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주제로 글을 올리는 곳입니다. (단, 이용약관 필독)
기타

K2C1에 대해서 한가지 확인한 사항..

제주 2208

0

58




    


profile image
AOC 2016.01.20. 17:14

일체형 이라고요? 음.. 변형이나 열전도 문제가 걸리네요. 물론 생각은 하고 만들었겠지만. 예전에 사격하다가 총열덮개 고정나사에 화상 입은적을 생각하면 ㅎㄷㄷㄷ

물늑대 2016.01.20. 17:28
레일이 총열과 일체화되었다고요? 외국에서도 그런 사례가 있었던가요? 보통 총열덥개와 레일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아는데요.
eceshim 2016.01.20. 17:46

 

어떤 방식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뒤에 나오는 LMT사의 AR-15는 상부리시버를 통짜 가공을 해서 판매를 하고 있긴합니다. 

이런 방식인지 아니면 다른건지는 실물이 나와봐야겟네요. 

eceshim 2016.01.20. 17:52
폴라리스

일부 시판 AR 계열 총들보면 free floating barrel을 구현하기 위해 상부리시버를 핸드가드랑 같이 통짜로 한방에 찍어낸 제품들이 많습니다. 
제주님이 말씀하신게 이런거라면
cheering_minions.gif

 

우리 국방부가 달라졌어요!!!!!!!!!!

포마당 2016.01.20. 17:56
총열과 일체형이 되었다면 K-201은 어떻게 장착할까요. 201용 K2는 그대로 놔둘려나
eceshim 2016.01.20. 17:59
포마당

17195-000.jpg

 

이렇게 만들겟죠. 그리 어려운것도 아닌걸요. 

캬오스토리 2016.01.21. 16:40
eceshim
난 이상하게 저런것들을 총에 달고 싶더라.... ^^
Steam0904 2016.01.21. 20:54
캬오스토리
유탄발사기 들어본 입장으로는 !)#*#&@ 입니다. ^^
DAZE 2016.01.20. 18:01
어서 실물을 보여줬으면...
제주 글쓴이 2016.01.20. 18:46
본게 저게 전부라 정확히 뭔뜻인지는 글쓴 저도 모르지만 확실한건 기존처럼 신축식 개머리판에 플라스틱 총열덮개만 레일 판걸로 바꾸고 자 신형이다 기뻐해라 이럴 걱정은 안 해도 될 듯. 프리 플로팅까진 바라지도 않음.
eceshim 2016.01.20. 18:48
제주
총렬에 레일 팔리는 없고. upper receiver랑 핸드가드랑 총짜로 사출해서 가공하는가 봅니다. 그래야 말이 되거든요.
그러면 프리플로팅 배럴도 꿈은 아닙니다. ㅇㅅㅇ;
barrel과 receiver간 결합만 어떻게 단단하게 하면 되죠.
제주 글쓴이 2016.01.20. 19:12
eceshim
저도 저리 본거라 저리 적기는 했는데 총열에 레일 팔 리는 없을거라 생각하고, 기존 총열덮개와 호환이 안된다는 부분 생각하면 말씀하신것처럼 상부리시버 일체형을 잘못 말한게 아닐까 합니다. 다른 가능성은 생각이 안 나네요. 글자 그대로 총열에 레일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할거고..;; 자세한건 나와봐야 알겠지만. 근데 K-2 같은 작동방식의 총은 프리 플로팅 배럴은 힘들다고 들었는데 아닌가 보죠? 총기 매커니즘 쪽은 완전히 알못이라..
eceshim 2016.01.20. 20:46
제주

롱 스트로크 피스톤을 사용하는 K-2의 경우 가스피스톤이 참 커서 프리 플로팅으로 만든다 한들 이놈 행정운동 때문에 그 효과가 떨어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스 직동식이나 숏 스트로크에 주로 적용하죠. ㅇㅅㅇ;

사실 이건 문제중년님이 달인이신지라. 이분에게 물어 보면 되는데. 요즘 은둔 생활중이시라.

