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관련 보도 및 소식이 올라오는 게시판입니다.

Orbital ATK와 SpaceX 가 미 공군 로켓 엔진 프로토타입 제작 계약 체결

폴라리스 폴라리스 1360

0

11
출처 http://www.defensenews.com/story/defense.../78778066/

미 공군이 군용 우주발사체를 위해 러시아제 RD-180에 대한 의존을 끝내려는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오비탈 ATK와 엘런 머스크의 스페이스 X를 로켓 엔진 프로토타입 제작 업체로 선정했다.


미 국방부는 수요일에, 오비탈 ATK와 회사의 차세대 발사체 프로그램에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타입 로켓 추진 시스템 3대를 개발하는 4천7백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의 옵션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잠재규모는 1억8천만 달러다.


특히, 계약에는 오비탈 ATK의 GEM 63XL 고정식 고체로켓모터, 공통 부스터 부분 고체로켓 모터 그리고 Blue Origin의 BE-3U 엔진을 위한 확정 노즐 프로토타입 개발도 포함되어 있다. 아마존닷컴의 제프 베조스가 설립한 Blue Origin은 RQ-180의 자국산(미국산) 대안으로 자사의 Blue Engine(BE) 급 엔진을 밀고 있다.


한편, 미 국방부에 따르면, 스페이스 X는 회사의 Falcon 9과 Falcon Heavy 발사체를 위한 Raptor 로켓 엔진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해 3천3백6십만 달러의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의 잠재 가치는 옵션을 포함하여 6천1백만 달러다.


두 계약은 미 공군의 미국이 우주에 닿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진화된 확장형 발사체(Evolved Expendable Launch Vehicle) 프로그램의 일부다.


다른 로켓엔진 제작사인 Aerojet Rocketdyne은 수요일 계약 발표에서 떨어젔다. 그러나, 이것으로 이 회사가 경주에서 탈락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미 공군은 여전히 다른 업계 주자들과 협상을 하고 있다.


(중간 생략)


최근 의회는 2016 일괄 지출안의 일환으로 RD-180 엔진의 군사용 발사체 사용 금지를 완화했지만, 관계자들은 업계에 계속 자국산 대안을 찾으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

 

 

 

* 기술을 가지고 있으니 경쟁도 가능하네요......

신고
11




    


물늑대 2016.01.15. 16:04
SpaceX가 가장 앞서가고 있다고 봤는데, 계약액수는 오비탈ATK가 더 많네요(물론 계약내용이 다르긴 합니다만)
profile image
폴라리스 글쓴이 2016.01.15. 16:53
물늑대
개발에 앞섰으니 들어갈 돈도 적다고 볼수도요
알바리움 2016.01.16. 02:59
말씀 맞다나 기술력이 있으니 경쟁업체들을 통해 가격협상도 할 수 있는거로군요... 우린 러시아한테 호구잡혔단 소리(기레기들이 부풀렸을 가능성도 있지만)들어가며 돈 쳐들여

가며 로켓을 몇번이고 날렸건만 결국 폭죽이란 비아냥을 피할 수 없었는데 말이죠. 억울하면 더러워서라도 자체개발 하던가 해야할텐데... 솔직히 달나라 탐사선 날린다는것도

아직까진 러시아한테 신세져야 쏘아올릴 수 있는거죠? 아직은. 그러고보니 나로호계획 이후 로켓개발 진전소식은 쭉- 감감무소식이네요 달계획이 있었으면 로켓계열 연구성과를

일단 언듯언듯 보여주며 밑밥을 날려야 잡음이 그나마 덜나올것인데... 로켓얘기가 나와 쓸데없이 끄젹여봅니다. 그러고보니 미국의 부활이라는 다큐 방영한다던데 저 얘기도 다룰

