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자료를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X-BAND 30W급 GAN 전력소자 기술

Sheldon Sheldon 244 1

0

18




    


호크아이 2015.12.03. 00:11
오오 미숙하지만 그래도 x밴드 연구도 늘려가는거 같아서 좋군요
Coral66 2015.12.03. 01:42

GaN HEMT on Si 기술로 보이는군요.

 

육군/해군용으로는 요구사항을 충족 가능할것 같습니다. 

 

sumitomo가 GaN/SiC로 X band 200W가 나왔을 것 입니다. 자료를 확인해 보겠읍니다. 

 

일본 친구들 정말 연구자의 "장인정신"과 기업가의 근성은 알아 주어야 합니다.

 

특히 기업가의 근성... 수많은 실패에도 회사에서 지원을 끊지 않고 계속 연구하게 해주었으니까요.

eceshim 2015.12.03. 02:44
Coral66
일본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중이라 말씀 드리면

선도 연구와 돈이 되든 안되든 기술개발에는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국립대인데 연구 지원 규모가 어마어마 합니다. 동경대, 동경공대는 어마어마하죠.
돈 되는 곳만 골라서 지원하는 한국과는 참 .....
여기는 1년 연구실 한곳 장비 이용료만 연 1억여원이 나오거든요.
이쪽 특히 재료공학, MEMS, STT 연구실은 한국 국책 연구소 보다 훨씬 좋습니다.

근데 제 모교는 고작 300억이 없어서 바이오 연구소를 위한 통합 건물 하나 못올이고(이와 중에 MBA용 건물은 잘만 올라가더군요 ㅉㅉ) 노벨상 프로젝트라고 고작 10억 받아와서 기초공학 투자 운운하니 기가 찰 노릇입니다.
Coral66 2015.12.03. 23:23
eceshim

STT 연구실이 한국 국책연구소보다 좋은곳은 도호쿠인데. 도호쿠대 다니시나요?

한국과 일본의 연구 환경을 1:1로 비교하면 앞이 캄캄 합니다..

다만 변명한다면, 나라의 살림차이가 나고.. 과학기술투자에대한 지도층의 생각이 틀리니까요.

과학/기술 => 국가의 미래 (경제를) 위한 투자 = 미래의 돈 기대라는 생각과 과학/기술 => 국가의 미래 (국제적 위치를) 위한 투자 = 국격 향상 이라는 생각은 많이 다릅니다.

같은 국가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해도 뜯어보면 다른 말이고.. 당연히 다른 목표/방법을 가집니다.

세계를 움직이고자 하는 대국에 비해 작은 경제 규모이니 어쩔수 없이 당장 돈되는 연구에 집중 될수 밖에 없읍니다.

 

지도층의 생각이 바뀌여 하는데.. 방법이 아주 쉬우면서도 어렵습니다.

 

국민의 생각이 바뀌면 됩니다. (헉.)

그래도 한국에 단기간의 경제적 return 보다는 국가의 국격 향상을 위해 연구하는 그릅도 있읍니다. 일본에 비교하면.. 많이 작은 규모입니다만..

================================

본문에 나온 자료는 약간 시간이 된것 같읍니다.

2015년 일본 연구자들이 300W Xband power amp소자를 만들었군요.

Coral66 2015.12.03. 23:33
Coral66

 Material                     Bandgap energy [eV]              Critical Breakdonw field  [MV/cm]    Thermal conductivity [W/cm/K]          Mobility [Cm2/Vs]             Saturation velocity [1e7 cm/s]

-----------------------------------------------------------------------------------------------------------------------------------------------------------------------------------------------------------------------

Si                              1.1                                      0.3                                            1.5                                               ~1300                              1.0

GaAs                         1.4                                      0.4                                            0.5                                                  6000                              1.3

SiC                            3.2                                     3.0                                            4.9*                                                  600                               2.0

GaN                          3.4*                                     3.0*                                          1.5                                                   1500                              2.7

 

