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관련 토론 게시물이 올라오는 게시판입니다.
육상체계

K-21, 반응장갑을 부착할 수 있나?

unmp07 unmp07 3185

0

70

https://milidom.net/freeboard/104599

 

며칠전 자유게시판에 K-21장갑차가 반응장갑을 부착하기 위해선 수상주행장치를 제거하고 대대적인 개조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물론 제가 디펜스타임즈가 인용한 원문자료를 보지못하고 구하지도 못해 알 방법은 없으나 저는 여기에 의문점이 드네요.

 

1.PNG

 

SAM_0782.JPG

 

K21자체가 25톤급 중량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곤 하지만

 

K21의 유기압현수장치는 정적 하중은 2.5~3톤 동적 하중은 16차 지상무기학술대회에 나온 정보를 바탕으로 보면 00톤까지 버틸 수 있죠.

(정적 하중과 동적 하중은 다릅겁니다. 이를 착각하시는 분들이 꽤나 많죠.)

 

이를 통해 현수장치의 문제로 반응장갑의 무게를 버티지 못한다라고 주장하긴 힘들어보입니다.

 

그럼 다른 쪽의 문제로 보이는데....

 

캡처.PNG

 

K21의 측면을 지지하는 힌지부분이 스커드의 무게만 고려하여 설계되어 반응장갑의 무게를 버티지 못해 문제가 있지 않을까싶네요.

 

그런데 이 경우 힌지를 더 강하고 큰걸로 교체하던가 혹은 힌지를 늘리는 방법 등 나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지라....이를 대대적 개량이 필요하다로 보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제가 겨우 학부지식만 있어 이 이상 상세히 들어가긴 어렵네요.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한가요?

 

(결국 디펜스 타임즈가 인용한 원문을 찾아 읽어봐야하지만 관련 세미나에 참가하지 않아 구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죠.)

신고
70




    


제주 2015.05.11. 16:18
장착이 불가하다고 하는 의견 중에 실제로 어떤 근거를 제시하는 주장을 본 적이 없습니다. 전부 ~할 것이다. 하는 식의 추정에 불과했죠. 실제로는 그 근거라던 현수장치 한계도 수상주행능력도 장갑강화를 못할 절대적인 이유는 되지 못하죠.
제주 2015.05.11. 16:22
K-21은 지뢰방호능력을 제외하면 실제 능력 및 잠재력 대비 매우 저평가된 무기체계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뢰방호능력도 개량하기에 따라서 타국 차량의 사례를 볼때 해결 불가능한 문제는 아닌 듯 합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6:23
제주
저도 제주님과 같은 의견이지만...그런 의견을 내면 요즘 국뽕이라니 미친놈이라니 욕을 먹는 세상인지라....
우케케 2015.05.11. 20:33
제주
저도 K21에 만족하는 편입니다. 도하나 방어력으로 까이지만 글쎄요.. 가격과 한국 공병대의 장비수량을 생각하면 괜찮죠.
profile image
yukim 2015.05.11. 16:26
현수장치보다는 저거 달고 도하가능 중량 뽑아내려고 워터제트 뺀거 아니었나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6:26
yukim
워터제트를 뺀 이유는 중량제한이 25톤이라 뺀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6:27
unmp07
즉, 반응장갑과 관련이 없다는 것이죠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15.05.11. 17:54

그동안 추가 장갑을 더할수 있으나, 이 경우 자력도하는 포기해야 한다.....로 알려진거 아니었나요?

