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관련 보도 및 소식이 올라오는 게시판입니다.

남경필 - 사병월급 200만원·군병력 30만…모병제 해야

데드맨워킹 데드맨워킹 1890

0

35




    


profile image
22nd 2016.09.01. 12:16
그냥 월급 100만원 / 60만명 하면 안되나요...?
Steam0904 2016.09.01. 13:22
22nd
월급 40만원, 휴가일수 2배 증가, 성과제 외박 10일(의무화), 주말 출타 자유화 조치부터 먼저 하는 게 좋을 거 같네요.
천상의기적 2016.09.01. 14:20
Steam0904
휴가일수나 주말출타를 자유화 안하는게 한국전쟁 직전에 그걸 했다가 기습적인 전면전이 벌어져서 속수무책으로 밀린 경험 때문이죠. 일단 조심해서 나쁠것 없자나요.
Steam0904 2016.09.01. 17:44
천상의기적

그때 이야기는 상관이 없죠. 조기경보 능력이 그 때와 비교하여 현격하게 늘어난 상황이고 당시 휴가를 많이 보낸 이유는 거의 2개월 가까이 유지되었던 비상 경계령을 육군 본부 모 인사가 해제시킨 상태였고 농한기라서 평소보다 더 많은 인원이 출타한 상황이였죠. 현재 북괴는 전면전 능력 자체를 상실한 상태인데 휴가 제한 해제 한다고 해서 갑자기 3일만에 서울이 넘어가는 그런 사태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차피 출타자 제한 30% 있는 한은 걱정할 이유도 없지요. 이와 같은 이유로 위수구역도 확대개편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헷지호그 2016.09.01. 22:40
천상의기적
6.25의 아픈기억도 있지만 그것말고도 데프콘 4를 항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데프콘4의 상황 즉 경계강화태세와 출타제한이 걸리게 되는이 이때문이 아닌지....
eceshim 2016.09.01. 18:10
22nd

지금도 아주 빡빡한 경상유지비로 간신히 69만 대군을 유지하는데 월급 100만에 60만 대군을 운영할려면 지금보다 국방비가 한참 올라가야 합니다. 아니면 복지부에서 장병 복지니까 니들도 협조하던지 식으로 땡겨 오던가요.

profile image
22nd 2016.09.01. 19:57
eceshim
아니 그냥 저기서 200에 30만 부르길래... 생각 없이 리플 달아서 죄송합니다.
꿀꿀 2016.09.01. 17:33
생각나는대로 씨부리네
heydia 2016.09.01. 17:38
병력 규모와 급여수준에 이견이 좀 있을지는 몰라도 모병제는 어차피 막을 수 없는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TIMCorsair 2016.09.01. 18:15
지금 말도 안되는 참담한 대우로 겨우겨우 유지하는데 30만에 월급 200만? 국방부 마인드상 불가능할 듯..
녹턴0 2016.09.01. 18:21
말은 좋은데 현실과는 멀리 동떨어져 있다는건 누구나 다 알죠 ㅡㅡ
QWERASDF 2016.09.01. 19:13
징병제를 유지하면서 월급을 올려주었으면 하네요. 근미래를 감안하더라도 우리의 안보 상황에는 징병제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profile image
마요네즈덥밥 2016.09.01. 19:49

북한 급변상황시 일정규모의군대를 유지해야한다는게 해외싱크 탱크에서 나온말이기도하고... 일정규모를 유지하는 군의 핵심이긴한데.... 뭐 이러다간 북한 급변사태시 우리힘으로도 할수없어 중국러시아의진주를 허용해야할지도 모르겠군요.

빅맨 2016.09.01. 20:04
모병제라면 직업군인을 양성해야겠죠.
일반 사병에선 초봉 200백 정도면 충분하겠지요.
그런데 40에서 50정도 나이까지 해야하고
그렇게 되면 월 300~400이상 주어야 합니다.
또한 준위가 되었던 대위가 되었던 승진에 대한 배려도 있어야
하고요..
그래야 끝까지 있겠죠.
또한 해군 공군 11~12만명 정도 생각하면 육군은 18만정도 밖에 안됩니다. 그럼 지금보다 군무원은 2배 이상 뽑아야 할 것입니다.
육군 18만이면 주로 전투병과 공병대 이어야 해서 px 식당 왠만한건 외주나 군무원 주어야 겠죠.
남경필 의원 예상금액의 2배~2.5배이상 생각해야 합니다.
빅맨 2016.09.01. 20:10
그리고 북한의 군사력이 군인원뿐만 아니라 무장도 좋아서
군인수 줄이면 안됩니다.
우리 현역도 중요하지만 예비군의 규모와 장비 정말 중요합니다.
모병제 되면 이 중요한 예비군 다 없어집니다.
저 분 대통령되면 큰 일 나겠네요. 포플리즘과 미국에 기대는 국방정책 위주인 분이니..
필라델피아 2016.09.01. 22:11
빅맨
희한하게 저러면서 미국에 기대는 국방정책을 지향하지않고 자주국방을 하자는 분들이 종종 계시죠.

