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국산 무기도 미국처럼 내수용과 수출용 차등을 둘까요?

22.07.28. 12:49
요즘 K방산 잘되서 기분 좋네요.
방산 규모가 점점 커지는데 궁금한점이 생겼어요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해외 무기판매시 내수용과 수출용 성능 차이를 둘까 하는 점입니다.
레드백처럼 그 나라 요구도에 맞춰 더 좋게 만들어 수출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전략무기로 분류되는 급들은 다르지 않을까 해서요.
F35를 예를 들면 미국 내수용과 해외용은 하드웨어는 같아도 소프트웨어 성능 차등을 많이 둔다고 하더군요.
우리 잠수함, K2전차, FA50, KF-21등도 유사한 차이를 둘까 궁금하네요.
물론 미국처럼 앞선 기술통제를 할 처지는 아직 아닌건 같지만
100%의 성능 그대로 수출하는게 좀 아깝기도 하고, 흘러흘러 적성국에 들어가면 기술유출이 걱정 되기도 하고 그러네요.
22.07.28. 12:48
요즘 K방산 잘되서 기분 좋네요.
방산 규모가 점점 커지는데 궁금한점이 생겼어요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해외 무기판매시 내수용과 수출용 성능 차이를 둘까 하는 점입니다.
레드백처럼 그 나라 요구도에 맞춰 더 좋게 만들어 수출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전략무기로 분류되는 급들은 다르지 않을까 해서요.
F35를 예를 들면 미국 내수용과 해외용은 하드웨어는 같아도 소프트웨어 성능 차등을 둔다고 하더군요.
우리 잠수함, K2전차, FA50, KF-21등도 유사한 차이를 둘까 궁금하네요.
물론 미국처럼 앞선 기술통제를 할 처지는 아직 아닌건 같지만
100%의 성능 그대로 수출하는게 좀 아깝기도 하고, 흘러흘러 적성국에 들어가면 기술유출이 걱정 되기도 하고 그러네요.
요즘 K방산 잘되서 기분 좋네요.
방산 규모가 점점 커지는데 궁금한점이 생겼어요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해외 무기판매시 내수용과 수출용 성능 차이를 둘까 하는 점입니다.
레드백처럼 그 나라 요구도에 맞춰 더 좋게 만들어 수출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전략무기로 분류되는 급들은 다르지 않을까 해서요.
F35를 예를 들면 미국 내수용과 해외용은 하드웨어는 같아도 소프트웨어 성능 차등을 많이 둔다고 하더군요.
우리 잠수함, K2전차, FA50, KF-21등도 유사한 차이를 둘까 궁금하네요.
함부러 중요 부품을 띁어보지 못하게 하는 사항까지도요.
물론 미국처럼 앞선 기술통제를 할 처지는 아직 아닌건 같지만
100%의 성능 그대로 수출하는게 좀 아깝기도 하고, 흘러흘러 적성국에 들어가면 기술유출이 걱정 되기도 하고 그러네요.
댓글 6
댓글 쓰기



우리 기술이 발전 할수록 타국이 따라오지 못하게 허들을 만들 필요가 있으니까요.

제 기억이 맞다면 7.62mm K-16 기관총의 경우 수출형은 단발사격 기능을 추가하였지만, 국군의 경우 단발사격기능이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또한 수출국에서 비용을 부담스러워하면 기능을 빼버려서 저가화하는 방법도 나오기도 하고요.
그런데 AESA같은 레이더는 아마 수출할때도 이것저것 락은 아마 걸지 않을까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