제주 2015.05.11. 18:37
폴라리스
자력도하를 위해서 많은걸 포기했기 때문에, 도하를 포기하고 장갑을 강화하는 중량 증가 자체가 차대가 못 버텨서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한때 대세였습니다. 지금도 그렇게 주장하는 사람들 많이 있고요.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15.05.11. 18:47
제주
ISU의 추가 허용중량이 최대 10톤 이상이라고 들었는데.....그런 의견이 있었군요....
우케케 2015.05.11. 20:38
제주
그런 의견도 있었군요. 상식적으로 증가장갑이 불가한 보병전투차라는 게 말이 안되죠
지금까지 그런 물건이 존재한 적있었나요?ㅋㅋ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8:37
폴라리스
네, 그래서 당황스럽네요.
eceshim 2015.05.11. 18:04
oo톤은 대충 30톤대를 말하는 거겟죠?
저도 폴라리스님 처럼 추가 장갑(비활성이든 아니면 진짜 복합장갑들 달든)달면 중량 초과로 도하가 불가능하다로 알고 있는데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8:38
eceshim
ISU하나당 그것보단 작죠.
제주 2015.05.11. 18:39
eceshim
푸마도 추가장갑 달면 A400으로 수송이 불가능하죠. 당연한 겁니다. 근데 많은 사람들이 푸마의 모듈식 장갑 개념은 칭송을 하면서(사실 개념을 잘못 잡아서 레벨A-C로 3단계로 나눠놓고 정작 레벨B가 실종되어버린 실패한 개념인데도..) K-21은 '반드시 도하를 해야되기 때문에 장갑강화를 할 수 없다'는 해괴한 주장을 믿고 있죠.
profile image
ssn688 2015.05.12. 12:17
제주
푸마의 레벨B는 운용(수송)상 이점이 애매한 단계라 폐지된 거고(레벨C에서 폭이 너무 넓어져 철도운송이 안될 경우를 대비한 건데 C로 철도운송 가능해짐. 차량들을 A상태로 A400에 각각 적재하고, 모듈장갑과 공구를 별도의 기체가 적재할 경우에도 B가 C에 비해 딱히 메리트 없었고요), 레벨A나 C가 목표로 한 중량을 초과했거나 방어력 미달이 입증된 것도 아닌데, 모듈식 장갑 개념 자체가 실패씩이나 되겠습니까. 최종적으로 A400이 적재중량 32t 달성 못하면야 푸마의 중요한 전제조건이 '곶아' 되겠지만요.
profile image
yukim 2015.05.11. 18:07
부력튜브에도 제법여유중량이 있어 한두개구역피탄시라도 다른튜브를 더부풀려서 버티다곤 하던데요.

처음부터 튜브를 더 부풀리면 2톤가량을 버틸수있지않을까 하는 의문도 들죠.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5.05.11. 18:38
yukim
그냥 도하장비를 가만히 두고 도하를 안하면 되지않나라는 생각도 들어서....
profile image
yukim 2015.05.11. 19:08
unmp07
사실 역으로 생각하면 CTA포탑(무인으로 구지안가도)을 도입하고 줄어든중량만큼 장갑을 강화하는 방안도..가능하다고 봅니다.
fatman1000 2015.05.11. 20:17
- 디펜스타임즈 기사를 요약하면,
1) 저자는 대대적인 개량을 하지 않는 수준에서 K21 중량을 30톤까지 늘릴 수 있다고 봅니다. 참고로, 30톤이라고 하면 CV930 MkII(28톤)/ASCOD(28톤)과 CV9035 DK(31.75톤)/Tulpar(32톤)/M2A3(33톤) 중간 수준 정도입니다.
2) 저자는 북한을 점령하는 과정에서는 한국군 현재 교리나 부족한 공병능력, 주력전차와 이전 장갑차 모두 도하능력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K21의 방어력나 도하능력 등은 문제라고 판단하지 않고 있지만, 점령 이후에는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특히 저자가 우려하는 시나리오는 점령 이후 대규모 저항 세력이 존재하는 지역에서 강행정찰 또는 순찰을 하는 경우입니다.