고내압/넓은 밴드갭 -> 고전압 동작 가능

높은 전자이동도 ->  대전류 동작 유리

높은 열전도도 -> 쉽게 방열 가능

 

GaN/SiC HEMT가 현재로서는 최종 소자입니다만, 미래에는 다이아몬드가 최종 보스일것 입니다. 

eceshim 2015.12.03. 23:37
Coral66

록히드 였나 노드롭이였나 다이아몬드에 ion implantation 때려서 PN 다이오드 만들었다는 기사가 여기에 한번 올라온적이 있었습니다.
다이아는 가공이 힘든거 같더라구요. 연구실 친구 중 한명이 다이아몬드를 이용해서 MEMS 센서를 만드는데. 일단 증착은 어떻게 했다만은(SEM 사진 보니 표면이 처참하더군요. 에피가 아니라 데포를 해서 그런거 같긴 합니다만요) 하드 마스크 올리고 에칭 하는데 다이아는 에칭이 안되고 하드마스크만 날려먹더라구요. --;

그리고 어떻게 딱 보고 아시네요 히익.....
제가 알기로는 오노랩이 좀 많이 유명한데. 이분이 주관하는 학교 세미나 및 컨퍼런스에 뭔 외국에 난다 긴다 하는 분들이 우르르르 몰려오는거 보면 흠좀무 스럽더라구요.

일본의 과기부+교육부 합친 문부과학성에서 R&D로 속칭 돈지랄 하는거 보면 와 저게 바로 세계 3위 클라스구나 싶습니다. 

Coral66 2015.12.03. 23:54
eceshim
그동네 오노 교수만 유명한게 아니죠. :)

그리고 GaMnAs를 이용한 DMS 분야를 자신이 만들고.. 자신이 키우고,, 그리고 자신이 꽃을 피우고,,, 그리고 자신이 끝을 냈읍니다.

이것만 봐도 마왕급 인데... 그만한 마왕들이 일본의 국립대에 여럿이 있다는게 함정입니다.

--

일본도 큰일 났읍니다. 뭐.. 한국은 그만도 못하니.. 할말은 없읍니다만...

과학 투자가 줄어들고 있읍니다.

일본 학자들의 연구결과를 보면 가끔 ... "와우.. 바보같지만.. 정말 멋있어" 이런 결과가 많았는데, 줄어들고 있어요. <= 노벨상 아니면 꽝 둘중하나인데도 2-30년 지원받고 연구해.. 이게 가능해? 와우...

80~90년대의 폭풍같은 투자가 결과를 내는것 같으니, 일본도 과학 투자를 줄이는 것 같읍니다.

일본 연구원들과 이야기하면, 점점 돈되는 연구를 시킨다고 합니다.

지금... 중국이 옛날 일본과 같아요.. 정말 미친듯이 투자합니다. 연구비 규모는 더 크고.. 더 많은 연구자들이.. 인해전술로 연구합니다.

장비도 모두 새로 사서 최신 기계 밖에 없어요.
eceshim 2015.12.04. 00:06
Coral66
근데 지내다 보면 신장비 사오고 연구하는거 보면 솔직히............ 그거 엄살 같더라구요..........
같이 일했었다가 박사 학위 받고 물리과 STT랩으로 포닥가신 분이 있는데. 자기 딴에는 취직할때까지만 잠깐 있어야지 했는데
교수님이 갑자기 MEMS했던 포닥 들어오니까 SEM이랑 장비를 억단위로 지르고 있다고 부담스럽다고 푸념아닌 푸념하더라구요 --;

물론 요즘 기사 보니까 우리처럼 실제 수익이나 기술이전 비를 벌 수 있는 쪽으로 많이 시키고 속칭 ㅂㅅ같지만 멋진 사나이 다운 뭐 그런 로망이 줄어든다는 노벨상 수상자 기사를 보면 진짜인거 같긴 합니다만.
그래도 하는거 보면 넘사벽입니다. ㄷㄷㄷ

일단 한국 교수과 일본 교수의 연구실운영의 결정적 차이는
재정지원과 대학원생들의 생계 및 등록금 처리가 확실히 다릅니다.

