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주제로 글을 올리는 곳입니다. (단, 이용약관 필독)
기타

우연히 우리 해군에 대한 흥미로운 댓글을 보게 되었네요.

우케케 1939

1

56
http://bluegazer.egloos.com/m/comment/3032534/page/7
본문은 해군에 관해 이글루스를 보다 우연히 보게된 글인데 뭐 밀덕의 전형적인 한국 해군 비판이라 그러려니하고 넘겼습니다.

근데 쭉 댓글을 보다보니 gforce라는 분이 흥미로운 댓글을 달았더군요. 대충 이글루스를 둘러보니 전직 해군 장교분이신 것 같던데.. 한국 해군이 왜 이지스함을 보유하고자 하는지와 한국 해군이 훈련에서 어디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지 등등을 언급하시더군요.

초보밀덕인 저로서는 상당히 일리가 있어보이는 댓글이었습니다. 다만 개인이 출처나 근거 자료없이 푸시는 썰이라 신뢰성면에서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어쨌든 막 퍼와도 되는지 어떤지 몰라서 제가 임의로 읽은 것을 요약해보자면

1. 한국 육해공군은 대북전을 최우선으로 상정하고 있다. 즉해군의 시레인 방어타령은 핑계일뿐이다.

2. 실제 최윤희 합참의장을 비롯한 일부만 경항모를 진지하게 생각할 뿐 현재 총장이나 실무자급들은 별 관심이 없다.

3. 이지스함은 경항모와 달리 실제 한국해군의 소요가 있어서 구매하려는 것이다. 미군 또한 한국해군이 추가 구매하도록 바람을 넣고 있다.

4. 이지스함의 가장 핵심 임무는 지휘 통제 및 전장 관리, 공역통제이다. 한국 해군은 이런 방면에서 가장 확실히 검증된 플랫폼인 이지스함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런 임무를 지상기지가 대체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또한 지상기지는 적의 탄도탄 공격이나 사보타주에도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5. 한미해군이 가장 중점을 두는 훈련은 압도적인 수의 적 수상함 항공기 잠수함 대함미사일에 대항하는 복합전 훈련이다. (공군 지원의 경우)기상만 좀 악화되어도 전술기나 헬기 소티가 취소되어버린다. 과연 그때 세자리 이상의 적 수상전력들은 놀고 있믈까.. 그들에 대항하려면?

6. 적 해군과의 대규모 수상전투 상정이나 위에서 말한 이지스함의 임무들은 미7함대 계획처 쪽에서 한국해군과 협의해 짠 내용이다.

추가로 엑스트라님이나 다른분들도 한마디씩 하시네요. 공손연이라는 분이 반박도 하시는데 그닥 정확한 반박인지는 모르겠습니다.여튼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지ㅋㅋ
신고
56




    


redmuffler 2015.07.17. 07:00

같이 답변해주시고 계신 푸른매님도 상당한 내공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와는 별개로 저는 글을 읽는 내내 지상발사 ASM과 해/공자대가 생각나더군요. 특히 CEC가 너무 부럽습니다.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5.07.17. 12:29
3번은 확실히 맞고 4번은 절반만 맞습니다. 이지스함에 대해서 견제가 육군/공군이 좀 있어 국방부 내 논쟁이 된 적이 있었습니다.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5.07.17. 12:30
해군은 항공모함 보유의 맹점이 있기 때문에 항공모함 보유를 거의 포기했습니다. 병과 간 갈등이 다소 있습니다. 바이킹 도입과 연관된 문제인데, 항모를 도입 안하니까 바이킹을 추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05:27
김민석(maxi)
바이킹 하고 항모 관련 이야기도 저도 한번 투덜댄 기억이 나는군요. 해군도 병과간 갈등이 생각보다 심각해서....^^
백선호 2015.07.17. 13:10
지휘통제, 전장관리에서 이지스함이 통제하고 관리하는 대상은 무엇인가요? 우리 수상함과 해상초계기? 잠수함은 통신이 어려워서 아닐테고.
제주 2015.07.17. 13:46
백선호
방공 및 항공자산. 통상 복합전 상황에서 대공전지휘관이 이지스함에서 지휘합니다.
백선호 2015.07.17. 14:17
제주
해군 소속의 방공 및 항공자산만 통제/관리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공군 것도?