군축과 자주국방이라니 이것만큼 어울리지않는말이 없는데 말이죠.
녹턴0 2016.09.01. 22:54
필라델피아
미국에 '기대는' 국방정책도 전 좋다보진 않는데요. 지금 유럽권이 미국에 '기대는' 국방정책을 펼치고 있으면서 안보 무인승차라는 말을 듣는거 생각하면 더더욱 말이죠.
profile image
마요네즈덥밥 2016.09.04. 18:23
녹턴0

유럽권은 우리나라랑 많이다르죠.유럽의군축 규모를 보면 말이죠.대표적인 사례가독일이죠.

과거에는 우리나라도 질적으로 부족해서 미국에 의존햇던 경향이 컸고 지금 질적으로도 성장한 지금도 미군에 의존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이후로도 한미연합사에서 전작권도 회수한다고해도 연합사령관과 부사령관 이 공동지휘하는건 변하지않는한 미국에 기대는건 어지보면 당연합니다. 군사동맹자체가 기대고 협력하는 동맹이니까요.

아스튜트 2016.09.01. 20:16
30~40만 정도로 소수정예화와 질적향상을 추구하되 예비군 규모를 지금수준으로 유지하는게 어떨까 싶네요.
heydia 2016.09.01. 20:35

모병제한다고 예비군이 없어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예비군 자원을 유지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거든요.

profile image
마요네즈덥밥 2016.09.01. 21:06
heydia
뭐 여군 예비군을 의무화한다던가...뭐 보충할수는 있겟지만 일정 규모를 유지하기한 힘들죠.
heydia 2016.09.01. 21:57
마요네즈덥밥

모병제를 시행하다고 해서 성인 남성의 국방의 의무가 사라지진 않을 것이고 최소한 기초군사훈련은 그대로 받게 할 수 있을겁니다. 규모를 유지하는 건 크게 문제 없을 거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저는 전 예비군을 2,3백만 씩이니 유지 해야하는지 조차 의문입니다. 미군도 현역부터 주방위군에 예비군까지 포함해도 150만이 안됩니다. 예비군 병력은 100만으로 축소하고 장비를 현실적으로 갖춰주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profile image
마요네즈덥밥 2016.09.04. 18:40
heydia

전 대만사례처럼 모병제를 시행한다고해도 to를 채울수있을지도 의문이기도하고 그리고 현역이 주는만큼 예비군 규모를유지할수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미국이나독일경우엔 모병제전환하면서 징집대상의 기초의무 훈련도 사라진것으로알고잇습니다 다만 병역예비자원의 정보수집관리를 하는것으로 알고잇구요.

예비군이나 현역 에 규모를 유지하려고는것은 냉전형 전쟁을 대비하고잇는 군의전훈이 반영된만큼 무의미하다 생각합니다.

fatman1000 2016.09.01. 21:21
- 월급 200만원으로 전방 DMZ에서 목숨 걸고 근무할 사람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부터가 이미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겠지요...
profile image
Mi_Dork 2016.09.01. 22:22
자금 조달의 현실성은 별개로 보더라도, 사병 수당 현실화에 대한 공론화는 당장이라도 시작해야 된다 봅니다.
SnowFlower 2016.09.02. 10:12
Mi_Dork
차리리 미국이랑 비슷하게 거주권(참정권은 제외)을 미끼로, 2년짜리 일반병을 해외모집하는게 어떨까요?

주로 공병이나 수송같은 비전투부분에 배치하고요.
fatman1000 2016.09.03. 20:45
Mi_Dork
- 공론화해도 그래서 누가 돈 내는데 하면 모두 꿀먹은 벙어리가 되는 것이 현실이지요. 50만명 기준으로 100만원 월급 주기 위해서 추가로 필요한 예산은 5.1조원 정도이네요...
헷지호그 2016.09.01. 22:41
공무원 9급의 초봉도 200만원이 안되고 하사나 소위임관시의 초봉도 100여만원정도 되는데 일반사병에게 200만원을 준다면 현재의 부사관제도에서는 아무도 부사관을 선택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heydia 2016.09.01. 22:51
헷지호그