런지 모르겠군요.
ImpMK 2016.01.16. 17:09
알바리움
달탐사선은 1단계는 NASA하고 협력하고, 2단계는 자력 발사합니다. 한국형발사체는 작년 중반에 1단계 사업 완료했고 2단계 진행중이고요. 뭐 그동안 연소 테스트도 몇 번 공개하고 했지만 1단계 사업 중점은 시험설비 건설이라서 딱히 보여줄게 별로 없었죠. 이제 2단계부터는 본격적으로 시험에 들어가니 눈에 보이는 성과가 나올겁니다.
알바리움 2016.01.16. 23:09
ImpMK
이번엔 나사와 하는군요 그리고 진전이 있었다니 그나마 다행입니다. 다만 고체로켓사용에 제한이 걸려있어 패널티가 많다죠? 주워들은 이야기지만요.
profile image
Sheldon 2016.01.17. 20:00
알바리움
딱히...애초에 고체로켓부터가 우주 발사체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는 편입니다. 주로 부스터로나 사용하죠.
profile image
폴라리스 글쓴이 2016.01.17. 20:05
Sheldon
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일본이 2013년 9월에 발사한 엡실론은 주추진체가 고체연료였습니다.
eceshim 2016.01.17. 20:21
폴라리스

엡실론이 고체인건 일본 로켓 개발 시작을 고체부터 해서 그렇습니다. 1930년대인가 펜슬로켓 부터 시작한 역사가 유구한 개발 역사죠.
엑체로켓이 등판한건 미쓰비시가 미국에서 델타 로켓을 기술도입해서 만지작 거려서 나온게 H-1, H-2A 로켓이죠.

우리나라도 탄도미사일 만든다고 고체부터 먼저 건드렸죠 우리도 민간 고체로켓 개발 제한이 풀리면 엡실론급은 아니더라고 이스라엘 Shavit 발사체는 만들지 않을까 합니다. 이 로켓 1,2단 엔진이 제리코 미사일을 전용한거라서요.

몇몇 국가들은 이스라엘처럼 탄도미사일을 만지작 거려서 250~500kg 페이로드를 저궤도로 올리는데는 고체를 쓰더라구요. 물론 흔한건 아닙니다만. ㅇㅅㅇ;

아무튼 현무-2를 적당히 개조하면 저궤도 위성은 쉽게 올리지 않을까 합니다. 

알바리움 2016.01.17. 22:57
eceshim
제한이 걸렸다는게 액체와 고체, 햇갈렸을지도 모르겠군요... 탄도미사일 개발에 쓰일까봐 오히려 일본보다도 고체or액체 엔진개발면에 있어 기술수준은 둘째치고

족쇄가 걸려 아예 건들지도 못하게 되어있다고 뉴스를 접한 기억이 되살아나길래요...
eceshim 2016.01.18. 00:01
알바리움
민간 액채로켓 제한은 2000년대 초 미사일 협정 개정 하면서 풀렸고 민간 고체연료 로켓은 현재 협상 중이나 꽤 부정적입니다
알바리움 2016.01.18. 10:09
eceshim
아... 안타깝군요 민간로켓조차 제약이 걸리다니 ㅠㅠ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4714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39632
6372
normal
폴라리스 16.01.19.11:46 0 826
6371
normal
폴라리스 16.01.19.11:46 0 648
6370
normal
폴라리스 16.01.19.11:45 0 772
6369
image
폴라리스 16.01.18.17:52 0 1278
6368
normal
폴라리스 16.01.18.17:13 0 824
6367
normal
폴라리스 16.01.18.17:12 0 937
6366
image
폴라리스 16.01.18.17:10 0 1081
6365
normal
폴라리스 16.01.18.17:09 0 1427
6364
normal
폴라리스 16.01.18.17:06 0 560
6363
normal
영재 16.01.18.16:38 0 493
6362
normal
폴라리스 16.01.16.23:29 0 659
6361
normal
폴라리스 16.01.16.23:28 0 963
6360
image
폴라리스 16.01.16.23:28 0 855
6359
normal
폴라리스 16.01.16.23:27 0 1739
6358
normal
폴라리스 16.01.16.23:26 0 2602
6357
normal
폴라리스 16.01.16.23:25 0 1023
6356
normal
폴라리스 16.01.15.14:22 0 1010
6355
normal
폴라리스 16.01.15.14:22 0 839
normal
폴라리스 16.01.15.14:21 0 1360
6353
normal
폴라리스 16.01.15.14:20 0 1253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