(이참에 Mi-Dork, 폴라리스, minki 님께서 영입이나 한번.....후다다다닥=3=3=3=3=3=3)

profile image
AOC 2016.01.20. 20:59
eceshim
문제중년님 블로그 가끔 나타나실때 직장생활하면서 빡치는 얘기 올리시는거 보니까. 은둔하실수 밖에 없겠더라구요 ㅠㅠ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16.01.20. 21:29
eceshim
지인이고, 전화번호는 알지만, 요즘 많이 바쁘신듯하네[요...
profile image
ssn688 2016.01.21. 17:31
제주
엄밀하게 말하면 가스관이 총열에 붙어있는 가스압작동식 반자동/자동소총은 플로팅 배럴에 어긋납니다. 볼트액션소총에서나 해볼 만한...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library/policy/army/fm/3-22-9/image1616.jpg (개머리판 결합의 문제도 있긴 한데 제 지식이 짧아서 패스:::) 그래서 보통 자동소총에서의 프리 플로팅은 총열덮개가 총열과 어떠한 접점도 없는 정도를 의미하죠.
그렇다면 가스직결식이든 가스피스톤이든 프리 플로팅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만, 굳이 이렇게 하는 목적이 정밀도 향상인데(M-16A4 기준으로 100야드 탄착군이 4.5인치에서 2인치까지 향상된나요...), 총열 위에 진동을 유발하는 부품인 피스톤이 있는, 그것도 이동거리가 긴 풀 스트로크 가스피스톤이라면 프리 플로팅 해서 볼 이득이 있으려나 싶습니다. 프리 플로팅을 추구하느니 차라리 내구성과 제조비용절감을 추구하는 게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뭐, K-2도 개조하니까 M-16A4만큼이나 성능 향상이 있네!!라는 실험결과라도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eceshim 2016.01.21. 18:19
ssn688
제 기억이 맞다면 가스 직동식이 제일 이득 보고 그다음이 행정거리가 짧은 숏스트로크가 집탄률 향상이 있는데 롱스트로크는 그닥 재미를 못본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걸 문제중년님이 설명해준거 같은데 찾질 못하겟네요.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16.01.20. 19:07
K2C의 총열 일체형 레일이 뭘까? 하고 찾다가....
몇년전에 비웃음 샀던 개인별 맞춤형 개머리판에 대한 특허 자료를 찾았네요...
http://www.google.com/patents/WO2009125982A2?cl=en

특허란 그전에 없던 것일 뿐, 그것이 꼭 경쟁력이 있다는 건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번 떠올려봅니다.
eceshim 2016.01.20. 20:48
폴라리스
아 이거 예전 비X 사이트에서 봤던게 기억나네요. 당시 개발자분 태도가 가관이였죠.
신축식으로 사용하면 되지 않느냐. 보병 한명한명에게 개머리판을 주면 난중에 유지 관리나 차후 전역시 망실 되면 어떻게 할거냐? 예산은 어떻게 하실려고 등등등 비판점을 내놨더니.
혁신을 모르는 사람이 어쩌고 저쩌고. 군납비리 등등등
팝콘 뜯어먹기 좋은 싸움장이였죠.

아무튼 저게 틀린 소리는 아닌데. 신축식 개머리판이 있는 시점에서 저런건 필요 없죠
shaind 2016.01.21. 07:45
eceshim

특허 보니 가관이네요. 개발자 멱살잡고 2년마다 주인 바뀌는 총인데 보급도 안나오는 플라스틱 부품은 어쩔거냐고 묻고 싶어집니다. 발명하다가 선행기술조사 같은 건 안하나?

 

더 가관인 건 무려 PCT네요. 써도 우리나라에서밖에 안 쓰는 거 뭣하러 국제특허를...

