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체계 SM-3 블록2의 기밀인 기능은 무엇일까요?
닥터피쉬
716 0 8
https://insidedefense.com/daily-news/mda-acknowledges-clandestine-sm-3-block-iia-experiment-classified-capability
(유료 기사)
https://twitter.com/MIL_STD/status/1619133461289402368?t=lcuN50o_fII_Uk1XuiICSA&s=19
(트위터)
미국 미사일 방어국에 따르면 작년 4월 9일에 sm-3 블록2의 기밀로 분류된 기능을 실험한 사실을 올해 인정했습니다.
물론 실험 사실만 인정했고, 무슨 실험을 했는지는 비공개입니다.
이에 네티즌들은 대지타격, 고기동탄두 요격, 극초음속 활강체 요격등 다양한 추측을 내놓았는데요.
과연 이 숨겨진 기능이 뭘지 다양한 추측해보시길 바랍니다
댓글 8
댓글 쓰기 슈발리에
SM-3는 대기권 내에서는 사실상 쓸모 없는 물건이라서, 대함/대지 타격능력을 검증해봤을수도 있습니다. 극초음속 대함미사일로도 기능할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한편으로 초소형 위성 발사나 감시용 장비 발사 기능같은것일수도 있을 듯 합니다. 80km 이하의 최저고도를 갖는 극저궤도 위성같은 경우 수 킬로그램 단위의 위성으로도 상당히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물론 그 수명은 최대 한두달 정도 수준에 불과하겠지만요.
한편으로 초소형 위성 발사나 감시용 장비 발사 기능같은것일수도 있을 듯 합니다. 80km 이하의 최저고도를 갖는 극저궤도 위성같은 경우 수 킬로그램 단위의 위성으로도 상당히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물론 그 수명은 최대 한두달 정도 수준에 불과하겠지만요.
YoungNick
혹시 MOKV 같은 다중 요격체 실험은 아니겠죠?
사랄라라라라
SM-3의 내부 용적을 생각해보면 다중 요격체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KV가 지금보다 작아지면 과연 유의미한 ICBM 타격이 가능할지 의문이고, KV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KV를 더 싣는게 가능할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M-3 미사일의 현 크기로 대체 어떻게 지금의 속도-고도를 얻으면서 탄두를 던지는지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개인적으로는 SM-3 미사일의 현 크기로 대체 어떻게 지금의 속도-고도를 얻으면서 탄두를 던지는지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YoungNick
1)SM미사일을 극초음속 대함/대지공격에 사용한다 일리있는 말씀이네요
아직 극초음속미사일은 개발중이니 말이죠
2)그래서 2,3단계의 추진체가 굵어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합니다
블록 1은 13.5인치였는데 2A는 21인치,2B는 27인치라고 하네요
3)블록 1의 속도가 마하 8이였는데 블록 2에서는 마하 13으로 올라셨으니
KV탄두가 좀 작아지거나 가벼워져도 비슷한 위력을 낼수 있지 않을까요??
아직 극초음속미사일은 개발중이니 말이죠
2)그래서 2,3단계의 추진체가 굵어지고 있는 추세이기는 합니다
블록 1은 13.5인치였는데 2A는 21인치,2B는 27인치라고 하네요
3)블록 1의 속도가 마하 8이였는데 블록 2에서는 마하 13으로 올라셨으니
KV탄두가 좀 작아지거나 가벼워져도 비슷한 위력을 낼수 있지 않을까요??
슈발리에
2) 추진체가 굵어진다고 해도 총 중량이 수톤이 될까말까 한 녀석인데 저정도 성능이 나오니까요.
당장 우리나라에서 개발했던 KSR-3 같은 로켓은 SM-3의 몇배나 되는 중량으로도 저만큼의 속도-고도를 얻지 못했습니다.
3) 위력의 면에서는 그럴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KV 탄두는 센서와 추진체 등으로 꽉꽉 눌러채워진 수준입니다. 속도가 올라가면 제어용 추진기가 더 강력한 물건이 필요하고, 거기에 중량과 용적을 배분한다 치면 더 작고 가벼운 KV를 만드는건 어렵지 않을까요?
당장 우리나라에서 개발했던 KSR-3 같은 로켓은 SM-3의 몇배나 되는 중량으로도 저만큼의 속도-고도를 얻지 못했습니다.
3) 위력의 면에서는 그럴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KV 탄두는 센서와 추진체 등으로 꽉꽉 눌러채워진 수준입니다. 속도가 올라가면 제어용 추진기가 더 강력한 물건이 필요하고, 거기에 중량과 용적을 배분한다 치면 더 작고 가벼운 KV를 만드는건 어렵지 않을까요?
YoungNick
답변 감사합니다. 생각해보니 SM-3은 지상형뿐만 아니라 해상형도 있으니 GBI 보다 미사일 크기에 제한이 크겠네요.
2)사실 로켓에 대한 연구는 2차대전말부터 시작했으니 우리가 한참 늦었죠
저는 그나마 지금같은 KSR-3 로켓 정도만 되도 우리나라 과학자와 기술자의 노력에
경의를 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3)추진체가 더 빨라지고 더 굵어졌으니 더 강한 KV탄두를 탑재하거나 미사일에 탑재된
탄두의 숫자가 늘어날수 있다는 생각은 할수있죠 미국은 전자를 선택한거구요
*추신:미국-일본 공동개발은 SM-3 블록2A만인거 같네요 물론 2B는 취소됐고
SM-3에 폭풍파편탄두?를 넣어서 극초음속미사일에 대한 대응능력부여연구를
레이시온이 제안 했다네요
저는 그나마 지금같은 KSR-3 로켓 정도만 되도 우리나라 과학자와 기술자의 노력에
경의를 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3)추진체가 더 빨라지고 더 굵어졌으니 더 강한 KV탄두를 탑재하거나 미사일에 탑재된
탄두의 숫자가 늘어날수 있다는 생각은 할수있죠 미국은 전자를 선택한거구요
*추신:미국-일본 공동개발은 SM-3 블록2A만인거 같네요 물론 2B는 취소됐고
SM-3에 폭풍파편탄두?를 넣어서 극초음속미사일에 대한 대응능력부여연구를
레이시온이 제안 했다네요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그거는 아닌 것 같고 SM-3 블록-2가 마하 13인 걸로 봐서는 고 기동탄두 요격보다는
극 초음속 미사일 요격인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