한국은 유명 연구 중심 국공립대 및 포스택 빼고는 학교측 재정지원이나 대학원생 등록금 지원을 전혀 기대할 수 없습니다. 특히 제가 다니는 학교의 경우 있던 장학금 혜택도 미친듯이 다 짤라버려서 교수님들이 등록금 부담이 훨씬 가중되고 있습니다. 거기에 학교측에서 연구 지원은 단 한푼도 안하고 있어서 연구실 운영 하실려고 프로젝트 딸려고 영업사원처럼 일하시는 거 보면 제자로써 안쓰럽습니다.

근데 일본은 일단 학교측에서도 돈이 많으니 연구실별 지원을 아끼지 않고 문부과학성의 크고 아름다운 투자 덕분에 교수님들이 기업프로젝트 딸려고 혈안이 되진 않더라구요. 다들 여유롭게 연구실 운영하고 제자들 연구 봐주고 자기 연구도 하면서 논문도 쓰고 등등 학자 답게 일하시더라구요.

솔직히 일부 대학들이 일본 대학 우습게 아는데 일본 대학급 학교는 솔직히 말하면 한국에서 서울대, 포공, 카이스트, GIST 정도 외에는......
한국 대학 순위에서 앞자리 때고 반으로 나누면 일본 대학 순위 나오는게 다 이유가 있습니다.
Coral66 2015.12.03. 23:58
eceshim
아마.. 레이시온 이야기 하시는 것 같읍니다.
eceshim 2015.12.04. 00:07
Coral66
아 레이시온 이였군요 영문 기사 찾다보니 그렇게 나오네요 ㅇㅅㅇ
여러모로 대단한 나라입니다.
볼츠만 2015.12.03. 07:14
APG-77조차도 5~8W정도의 소자라고 하고 이번에 내세운 AESA도 10W정도라고 하더군요. 30W소자라면 출력이 커진만큼 소자수를 줄일수 있다는건지요?
profile image
Sheldon 글쓴이 2015.12.03. 07:31
볼츠만
그렇긴 하죠. APG-81도 소자 수가 약간 줄어들었지만 77과 동급 혹은 그 이상의 성능을 내니까요.
Ya펭귄 2015.12.04. 10:35
볼츠만
소자를 줄이면 개구면이 줄어들기에 레이더 각분해능에서 손해를 보는 문제가 생길 듯 하고...

되려 좀 저출력으로 돌려도 안정적으로 오래오래 돌릴 수 있는 마진폭이 높아진다.... 정도와,

탐지거리를 늘려야 될 필요가 있을 때 한시적으로 고출력을 확 쳐올릴 수 있는 여지가 많아졌다 정도.... 가 아닐까도 싶네요.
볼츠만 2015.12.04. 11:27
Ya펭귄
T/R소자를 적게 배열하고 대신 수신전용소자수를 늘리는 식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Sheldon 글쓴이 2015.12.04. 11:34
볼츠만
엥...어차피 수신소자도 부피 차지하는건 똑같을텐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 한정된 공간에서 수신만 되는 소자를 많이 배열하는건 좀...
볼츠만 2015.12.04. 11:44
Sheldon
결국 그게 다 돈이니까요.
Ya펭귄 2015.12.04. 11:52
볼츠만
아, 생각해 보니 평균출력이 늘어났다는 이야기이니까....

펄스당 출력을 유지한 채로 펄스반복주파수를 올려버릴 수 있으니까 1회 스캔에 드는 시간을 펄스반복주파수만큼 줄여버릴 수도 있겠지요....
Ya펭귄 2015.12.04. 11:52
볼츠만
아, 생각해 보니 평균출력이 늘어났다는 이야기이니까....

펄스당 출력을 유지한 채로 펄스반복주파수를 올려버릴 수 있으니까 1회 스캔에 드는 시간을 펄스반복주파수만큼 줄여버릴 수도 있겠지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