- 저 개인적으로는 점령 이후 생각해서 떡장갑 K21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부터 실패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싶네요. 서방 국가들이 열심히 떡장갑 장갑차를 만들고 있는데, 그런 떡장갑 장갑차들을 투입해서 저항 세력 때려잡은 후 그 지역을 영구히 안정화시킨 사례가 있었다는 이야기는 전혀 듣지 못해서 말입니다. 북한 땅에 들어간 한국군은 아프간/이라크에 들어갔던 미군처럼 상황이 마음대로 풀리지 않는다고 해서 나갈 수 있는 상황은 절대 아니지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0:34
fatman1000
떡장갑 장갑차를 만든다고 지역을 영구히 안정화 시킬 수는 없지만, 승무원과 탑승 병력은 '덜' 죽지요. 전면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fatman1000 2015.05.11. 21:13
김치찌짐
- 덜이 얼마나 덜인지는 따져봐야 할 문제이지요. 예를 들면, 40톤짜리 푸마 장갑차 가격이 25톤 K21의 3배 수준이고, 보병 30명이 있고, 계산 편의를 위해서 푸마든 K21든 10명 보명을 탑승할 수 있다고 하지요. 사상자 측면에서 K21 3대 사서 30명을 기계화보병 만드는 것이 유리할까요? 아님 푸마 1대 사서 10명 기계화보병 만들고 나머지 20명은 알보병으로 그냥 있는 것이 유리할까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1:39
fatman1000

그러니 비용과 효용을 평가해서 적정 수준의 방어력을 산정하는 것이죠. K-21의 방어력은 1980년대 시절에 요구되던 것이고 2015년 현재 IFV에 요구되는 방어력은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는 사람의 목숨값이 올라간 점도 있고, 기술의 개발로 예전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방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점이나, 생존성이 작전능력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평가를 했기 때문이죠.

제주 2015.05.11. 21:52
김치찌짐
장갑방어력 요구도는 올라가고 있지만, 많은 경우 장갑차들이 그 요구도를 달성하는 방법으로 증가장갑이나 모듈식 설계를 내놓지 애초부터 기본형이 중장갑인 IFV를 내놓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도 생각을 해봐야 할겁니다. K-21의 무게와 방어력은 여전히 기본형 IFV의 표준 수준이고, 그보다 높은 방어력은 증가장갑 키트로 달성을 해야할 부분이라는 거죠.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1:57
제주
서방에서 21세기에 새로 설계된 IFV는 푸마정도 뿐입니다. 나머지는 다 기존에 있던 것들을 개량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죠. 그리고 푸마도 항공수송이라는 제약이 붙어있죠.