예를 들어 서산에서 공군 KF-16이 떠서 서해상을 빙 돌아 북한의 옆구리를 치러 갈 때 해군 이지스함이 KF-16에게 북한 상공 지금 어디에 뭐가 떠 있다고 알리는 역할을 하는지요?
제주 2015.07.17. 14:36
백선호
지정된 공역 안을 통제합니다.
백선호 2015.07.17. 14:52
제주
어떤 공역이 지정되는지는 일단 제끼고, 이지스함이 없던 시절에는 이 공역을 누가 어떻게 통제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제주 2015.07.17. 15:53
백선호
DDH-2가 했었고, 그 전에는 아예 그런 생각을 안 했을겁니다.
백선호 2015.07.17. 16:14
제주
그렇다면 공군이 하던 일을 DDH-2가 맡았거나, 아니면 그 전에는 아무도 하지 않던 일을 DDH-2가 새로 하기 시작한 것이겠네요.
제주 2015.07.17. 16:27
백선호
미군의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일을 일부나마 가져왔다 보는게 맞지 싶네요.
백선호 2015.07.17. 16:32
제주
미군의 지원이라면... 미해군 함정이 와서 하던 일이었을까요?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05:26
백선호

오고가는 대화 중에.....조금 안 맞는 부분들이 보입니다. 미해군 함정이 공역관리?? 잉? 하는 부분인데...지금이야 조기경보기도 있고 하지만....
공역관리라면 미국이랑 같이하면 오산쪽에서 할 것이고.....아니면 대구에서 하겠죠...
밑에 전파 침묵도 있지만....공군이 16으로 접근 하는 것을 해군에서 바다에서 관리해 준다? 이지스 탐색 범위가 넓기는 하지만...
조기 경보기 보다 더 넓은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지금 737 레이다가 그렇게 허접이 아닌데...

제주 2015.07.20. 19:47
minki
레이더 성능이 문제가 아닙니다.;; 미 공군은조기경보기가 없어서 해군이 공역관리를 할까요? 하다못해 해군 자체로 호크아이도 있는데 이지스함으로?ㅡㅡ
eceshim 2015.07.20. 20:02
제주
이지스함에서도 공역관리를 하고 E-737에서도 하는데.
서로 데이터 링크가 원활하게 되나요?
제주 2015.07.20. 20:42
eceshim
이지스는 링크16이 있지요.
eceshim 2015.07.20. 20:50
제주
삼군 데이터 링크는 고사하고 구축함간 데이터 링크가 쥐뿔도 안된다고 힐난하던데 모르는 사람이 그냥 헛소리 하는 거엿네요.
디시는 걸러들어야 제맛이긴 하지만 혹시나 해서요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22:30
제주
미 해군이 공역관리 하는 부분이 공군하고 겹치던가요? 호크 아이가 공군 조기 경보기 영역 아래에서 활동 하나요?
제주 2015.07.20. 23:02
minki
미 공군 조기경보기의 관제능력이 E-737 만큼도 안 될리는 없지요. 전시에 미 공군 조기경보기나 항모 호크아이는 한반도에 전개 안하나 보지요?
profile image
minki 2015.07.21. 04:51
제주
지금 공역이라는 의미가 서로 보는 시각이 틀린 듯 합니다. 보통 공역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미리 정해 놓은 대규모 크기의 지역 분할 입니다.
진주만 공격이후 생겨난 개념이죠. 정보교환 미흡과 관리 주체 문제로 적 전투기의 접근을 알고도 방치했으니...