eceshim 2016.01.21. 10:23
shaind
그때도 "M-4나 SCAR등에 신축식 개머리판이 있는데 뭐하러 이걸 개발하느냐. 차라리 이 데이터를 가지고 신축식으로 만드는게 낫습니다. "
라고 제안을 하니 역시 개발자분이 욕을 거하게 하셧던 기억이 나네요..........
profile image
호국의용사 2016.01.21. 16:51
이제 하나하나씩 K2C1소총의 실체가 드러나네요.
어디 배치되면 다시 토론하자는분이 이젠 디스 안하셔서 참 좋습니다.
eceshim 2016.01.21. 17:06
호국의용사
통짜 upper receiver 가공은 생각지도 못했네요. 괜히 ADEX에서 자신있는 발언한게 다 근거가 있던거군요.
결국 K-2C에 달린 레일은 향후 레일 테스트용이였다는게 이중 확인이 되네요.
profile image
호국의용사 2016.01.21. 20:02
eceshim
그날 하루종일 죽치고 있었더니 K2C 열쇠고리주시더라구요 ㅋㅋㅋ
난나얏 2016.01.21. 21:12
eceshim
헐.... k2c1이 진짜 eceshim님 말씀처럼 나오는 걸까요 ㄷㄷㄷ
근데 저렇게 통짜로 찍어 나오면 총 무게가 무거워 지지 않나요?
안승현 2016.01.21. 21:17
난나얏
오히려 가벼워지죠. 총열 연결부위 강화 시킬필요도 없고, 그립 연결부위의 흔들림과 내구성을 위해 강화한 부분을 상당부분 제거해도 되거든요.
쉽게 부품수가 줄어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계는 단순해질수록 내구성이 늘어나고 가벼워지죠.
가공기술의 발달로 여러개의 부품을 연결하던걸 통짜로 깍아 낸다고 보심 됩니다.
난나얏 2016.01.21. 21:25
안승현
오오!
그럼 가공비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면에서 좋아지는거군요.
근데 만약 레일부분이 고장이 나면 리시버를 통째로 갈아야겠네요?
eceshim 2016.01.21. 21:32
난나얏

꽤 단단한 알루미늄 합금을 써서 어지간하면 안깨집니다.
그리고 일체형으로 만들면 움직이는 부분이 없어서 도트를 어디에든 달든 영점이 유지되죠.

안승현님 말씀에 좀더 추가하면 기존 AR-15이 플로팅레일을 적용할려고 상부리시버 총목 부분에 고정점 2~4개를 결합이 아주 단단한 나사로 고정하고 추가로 링들 덧대는식으로 결합을 하거든요. 그래도 움직이는 부분이 있고 태생적인 유격이 있어서 유지정비때 분해결합을 하면 영점을 다시 잡는다던가 뭐 그래야죠.

그래서 첨부한 동영상에 맨처음 카키색 총 핸드 가드 분해할때 제작자가 "이총 핸드가드 분해했다가 다시 결합했을때 영점을 다시 잡을 필요가 없다고 하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만 움직이는 부품은 뭐 움직이는 부품이죠" 라고 하는 거구요. 

아무튼 총목 부분에 결합을 강화하는 부분을 빼버리니 경량화에 이점이 있는거죠. 

아무래도 양도 많고 (K-2C까지 생각하면요, K-2C가 그모양으로 안나온다고 하긴 했으니까요) 이참에 정밀도도 챙길겸 이정도 가공비 상승은 감내하는가 봅니다. 

난나얏 2016.01.21. 21:38
eceshim
아~ 그렇군요. 여러모로 많은 장점을 가지는군요.
기대한대로 나오면 좋겠네요... ㅇㅅㅇ
요즘들어 국방부가 개인장비에 관심을 많이 두는 듯 싶네요.
안승현 2016.01.21. 21:37
난나얏
레일이 뒤틀리거나 깨질정도의 충격량이면 총열에도 영향을 줄 정도라...
어짜피 입고시키고 수리받아야 하는건 마찬가지 입니다.

생산 비용은 더 들지만 운용시 문제가 발생하면 통체로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수리시간이나 보급편의성은 올라가게 됩니다.
보급쪽에선 나사 하나가 추가되도 뒷단에선 엄청난 서류와 인력이 추가로 들거든요.

나사를 제외하고도 간단히 봐도 최소 3개의 큰 부품이 통합되어 1개의 부품으로 단일화 되면일단 서류양부터 확 줄어 듭니다.
돈은 좀더 들지만 앞으로 한국군은 인력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전투병력을 운용할수 있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작은 부분부터 감군상황에 맞춰 조금씩 바뀌어야 하는게 맞고요.
난나얏 2016.01.21. 21:41
안승현
약간의 비용을 더 부담하는 대신 더 많은 편익을 가져오게 되는군요.
국방부가 이제야 좀 시야가 트이는거 같네요.
eceshim님, 안승현님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냐고 2016.01.21. 19:35
총알못이라 아무것도 모르겠네요... 구체적으로 기존 K2A라고 알려진 총에 비해 어떤 부분이 발전한 건가요? 총열 일체형 레일은 무엇인지...
hotae12 2016.01.21. 19:47
냐고
위에 동영상 함 보시면 바로 이해되실듯!
eceshim 2016.01.21. 19:51
냐고
제가 첨부한 동영상에서 LMT사 AR-15 소총을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핸드가드까지 일체형으로 뽑아내면 움직이는 부분이 없어서 영점유지나 내구도, 경량화에 이점이 있습니다만 가공비는 더들어간다고 하네요.
냐고 2016.01.22. 01:01
eceshim
동영상을 보니까 그림이 그려지네요. 그런 고성능 레일을 단다니 이번엔 진짜 개념패치 하려나 봅니다.
안승현 2016.01.21. 20:29
냐고
쉽게 설명하면 M계열 소총은 하부파츠와 상부파츠가 나뉘는데 이놈은 상부파츠가 통짜입니다. 상부파츠 전체와 파츠상부 피카츄레일과 그립부 피카츄레일까지... 그냥 하나에요. 그만큼 가공하는데 비용이 더 들죠.

