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관련 보도 및 소식이 올라오는 게시판입니다.
공중체계

KF-21 20대 첫 양산 계약…1조9천600억원 규모(종합)

김치찌짐 김치찌짐 455

0

16
출처 https://m.yna.co.kr/view/AKR20240625067351003

20대 양산에 1조 9600억으로 계약했다는 내용입니다.

 

대당 가격은 980억입니다. 

 

1000억 넘을 수도 있다는 예상과 다르게 980억이 되었네요.

 

추가)

 

위 가격은 엔진과 레이더를 제외한 가격이고 포함시 대당 단가는 1316억으로 나옵니다.

 

양산비용 800억에 120대 해서 9.6조를 잡았는데, 1316억으로 잡으면 15조 7920억이 됩니다. 약 64% 증가한 셈이네요.

신고
16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5. 21:25
총 40기 중 나머지 20기 양산은 공대공무장 검증 완료후 생산하는가 봅니다.

______
https://munhwa.com/news/view.html?no=2024032201039930114002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5. 21:32
공대지모드 개발하려면 그 비용도 추가로 들것인데, 1316억원이 그런 비용도 포함이 될까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5. 23:51
지나가는행인
일단 개발비는 미포함한 상태니까, 공대지 모드 개발 비용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 image
chevrolet23 2024.06.25. 22:04
대당가격 980억에 저게 엔진, 레이더 장비를 뺀 가격인가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5. 23:52
chevrolet23
980억은 엔진, 레이더를 제외한 가격이고, 포함하면 대당 1316억으로 나옵니다.
YoungNick 2024.06.25. 22:17
원래 첫 양산단계에서는 양산에 필요한 치공구나 교범 제작 등 일회성 비용이 꽤 들어갑니다. 블록 1 추가 20기 생산때는 단가가 좀 내려갈겁니다.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5. 23:53
YoungNick
초기 양산 단가라 더 높은 부분은 있는거 같습니다. 다만 한국은 120대 양산이다 보니 초기 물량이 전체의 16.6% 정도 된다는게 부담이죠.
YoungNick 2024.06.26. 19:42
김치찌짐
일단 아직까지는 인니가 구매 물량 자체를 줄인다는 말은 없으니까요. 현 주문량 20기가 양산물량 168기중 첫 20기라고 봐야겠죠.

개인적으로 궁금한것은 첫 양산 물량을 원 계획대로 일괄 40대 계약했을 때와 20대씩 나눠 계약했을 때 단가 차이가 어떻게 될지입니다. 총 양산비의 절반을 나눠서 계약하는건지, 아니면 초기비용을 20대에 다 녹이는건지가 궁금하네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6. 20:41
YoungNick
1. 168대라면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11.9% 입니다.

2. '초기' 비용은 첫 계약에 다 포함이 되어야겠죠. 다만 엔진과 레이더는 따로 계약한 것 만큼 계약 조건에 따라 나눠서 할 수도 있긴 할거 같습니다.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6. 20:12

기사들에 따르면 엔진 40기, AESA레이더 20기 비용 별도 입니다. 포함하면 현 20대는 기당 1,300억원 정도라고 합니다. 계약을 3개 업체에 했다고 합니다.
이런비용 빼면 기당 1천억원 정도라고 합니다.

______
https://www.news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644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6. 20:45
지나가는행인

980억은 엔진/레이더를 제외한 flyaway cost겠고.

1316억이 엔진/레이더를 포함한 flyaway cost라고 할 수 있겠네요.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6. 21:06
김치찌짐
결국 엔진의 국산화가 문제라고 보여지는데, 한화에서 시동을 걸긴 했는데, 언제쯤 효율적인 국산엔진이 나올 수 있을지 궁금해 집니다. 2030년대 얘기하는 걸 보면 현재 쓰이는 엔진성능에 순차적으로 올라갈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인도네시아가 약속한 물량을 구매할 지 모르겠습니다. 자국에서 조립으로 한다고 자기기술이 되지는 않을 건데, 어쨌든 버릴 수 없는 카드입니다. 공대지도 되어야 여러나라서 입질을 할것 으로 보입니다.
profile image
김치찌짐 글쓴이 2024.06.27. 09:32
지나가는행인

1. 현실적으로 KF-21에 국산 엔진이 들어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유행하는 로열윙맨 개념의 무인기를 개발한다면 탑재할 수도 있겠지만요.

2. 저도 인도네시아의 의뭉스러운 태도를 보면 48대를 정말로 구매할지 의문이긴 합니다.

3. KF-21의 개발 성숙도가 더 높아져야 경쟁력을 갖추게 될거란데는 동의하는데, 그 시점이 2030년즈음이 될거고 이때면 4세대 전투기들은 대부분 생산이 종료되는 시점으로 5세대와 경쟁해야 할 가능성이 높죠.

그때 설 자리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7. 20:30
김치찌짐
우선 무인기를 타겟으로 한다고 합니다. 수명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고, 추력도 낮으니 만들만 한가 봅니다.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24.06.27. 16:10
지나가는행인
F414의 22,000 파운드급 엔진은 2037년까지 개발할 계획이기에 KF-21에는 달기 어려울겁니다.
profile image
지나가는행인 2024.06.27. 20:26
폴라리스
시기가 많이 늦긴 하군요. 무인기 엔진부터 차근차근 개발하기로 했다고는 들었습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6947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41958
5693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8.13:18 0 58
5692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8.13:17 0 50
5691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7.16:17 0 57
5690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7.16:17 0 72
5689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7.16:16 0 71
5688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7.16:14 0 54
5687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6.05:49 0 79
5686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6.05:48 0 77
5685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6.05:47 0 49
공중체계
normal
김치찌짐 24.06.25.14:17 0 455
5683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5.12:01 0 81
5682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4.21:57 0 98
5681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2.23:32 0 184
5680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1.15:50 0 95
5679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1.15:45 0 52
5678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0.22:19 0 162
5677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0.14:06 +1 151
5676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20.14:02 0 36
5675 공중체계
normal
지나가는행인 24.06.19.19:38 0 115
5674 공중체계
normal
폴라리스 24.06.19.12:45 0 58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