이야기 하시는 공역이라는 개념은 해군에서 함정을 중심으로 하는 작전 해역인 듯 합니다. 요즘이야 이지스 레이다 반경이 장난 아니니 작전지역 이상도 커버 하겠죠. 제가 이야기 하는 공역이라면 이것보다 더 큰 규모의 지역 입니다. 위에 이야기한대로 미리 선정해서 줄을 그어 놓은 지역분할 입니다. 위에 백선호님 질문에 KF-16에 지시를 내리냐는 부분에 대한 질문도 그런 의미가 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제주 2015.07.21. 07:49
minki
미리 선정해서 그어놓은 분할 맞습니다만..
백선호 2015.07.21. 08:08
제주

1991년 걸프전쟁 후 미군이 미국 하원에 낸 보고서 "FINAL REPORT TO CONGRESS"의 제7장 THE MARITIME CAMPAIGN에 있는 아래 구절과 비슷한 일을 우리 세종대왕함이 한다는 말씀이신지요?

 

For example, during the amphibious exercise Imminent Thunder, USS Bunker Hill's Aegis combat system, operated by well-trained shipboard air controllers, safely controlled more than 40 aircraft operating simultaneously in the amphibious objective area. AAW ships also controlled Coalition CAP aircraft over the Persian Gulf and Red Sea.

 

http://www.ssi.army.mil/!Library/Desert%20Shield-Desert%20Storm%20Battle%20Analysis/Conduct%20of%20the%20Persian%20Gulf%20War%20-%20Final%20Rpt%20to%20Congress.pdf

 

결론적으로 북한 서해안이나 동해안의 어느 지점에 우리와 미군이 상륙작전을 할 때, 상륙지점을 뒤덮는 공역이 세종대왕함에게 지정되고, 세종대왕함은 이 지정된 공역 안으로 들어오는 KF-16이나 미국공군 F-16이나 미국해병대 V-22나 모두 통제한다는 뜻인지요?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5.07.17. 14:06
백선호
KNDTS 나 링크-11이 있더라도 바다에 직접 지휘관이 탑승해야 할 필요성은 있기야 있지 않을까요? 물론 한반도 전장이 좁고 네트워크 능력이 지상 지휘소와 큰 차이가 없겠지만..
백선호 2015.07.17. 15:11
김민석(maxi)
바다로 지휘관이 나가는 경우면 전파침묵은 "필요 없다/하지 않는다"는 전제가 있어야겠죠.

미드웨이해전에 참전했던 미쓰오 후지타, 마사다케 오쿠미야가 쓴 회고록에는 야마모토가 전함 야마토를 기함으로 삼고 나오는 바람에 필요한 정보를 제 때 보내지도, 받지도 못했고 (전파를 쏘면 위치가 탐지될까봐), 차라리 도쿄에 앉아서 모든 정보를 받으며 전방으로 방송(?)을 계속 때렸어야 했다고 비판했죠.

TV 카메라 달린 무인기가 전장의 상황을 실시간 중계한 1982년 레바논전쟁 때부터 이스라엘군에서는 현장에서 직접 판단하지 않고 위에 "어떻게 할까요?" 묻고, 위에서는 이래라 저래라 간섭하는 나쁜(?) 사례가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제주 2015.07.17. 15:55
백선호
전파 침묵을 왜 하죠?
백선호 2015.07.17. 16:11
제주

모든 정보를 받아 결심을 하고 그것을 알려야 하는 지휘관이 탄 배는 전파침묵을 하지 않는다고 쓴 것이죠.

 

1980년 림팩에서 오스트렐리아의 경항모 멜버른이 미국 대형항모 컨스털레이션에 몰래 다가가 A-4로 공격해 '대파' 판정을 얻었을 때는 멜버른이 전파침묵하며 상선 흉내를 냈다고 합니다. 포클랜드전쟁의 회고록들에도 전파침묵을 한 경우가 종종 나오고요.