특히 총열과 총목부분을 강화 하지 않아도 흔들거리지 않아 영점유지가 영점 흐트러짐이 거의 없다는 장점과 부품 조립부가 줄어든 만큼 내구성이 상당히 많이 올라갑니다. 서블 뛰시면 가지고 있는 총을 세워서 총구잡고 좌우로 흔들어 보면 아마도 총열 - 총몸통 - 개머리 이 3개가 따로 흔들거리는걸 볼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제대로된 조준사격이 안되는거죠. 서블 에어소프트건은 상관 없지만 실총에선 보통 맛간 총이라는게 이런 총을 뜻하거든요.
냐고 2016.01.22. 01:03
안승현
오호... 고급 레일이군요.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K2C1은 확실히 전에 공개됐던 조잡한 K2A 사진과는 다른가 보네요.
profile image
호국의용사 2016.01.21. 22:07
제가 볼때 여기서 말하는 총열과 레일의 일체형은
플랫탑레일을 말하는것 같습니다.
총열에 레일을 깎을수는 없으나. 총몸에 레일을 깎은후 총열과 고정시켜 생산해버리면 일체형이 되는거죠.
K2C1은 정말 기대가 되는 총기입니다.
profile image
CVR(T) 2016.01.21. 23:01

그냥 숏스트로크 쓰는 일부 부품만 공유하는 완전히 새총으로 만드는게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profile image
호국의용사 2016.01.21. 23:06
CVR(T)
숏스트로크 방식이 현재 대세이고 좋지만.
작동방식이 다른 총기는 완전히 새총이기에.
운용교리부터 교범 훈련까지. 매우 번거롭기에 이정도만 하고 차기소총으로 넘어가는게 좋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CVR(T) 2016.01.21. 23:43
호국의용사
어차피 총몸도 새로 바꿀거면 이참에 가스튜브만 바꾸면 되는 작동방식 바뀌는것도 크게 상관될건 없을듯 합니다...
노루아트 2016.01.23. 20:28
죄송하지만 출저는 어디인가요 궁금한데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6947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41954
317 기타
normal
소녀A 16.01.29.12:40 0 989
316 기타
normal
안승현 16.01.29.10:02 0 453
315 기타
normal
22nd 16.01.29.09:53 +1 213
314 기타
image
eceshim 16.01.29.00:53 0 1334
313 기타
normal
mireu_won 16.01.28.21:58 0 1044
312 기타
image
은성호 16.01.28.19:20 0 1217
311 기타
normal
냐고 16.01.27.01:03 0 778
310 기타
normal
sunyoushine 16.01.26.06:50 0 914
309 기타
normal
필라델피아 16.01.25.23:50 0 2488
308 기타
normal
필라델피아 16.01.25.00:21 0 1115
307 기타
normal
22nd 16.01.24.16:04 +2 202
306 기타
image
22nd 16.01.22.21:53 +1 264
305 기타
normal
22nd 16.01.22.21:42 +1 347
304 기타
normal
Ya펭귄 16.01.22.20:38 +4 683
303 기타
file
eceshim 16.01.22.00:14 0 945
기타
normal
제주 16.01.20.17:12 0 2208
301 기타
normal
필라델피아 16.01.18.22:50 0 3121
300 기타
normal
eceshim 16.01.18.11:30 0 854
299 기타
normal
22nd 16.01.17.21:32 +2 269
298 기타
normal
소녀A 16.01.17.20:54 0 395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