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체계 MQ-25A 무인급유기가 슈퍼 호넷에 공중급유 시험을 성공
BigTrain
1120 0 4
출처 | https://news.usni.org/2021/06/07/mq-25a-...first-test |
---|
MQ-25A 무인급유기가 지난 주 F/A-18F 슈퍼 호넷을 대상으로 첫 공중급유 시험을 성공리에 완수했다고 보잉이 밝혔습니다.
다음번 목표는 항모에서 발진한 후 해상공중급유를 실시하는 것이라고 하며, 미해군은 MQ-25A의 IOC 달성 시기를 2025년으로 잡고 있습니다.
댓글 4
댓글 쓰기
김치찌짐
향후 대형공중급유기와 하이-로우 믹스 개념으로 운용될 가능성은 있을 것 같습니다. MRTT는 연료 50톤 싣고 행동반경이 1800km인데 이 녀석은 6.8톤(15000파운드) 싣고 930km라고 하니까요.
F-16은 내부연료 탑재량이 7천 파운드, F-35A는 18500파운드라고 하네요. 저걸 주력으로 쓰기는 어려울 것 같긴 한데 제대로 잘만 쓰면 공군력 활용에 유연성을 더해줄 수는 있을 듯 합니다.

BigTrain
네, 말씀대로 폭격기/수송기/조기경보기 같은 기체들과 위험이 낮은 지역에서는 민항기 기반의 공중급유기들이 효율적인 선택일거고, 전방에 전개되어 공격당할 위험이 높고 생존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UAV 기반의 급유기가 유리하겠죠.
MQ-25의 연료 탑재량으로는 전투기와 비슷한 대수가 필요할거 같으니 대형 공중급유기와 어느정도 비율로 섞어서 사용할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네요.
기술의 발전이 놀랍네요.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앞으로는 민항기 기반의 대형 급유기보다 적당한 크기의 무인급유기들이 유행할 것 같습니다.
어느정도의 크기와 스텔스를 추구하느냐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민항기 기반의 급유기 보다 더 적대적인 영역에서 작전할 수도 있을태니 5세대 기체와의 시너지 효과도 더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해군이 차기 전투기에서 1000nm 행동반경을 요구하고 있는데, F-35A가 669nm 행동반경을 실증했고 F-35C는 670nm을 실증했으니 무인 급유기가 붙는다면 1000nm 정도는 확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