 

http://warships1discussionboards.yuku.com/topic/14223

 

It's a hell of a long time ago, and I've forgotten most of the details, but we sure celebrated it as being quite a feat; the debrief in Pearl was one of the great parties.  Obviously one or other event made a fair impression on our Japanese friends as well.  Connie had E2s embarked, I've got photos of one doing a low level pass after endex.  We were electronically silent and imitating a Mership from what I remember, and used int from a number of sources including elint and reports from submarines.  As I say, it was a long time ago, and I'm afraid I can't remember the exercise scenario - just no longer in my head.  Ian Knox was Melbourne's CO at the time and he was always an innovative thinker  (and a great bloke) - I rather suspect that he probably came up with the idea.  

profile image
ssn688 2015.07.18. 12:49
백선호

위의 논의가 "이지스함은 오히려 대북작전용"이라는 데서 시작했으니, 대북작전 생각하면 전파침묵은 접어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전단 기함은 장거리대공레이다를 가질 필요도 있겠고요(게다가 DDH-2의 SPS-49는 2D라서...).
한편으로 북한이 대함미사일 100발을 동시에 꽂을 나라는 아닐 터인데, 북한'용'이라면 이지스까지 필요한가 싶기도 합니다. 미군과 연동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기도 하지만, 동시에 '대양'해군의 불씨(?)가 완전히 꺼지지 않았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습니다.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5.07.19. 21:45
ssn688
본문 이글루스에서는 "미국이 북한 상대로 작전할떄 이지스함을 쓴다"가 주요 논지로 되어 있는 점이 흥미롭더군요.
profile image
ssn688 2015.07.20. 11:39
김민석(maxi)
미국이야 SMART-L급 레이다를 장착한 구축함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SPS-48을 장착한 NTU 구축함은 죄다 퇴역했고, "(구축함)가진 게 이지스뿐"이니, "왜 이지스인가?"라는 질문은 역시 우리쪽에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주 2015.07.20. 11:54
ssn688
북한의 위협을 과소평가하고 이지스의 능력을 과대평가 하는것 같습니다. '고작' 실크웜에 대한 해군의 요격 실사 결과를 보면 좀 놀라실듯..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5.07.20. 12:02
ssn688
공개된 논문에서 해군 대공전 능력의 전모를 파악하는 것은 무리가 있겠지만 상당히 의미있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포하는 논문들이 많습니다.. 가령 윤영하 대공전 능력이라던가.

미국이 한국에서 사용할 배는 이지스함밖에 없다는 점에서 ssn688님의 질문은 타당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주 2015.07.20. 18:44
김민석(maxi)
윤영하의 함포 기반 대공전..ㅡㅡ; 이론상은 4기던가요? 현역중에 그걸 믿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eceshim 2015.07.20. 20:03
제주
믿지는 않으시겟지만 ADD 연구원님이 고생스럽게 시뮬레이션 모델을 만들어서 내놓긴 했습니다.
관심있으시면 문서자료실에 제가 올린 논문 2편 참고하세요 ^^
1편은 시뮬레이션 모델을 어떻게 구축하였는가이고
1편은 그걸 돌렸더니 4발은 막더라. 라는 논문입니다.
고객님이 원하지 않아도 강제 배달하는 잉여 택배.
제주 2015.07.20. 20:41
eceshim
운영은 사람이 하는거라서.. PKG 타는 함장 부장 전투체계관들에게 님들 저 함포로 미사일 막을수 있으셈 하고 물어보면..ㅡㅡ
eceshim 2015.07.20. 20:52
제주
작성자 말로는 된다고 하니까요
Human factor 집어 넣으면 한없이 떨어지겟죠.
그냥 속편하게 교전을 전자동으로 하면 되기야 되겟죠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22:39
eceshim
울산급이 4대의 항공기를 상대 할 수 있다라는 주장도 한적(해군 훈련소 교관들이 그렇게 가르침)도 있으니......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05:32
해당 블로그도 가서 읽어 봤는데.....

