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립 [유킴의음모론]K200 화력강화와 방어력 강화를 안하는 이유는 "도하"때문이다?

AIFV를 카피했다고 오해(?)를 받는 K200이죠.
물론 외형/좌석배치만 AIFV이고 내부는 M113계열(?)인걸로 결론나서..
‘그냥, 너 그거해라 하고 넘어갔는걸로 아는데요.’
사진은 FNSS 사의 ACV-15입니다.. AIFV랑 거의 똑같습니다.
특히나 25mm 1인승 포탑을 포기하면서 마치 M113처럼 APC로만 운용하던 K200은 다른이유 때문에 무장을 달지 못했다는 의혹하나 제기해봅니다.
혹자는 이것이 포탑비용=차대가격 이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이거 말고도 마이너한 이유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바로, 도하가안되서 “도하”..
네 그렇습니다. 우리군의 도하에 대한 의지는 상당하죠. 의지를 가지고 부력튜브를 장착해서라도 25톤의 K-21을 ‘자력도하’시켜버립니다. M2브래들리는 이러다가 도하를 포기했는데 말이죠.
개인적으로 늘 K200의 화력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던 입장에서 문득 한 가지 의문이 들더군요.
추중비나, 변속기 및 현가쪽은 여유하중이 다소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K200의 무장을 강화하였다 치고 화력강화된 K200이 물에 뜰까요?
화력강화전에 물에 뜨던 K200이 화력 강화한다고 물에 못뜨면..전술의 문제가 생기는게 국군의 입장이지요.
(공병은 거들뿐..부항스크린 따위는 필요 없이 홀로 물위를 휘젓는 늠름한 그를 보라..)
그래서 도하하는 포탑AIFV 사진을 열심히 찾다가 AIFV도하사진은 못 찾았지만,(혹시 알고계신분은 제보바랍니다.) 다행이도 그나마 FNSS ACV-15의 사진으로 겨우 포탑을 장착한 K200의 도하가능여부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는데요.
일단 이건 아무래도 도하는 아니고 도섭입니다. 차대가 너무 높이 올라와있죠.
(FNSS 카탈로그)
이게 도하시 ACV-15 자세 인듯합니다. (뭔가 긴장감과 허덕허덕함 곧 꼬로록할듯함이 느껴지는데요..부수기자재도 상당하고요)
그래서 음모론을 제기해봅니다.
"이게 모두 다~ 도하때문이다!!"
댓글 19
댓글 쓰기

K200과 비교했을때 ACV-15는 차장해치보다 조종수해치가 좀 낮은데 위치하죠...(전체적으로 등빨이더 높다고 봐야하나..)



그런데 DT4050포탑을 단 200은 13.9톤(차체 12.7톤 포탑 1.2톤)이 나가고
AV30포탑을 단 녀석은 13.7톤(차체 12.5 포탑 1.2톤)
MT30K 무인포탑을 단 녀석은 13.9톤(차체 11.9톤 포탑 2톤)
90mm포탑을 단 녀석은 13.7톤(차체 11.5톤 포탑 2.2톤)이 나갑니다.
이를 통해 부력을 넘는다고 보긴 어렵죠.
사실 포탑을 달지 않은게 개발사에서도 언급되지만 포탑가격이 K200가격과 동일할 정도로 비싸니 못달고있는 것이죠.
심지어 작년 호국 끝나고 회의에서 말하기를 주력 기보사는 그나마 하는데 타 기계화부대의 장병,부사관들이 심수도하(전차), 일반적인 도하와 암중조종을 잘 안한다는 겁니다.
뭐..그런 이유로 훈련을 통해 도하와 암중조종 능력을 극대화 하라 하는데.. 솔직히 주력 기보사 말곤 도하 암중 군생활하면서 못해본 조종수들 많을겁니다.


ACV-15흘수선과 K200흘수선 을 비교해보면 포탑단 ACV-15가 더 물위쪽 용적이크죠




1. 80년대 중반
포탑 값 = 차체 값. 게다가 차체는 어찌어찌 국산화했지만 포탑은 안될 걸로 봐서(대우중공업이 FMC 포탑을 달고 선보임) 외화 절약이 우선.
2. 90년대 중반
차기보병전투차(K-21) 탐색개발 개시하려 할 즈음(1995년), 합참에서 가성비의 관점에서 K-200 화력강화 검토를 지시. 육본과 ADD는 차기보차가 우선이라 달갑잖다는 반응. 이것 때문에 95년에 개시할 탐색개발이 99년까지 지연되었다는 원망(!)이 가득...
육본은 굳이 하려면 보병제압력 좋은 K-4나 달아볼까요? IFV는 차기보차에서 구현해야...란 반응. ADD측에선 25mm 기관포를 달아봤자 북한의 장갑차를 격파한다는 확신이 없다(기관포는 30mm 이상이어야)고까지 주장했습니다.


자력도하는 소부대별 기동이 가능도 가능하기때문이겠죠. 지금이상태서 자주문교만 추가되면 전차또한 그렇게운용가능하겠죠.
길은 종심깊어 끊어놓기 쉬운 선이지만..
전장은 횡방향으로 넓게펴져있는 면이기 때문 같습니다..
기보의 경우 도하가 되서 하천을 뚫고 뒤통수를 씨게 후려 칠수 있어서 방어 입장에서는 어디서 뒤통수를 밪고 어떻게 방어해야 할지를 고려해야 하는 코즈믹 호러급 스트레스가 생기죠
계다가 우리나라가 하천이 참 많은 동네져
k200은 그냥 k21 목 친 버전으로 대채했으면 해요 ㅇㅅ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