-35A 드래그슈트 스위치)
록히드마틴 홈페이지에 탑재된 설명에 따르면 전면 조작패널 좌측 상단에 위치한 드래그슈트 스위치를 올리면 케블라 소재의 낙하산이 전개되고, 기체가 감속됨에 따라 동일 스위치를 내리면 낙하산이 기체로부터 분리된다 합니다.
노르웨이공군 참모 인터뷰에 따르면 예상과는 다르게 F-35가 F-16보다 더 뛰어난 결빙 상태의 활주로 운용 능력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이는 F-35가 F-16보다 더 무겁고 더 넓은 랜딩기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2년 초, 노르웨이공군은 기존의 F-16AM/BM을 전량 퇴역시키고 F-35A로 임무를 승계시켰습니다.
노르웨이 F-35A FOC 선포 계획시기는 '25년도입니다.
https://youtu.be/mEzn7bc_kOg
https://youtu.be/XuWX5Y1oiMQ
https://youtu.be/q5aPvJakASc
https://youtu.be/--ktjhhKrps
https://youtu.be/5VP6c7QHwoM
https://twitter.com/thef35/status/935190477376176128
https://www.eielson.af.mil/News/Photos/igphoto/2001849297/
https://twitter.com/theF35JPO/status/1235581368421232640
https://twitter.com/Kampfly_no/status/965916838017355777
https://www.nidv.eu/platform/nidv-industrieel-f-35-jachtvliegtuig-platform/
https://skiesmag.com/press-releases/lockheed-martin-f-35a-icy-runway-testing-underway-alaska/
https://www.f-16.net/forum/viewtopic.php?f=60&t=16480&sid=ca5e501cee0c2e51b6eec4fb6eca0a6f&start=195
https://www.f35.com/f35/news-and-features/the-f35a-drag-chute-system.html
https://www.regjeringen.no/no/dokumentarkiv/regjeringen-solberg/aktuelt-regjeringen-solberg/fd/pressemeldinger/2018/historisk-forste-gang-kampflyet-f-35-benyttet-bremseskjerm-i-norge/id2590220/
(노르웨이공군 F-35A 몬타지)
노르웨이공군 F-35A를 보면 국군을 포함한 다른 국가의 F-35와 외형에서 다른점이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다른 국가 사양에는 없는 착륙 시 신속한 기체 감속을 위한 제동 낙하산(drag chute)입니다.
노르웨이는 영토 일부가 북극인데다 겨울이 길은 저온의 운용환경을 가진 국가입니다.
이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착륙 후 활주거리를 최소화 해주는 드래그 슈트를 기존의 F-16에도 장착하여 운용하였습니다.
F-35A용 제동 낙하산 포드는 Fokker라는 저명한 네덜란드 국적의 항공우주 업체가 생산 및 납품 중입니다.
네덜란드는 약 천백만불의 개발비를 해당 능력개발에 투자했지만 결국에는 미도입으로 결정했습니다.
노르웨이공군 기체 외에는 핀란드, 덴마크 등 북유럽 공군 기체에 적용 예정입니다.
(네덜란드 기업의 F-35 부품 납품현황 인포그래픽)
('18년 2월 16일; 노르웨이 Ørland 공군기지 드래그슈트 시험)
('20년 2월; 노르웨이공군 F-35A 아이슬란드 도착 중 드래그슈트 사용)
('17년 미국 내 미 공군 기체 'AF-2' 사용 시험)
미 공군과 록히드마틴은 '20년부터 시작된 F-35A의 알래스카 아일슨(Eielson) 공군기지 배치를 대비해 '17년 말부터 현지 시험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노르웨이공군을 위한 극지방 운용성 인증을 위함이기도 했습니다.
(좌측 F-16 / 우측 F-35A 드래그슈트 스위치)
록히드마틴 홈페이지에 탑재된 설명에 따르면 전면 조작패널 좌측 상단에 위치한 드래그슈트 스위치를 올리면 케블라 소재의 낙하산이 전개되고, 기체가 감속됨에 따라 동일 스위치를 내리면 낙하산이 기체로부터 분리된다 합니다.
노르웨이공군 참모 인터뷰에 따르면 예상과는 다르게 F-35가 F-16보다 더 뛰어난 결빙 상태의 활주로 운용 능력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이는 F-35가 F-16보다 더 무겁고 더 넓은 랜딩기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2년 초, 노르웨이공군은 기존의 F-16AM/BM을 전량 퇴역시키고 F-35A로 임무를 승계시켰습니다.
노르웨이 F-35A FOC 선포 계획시기는 '25년도입니다.
https://youtu.be/mEzn7bc_kOg
https://youtu.be/XuWX5Y1oiMQ
https://youtu.be/q5aPvJakASc
https://youtu.be/--ktjhhKrps
https://youtu.be/5VP6c7QHwoM
https://twitter.com/thef35/status/935190477376176128
https://www.eielson.af.mil/News/Photos/igphoto/2001849297/
https://twitter.com/theF35JPO/status/1235581368421232640
https://twitter.com/Kampfly_no/status/965916838017355777
https://www.nidv.eu/platform/nidv-industrieel-f-35-jachtvliegtuig-platform/
https://skiesmag.com/press-releases/lockheed-martin-f-35a-icy-runway-testing-underway-alaska/
https://www.f-16.net/forum/viewtopic.php?f=60&t=16480&sid=ca5e501cee0c2e51b6eec4fb6eca0a6f&start=195
https://www.f35.com/f35/news-and-features/the-f35a-drag-chute-system.html
https://www.regjeringen.no/no/dokumentarkiv/regjeringen-solberg/aktuelt-regjeringen-solberg/fd/pressemeldinger/2018/historisk-forste-gang-kampflyet-f-35-benyttet-bremseskjerm-i-norge/id259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