일단 예전 미군이라면 한국 해군? 너네들이 알아서 해...무조 욕조안에서 노는 아이들이 해군 어쩌고.....(사실 공군도 KF-16만 우리하고 같이 작전하자 나머지는 필요없어...했으니..)
듣기로는 KD2 나오면서 오호!!! 이제 우리랑 작전 같이 좀 하겠네....하는 이야기가 나온것이고.
결국 이지스도 팔았고....미국 예산 압박도 줄일겸 이제 좀더 보강해서 우리가 하던 일도 좀 너희가 해라...우리도 이지스 많지만 보내야 할 곳이 어디 한 두 군데냐...
하는 의믿 있겠죠. 저 이지스의 역할과 미군이 하던 임무 수행이라는 부분에서 갸우뚱 해지는 대목이 좀 많습니다.
3군의 파워 게임도 그렇지만....공군이 저런 통제에 대해 해군에게 임무를 부여할지도 좀...!!!
profile image
minki 2015.07.20. 05:38
추가적으로 공군이 해군 도와줄 여유가 없으니 해군 스스로 알아서 해야 한다(스스로 항공 전력을?)...하는데...??
공군이 바쁜것은 이해 하는데 북한 공군은 여유가 철철 넘쳐서 해군에 전력 투사할 여유가 얼마나 있을지...
물론 북한 공군의 주적!이 남한 공군이 아니라...남한 해군에 대한 육탄 돌격이라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나돌기는 했지만....
해군이 그걸 위해서 이런 저런 전력을 보강한다는데....쩝.... 앞뒤가 좀 어색하군요. 그리고 이지스의 지휘 통제 기능이 나쁘지는 않은데...
한국 해군이 꼭!!! 그걸 이유로 추가 도입해야 한다는 것은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느낌이 듭니다.
드림케스트 2015.07.20. 09:37
슈퍼호넷 구입하는게 군수지원이 원할 할것같아 보이는데..
캬오스토리 2015.07.22. 17:04
근데...
공역관리를 해군이 한다...
이게 정말인가요?

추측인데, 공역관리를 해군에서 한다는건 미공군 권역이
아닌 작전지역.. 에서 한다는거... 뭐 이런거 아닌가요?

솔직히 이해가 잘...
제주 2015.07.22. 18:11
캬오스토리
해군이 대공미사일 한발 쏠때마다 공군 허락을 얻어야 할까요?
캬오스토리 2015.07.22. 21:17
제주
아니...
주체는 공군, 그리고 해군은 공역관리에 참여 하는 형식인거 아닌가해서...
전 그렇게 이해하고 있었거든요.
근데 해군만 달랑 언급되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거 같아서..
제주 2015.07.22. 23:25
캬오스토리
왜 주체가 공군이죠?
캬오스토리 2015.07.22. 23:46
제주
그건 제가 되물어보고 싶네요.
왜 주체가 해군인가요?

제가 군 생활할땐 미 공군이 한반도 전 공역 관리했습니다. (참고로 관리권은 예전에 한국공군이 가졌지만 한국공군 자체가 사실상 오산 미공군에 예속되어 도움받는 상황이라..)

그리고 kdx프로그램 감사 당시 (그것도 전비태세검열실이랑 합동 검열)주목적에 한반도 공역관리라는 단어 비슷한것도 본적없구요.

근데 kd2가 했다?
그 이전엔 모르겠다?

공군이 무슨 통제없이 각개전투하는 집단입니까?
아니면 공군이 언제부터 해군 허락하에 작전 했나요?

전 90년대말 근무라 우리나라 해공군의 이런 새로운 역사를 모르니 좀 가르쳐주세요.