병사도 호봉이 있을테니 평균치를 잡은것 아닐까요

헷지호그 2016.09.01. 22:56
heydia
중요한건 기사에서 남 경기도지사가 9급공무원(본인의 부하직원인데!!)의 초봉을 모르고 있다는것이죠.... 감춰진것도 아니고 그냥 인터넷에 한번만 검색해보면 알수 있는것을....
loiter 2016.09.03. 19:59
정치인들이 뭐라하던간에, 현실적으로 모병제를 하나 안하나

2020년대 이후 (연간자원입대 자원이 약 20만명 * 현역적격자비율 80% 중반 * 1년 9개월 복무기간을 감안하면) 징병제 유지해도 사병 30만명을 지탱하긴 어렵습니다.

여기에 부사관 + 장교 인원을 20만명 잡으면 총병력 40만명후반은 지킬거 같으나, 인원숫자에 목숨을 거는 육군은 30만 중반까지 추락은 피할수 없습니다.


2040년대가 되어도 현 출산율이 이어진다면 모병자원이 10만명 후반대까지 떨어져서 징병제를 유지해도 총 40만명 / 육군 20만후반대는 피할수가 없죠.


북한이 어떻네, 좌파정치인들이 뭐라네는 그만 접어두고, 개혁에 들어가긴 해야합니다.

개혁이 싫고, 50~60만명수준의 병력을 유지하고 싶다면
위엣분 말대로 외노자(중국인+동남아인+이슬람인)들을 대상으로 시민권을 허가하고 군대에 복무시키던,
복지에 돈을 퍼부어서 출산률을 끌어올리던 선택을 해야죠.
eceshim 2016.09.03. 21:53
일본도 부사관 기본급이 15만엔 입니다. 이건 제가 모병 포스터를 봐서 압니다.
이것도 교육기간때는 10만엔, 수습기간 12만엔이라서 상당히 박봉이죠.
물론 홍보에는 각종 수당을 포함해서 준다고는 하더라구요.

우리도 급여 자체는 비슷하죠 월 150만원.
문제는 사병을 200을 줘버리면 부사관은 250~300으로 올라가고 장교는 더더더더 올라가겟네요. 영관급 되면 억대 연봉은 찍겟군요.

결국 국방비의 대부분은 경상유지비로 폭발하겟네요.
아니면 국방비를 대폭 늘려야 하는데 예산 자체 순증(추경이나 증세라는 마법....)을 하거나 복지를 줄여야 하는데 글쎄요.
빅맨 2016.09.03. 22:10
인구절벽이 되는 2020년대 후반가면 어차피 30~40만으로 군 인원은 줄 것입니다. 문제는 남의원이 2022년까지 30만으로 군 인원을 줄인다면 그 줄이는 인원에 맞는 군의 무기체계가 그때까지 완성되냐도 문제이겠죠. 자동화나 감시체계 나 신속이동과 방탄이 되는 차량 그리고 네트워크 문제 그리고 그 많은 잡일을 대신할 인원문제 등 하나도 장기적 고려없이 툭 던지네요.
군에서도 인구절벽에 의한 자연적 군 인원감소에 대한 장기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나요??
eceshim 2016.09.03. 23:53
빅맨
기동화+네트워크+무인경계+화력 더많은 화력 화력!!!
으로 대비하고 있긴 합니다.

계다가 작전의 유연성을 위해 사단장이 다해먹는 구조에서 연대, 여단장이 주로 지휘하는 구조로 개편을 추진하는등 대비는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필요 시간에 맞게 돈과 장비가 제때 제 구실을 하느냐는 다른 문제이지만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4714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39633
8352 기타
normal
오홍이 16.09.22.23:11 0 1757
8351 육상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8 0 1190
8350 육상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7 0 1812
8349 공중체계
image
폴라리스 16.09.22.20:17 0 1143
8348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6 0 735
8347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5 0 613
8346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4 0 941
8345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4 0 682
8344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20:13 0 1021
8343 기타
normal
메데 16.09.22.16:02 +2 1480
8342 기타
normal
제너럴마스터 16.09.22.10:43 0 1282
8341 기타
normal
제너럴마스터 16.09.22.09:22 0 1231
8340 육상체계
image
폴라리스 16.09.22.00:06 0 1022
8339 육상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2.00:03 0 897
8338 육상체계
image
폴라리스 16.09.22.00:03 0 1073
8337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1.22:27 0 1247
8336 해상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1.22:27 0 941
8335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1.22:26 0 697
8334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16.09.20.20:39 0 1312
8333 육상체계
image
폴라리스 16.09.20.20:15 0 1986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