언제부터 공역관리를 공군이 포기하게 되었나요?
제주 2015.07.23. 00:39
캬오스토리
공군이 왜 해군 허락하에 작전을 하죠? 전 한반도 전 공역을 해군이 관리한다고 한적도, 공군이 공역관리를 포기했다고 한적도 없습니다만 왜 제가 하지 않은 주장에 대해 답변을 요구받는지 모르겠네요.
캬오스토리 2015.07.23. 02:02
제주

그럼 이렇게 고쳐서 말씀드리죠.
해군 kdx프로그램 목적에는 한반도 공역관리 개념이 없었습니다.

여기서 한반도라는 단어를 쓴것은 한반도 내에서 해군이 공역관리를 할일이 없다는 뜻이고,
해군이 주장하던 한반도 이외의 해역에서 활동할때, 그때 함대의 공역을 관리하는 개념은 있었기에 한반도 공역관리라는 말을 썼습니다.

즉 당시 해군 kdx프로그램내에선, 해군이 한반도 내에서 공역관리 주체로써 인정받는걸
아무도 상상 안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다시말해 제가 말한 한반도는 해군이 전 영역을 관리한다거나 하는 의미가 아니라,
최초 계획에선 '한반도 내에서 해군이 공역관리 할일이 없다'는 의미이고, 따라서 정말 이지스던 뭐든, 해군이 '한반도 이내 전장에서'

공역 관리 하는게 확실하냐는 되물음입니다.

그리고 다음...
그럼 대체 공역관리는 어떤 공역관리냐...
님의 답변을 보니, 미리 선정해서 그어놓은, 기존의 2차원 평면 공역이 맞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이건 해군이 만든 개념이 아니라 국가가 평시에는 안전한 항공 운항을 보장하기 위한 영역이며,
공군 입장에서는 자군 기체가 역시 안전한 기동을 보장받도록 관제하는 영역이죠.
해군이 끼어들 여지가 없고, 오히려 해군쪽 기체도 공군의 관제를 받습니다.
(기어링때는 내리고 뜨는 해군 헬기가 그랬습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한반도 내'에서는 말입니다.

근데도 이 영역이 맞다고 하셨습니다.
공군이 하던걸... KDX2가 나오니 KDX2가, 그리고 KDX3가 하는걸로.

심지어 민기님이 해군함정을 중심으로한 영역 아니냐고 물었는데, 아니라고, 국가와 군이 미리 선정해서 그어놓은 그 분할이라고 말하셨죠.

근데 이리되면 기 기획된 광범위한 2차원 공역부분중 '일부 기획 공역'을 공군, 해군이 모두 관리를 자임하겠다고 덤비는 겁니다.

그리고 위에 백선호님이 KF-16도 포함이냐 하자 부인을 하지 않고, 지정된 공역안을 통제한다고만 답변하셨으니,
그럼 공군 기체까지도 해군이 관리하고자 하는 공역에선 관리하겠다는거죠. (다른 표현도 없으셨기에 저는 그리 이해했습니다)

그럼 안전한 비행이라는 목적으로 관리되는 공역을 보장하는 주체가 공군-해군 복합체가 되어
하나의 기체에 두곳의 관제가 가능해지거나, 아니면 누군가는 주가 되고 누군가는 부가 되어야
명령의 위계질서가 세워져 전장 컨트롤이 될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물었죠.
혹시 공군이 주이고 해군이 보조아니냐..

그러자 뜬금없이 왜 주체가 공군이냐는 되물음이 나왔습니다.

아니, 공역의 관리 주체가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위한것이고, 평시에는 각 관제센터가, 그리고 전시에는 공군이 관리하는것인데,
왜 주체가 공군이냐...?

그럼, 해군이 공군기체의 관리를 해당 공역에서 진짜로 하겠다는 겁니까?
아니면, 해공군이 다른 명령 내리면, 조종사가 알아서 판단하는, 통제안되는 각개전투 관리로 바뀐겁니까?

저로써는 해군의 이지스함이 공역관리를 한다는데, 이게 정확하게 무슨 의미로 이야기하는건지도 이해 안가거니와,
(저도 다른분들처럼 처음엔 이지스함이 함대 방어, 방공을 맡고 있으니 해당 영역만 보조적으로 하는줄 알았는데..)
님의 말씀을 보면 공군이 지정해놓은 공역의 일부를 이지스함만 믿고 공군 스스로 관리하길 포기했다는 이야기거나
(저는 한반도내 근접전을 항시 염려하는 공군이 그럴리 없다고 생각해서 정말 이 부분이 궁금하거든요...)
아니면 님의 말씀처럼 공군이 주체가 아니라 해군이 주체가 되어 관리한다... 이말인지...
저는 정말 궁금해서 그러니 그만 비아냥 거리시고 답변좀 주시기 바랍니다.

아, 그리고 이도저도 아닌 또 다른뜻으로 말씀하신거라면...
그럼 다른 의미도 좋으니 그런 가르침을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PS : 저는 당신에게 핀잔이나 비아냥을 들으려고 글을 올린게 아니라, 궁금해서 묻고 있는겁니다.

제주 2015.07.23. 09:16
캬오스토리
서로 공역이란 단어의 뜻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듯 합니다. 당연히 한반도 전 공역을 관리하는것은 공군이고, 전시엔 연합 공구사에서 통제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님은 공역통제 주체는 공군이다라고 하신것 같고, 제가 말한 것은 해당 공역에 한정해서 이지스함이 해당 공역 내의 통제를 이미 공군으로부터 위임 받았는데 공군이 왜 더 추가로 간섭을 해야하는 것인지를 말한겁니다. 해군의 공역통제 관련해서는 해상작전을 위한 특정 지역에 대해 해구사령관 또는 해작사령관이 공역통제권자로 지정되며, 해상전력을 단일사령관 지휘 아래 통합하여 상호지원을 강화하고 항공기와 방공자산의 운영을 단순화하기 위함입니다. 자세한 것은 MASOC(특수부대 아님), AOA, HIDACZ 개념에 대해 알아보시면 될듯 합니다. 제가 설명을 잘 못하겠어서..ㅡㅡ 기본적으로 minki님이나 님이 말씀하신 개념과 비슷하나, 제가 minki님 말씀에 아니라고 한 것은 minki님 의견을 제가 틀리게 이해한 것일수 있지만 통제범위 설정이 함대가 중심이고 함대가 이동하면 구역도 따라서 이동하는 것처럼 생각되서 그건 아니라고 한겁니다.
profile image
Mi_Dork 2015.07.23. 10:56
제주
이제야 좀 개념이 이해가 가네요. 설명 감사합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6229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41208
157 기타
image
eceshim 15.07.30.16:04 0 381
156 기타
image
Tangent 15.07.29.17:48 +2 905
기타
normal
우케케 15.07.17.01:41 +1 1939
154 기타
normal
후레자식아서스 15.07.15.00:23 0 543
153 기타
normal
hotae12 15.07.13.12:26 0 560
152 기타
normal
AOC 15.07.11.13:35 +2 422
151 기타
normal
eceshim 15.07.07.13:37 0 647
150 기타
image
II 15.07.06.13:26 0 516
149 기타
normal
루프트바페 15.07.02.17:11 0 873
148 기타
normal
제주 15.07.01.18:57 0 545
147 기타
image
unmp07 15.07.01.16:18 0 542
146 기타
image
볼츠만 15.06.30.00:23 0 671
145 기타
image
후레자식아서스 15.06.28.14:39 +1 951
144 기타
normal
후레자식아서스 15.06.27.17:33 0 477
143 기타
normal
Mi_Dork 15.06.26.15:52 0 228
142 기타
normal
rine 15.06.20.20:31 0 553
141 기타
normal
eceshim 15.06.14.21:55 0 1294
140 기타
normal
제주 15.06.09.17:50 0 1017
139 기타
normal
제너럴마스터 15.06.09.09:19 0 1888
138 기타
normal
제주 15.06.05.15:34 0 1015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