K-21에 증가장갑 키트 및 개량이 이루어진다면 좋은 일입니다. 문제는 소요와 개발이 되고 있느냐는 겁니다.
fatman1000 2015.05.12. 08:11
김치찌짐
- K21는 도하능력만 포기하면 현재 요구되는 IFV 평균 수준의 중량은 확보할 수 있습니다. 30톤 정도면 최고라고 하지는 못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최악도 아닌 평균 수준입니다. 문제는 그렇게 될 경우 전면전 시 중요한 능력 중 하나로 평가받는 도하능력이 없어지니 쉽게 결정을 못하는 것이지요. 문제의 발단인 디타 기사 결론은 도하능력도 계속 가지면서 방어력 올릴 수 있는 방법을 국방부나 ADD에서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하네요.
제주 2015.05.12. 08:40
fatman1000
30톤도 반드시 30톤에 딱 맞출거란 얘기도 아니지요. 엔진 출력으로만 보면 지금 떡장 키트를 둘러서 30톤 훌쩍 넘는 다른 장갑차들보다 K-21 출력이 더 높고 미션은 브래들리 계열과 같은 종류이니 적어도 브래들리 수준까진 가능하겠지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2. 09:44
fatman1000
그 평균이 올라가고 있다는 겁니다. 1980년 평균이 2015년에서는 통용되지 않는거죠. 30톤 정도로 중량하면 따라갈 수 있겠지만 아직 가시화된게 없죠. 도하기능과 방어력 고민은 1980년대에 IFV 개발 과정에도 있었고, 대부분 후자를 선택했습니다.
제주 2015.05.12. 10:26
김치찌짐
그리고 여기 올라온 최신 개발 사례 2종은 모두 전자를 택했지요. 러시아 쿠르가네츠와 터키 kaplan-20 장갑차. 80년대에도 서방 계열은(마더, 워리어, CV90, 아스코드, 다르도 힛피스트,89식 등)상당수가 방어력을 택했지만 구소련 BMP 계열 및 동구권, 중국 등은 수상주행능력을 포기하지 않았고 서방에도 AIFV같은 예외는 있죠. 이건 뭐 M113 발전형이다보니 그런거지만. 프랑스의 AMX-10P나 영국의 알비스 스토머 같은 경우도 수상주행능력이 있죠. 심지어 브래들리도 개량을 거듭하며 최종적으론 포기했지만 초기 기본형은 수상주행능력을 유지했습니다. 과연 80년대 보병전투차의 '대부분'이 도하를 버렸다는게 맞는 말인지 의문입니다. 그리고 80년대에 비해 방어력 평균이 올라갔다 하시지만, K-21의 방어력은 결코 80년대 평균 수준이 아닙니다. 전면 30mm APDS, 전방위 14.5mm AP 탄 방어는 대부분 80년대 IFV들이 증가장갑을 몇겹씩 둘러치고 자중이 30톤을 넘고서야 달성한 방어력이죠. 아스코드/울란 25톤짜리 기본형의 방어력이 전면 14.5mm, 전방위 7.62mm입니다. 마더, 브래들리도 증가장갑을 덕지덕지 붙이고서야 전면 30mm 방어가 가능했죠. K-21이 보병전투차 기본형 방어력의 평균이라는 것은 80년대 보병전투차(브래들리, 아스코드 등)의 최신개량형이나 새로 개발되는 보병전투차(푸마 등)의 기본형을 기준으로 말하는거죠. K-21이 그 덩치에 그 중량으로 그 방어력을 유지하면서 도하 능력까지 갖춘 것은 정말이지 복합장갑 기술과 튜브가 불러온 기적입니다. 이번에 같은 중량(추정)에 튜브없이 워터제트를 갖춘 쿠르가네츠가 나오면서 빛이 좀 바래지만.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2. 18:46
제주
서방과 동구권의 IFV의 기준이 다릅니다. 동구권은 서방에 비해 빈약한 방어력 대신 화력과 도하능력을 추구했죠. AMX-10P는 1960년대 개발되어 70년대 배치된 물건입니다. STORMER는 IFV로 분류하기 보단 APC에 가까운 물건이죠. 1980년대 이후 서방에서 개발된 IFV 중에 도하능력을 보유한건 없습니다.

전면 30mm 측면 14.5mm 방어는 딱 BMP-2/3와의 교전을 상정한 1980년대의 요구 방어력입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마더 같은 구형 IFV들은 개량을 거쳤고, 막 배치중이던 브래들리도 개량형이 나온 것이죠. 이런 요구를 수용하여 최초부터 설계한 CV-90도 있고요.
제주 2015.05.12. 21:45
김치찌짐

MCV-80 워리어가 전방위 14.5mm, VCC-80 다르도 힛피스트는 전방 14.5mm, 측후면 12.7mm, ASCOD 울란/피자로는 전방 14.5mm, 측후면 7.62mm, 89식은 전방 14.5mm, 측면 12.7mm(추정).. 80년대 개발된 서방의 장갑차들을 봐도 의외로 CV-90을 제외하면 증가장갑을 안 넣은 기본형이 전면 30mm, 측후면 14.5mm를 만족하는 차량은 좀처럼 없네요. 여담이지만 터키 Tulpar도 기본형은 전방위 14.5mm, 증가장갑 장착시 25mm 방어네요.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2. 23:33
제주
VCC-80 는 전방 25mm 측면 14.5mm AP랍니다. ASCOD는 장갑 붙여서 30mm/14.5mm고요. '기본형'이 못막으니까 K-21보다 못해! 라고 해봐야 무의미한게 옵션을 붙여서라도 30mm/14.5mm 충족해서 나옵니다.

80년대 ROC가 30mm/14.5mm로 정해지면서 기존 IFV는 개량을 통해, 신규 IFV는 설계단계에서 이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거기에 더해 IED 및 대전차 미사일에 대한 추가적인 방호력을 확보하는게 ROC화 되어가고 있고요.

K-21의 방어력은 1980년대 요구되던 ROC이고, 2015년 현재에선 그 ROC가 높아지고 있다는 걸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우케케 2015.05.11. 21:16
김치찌짐
전면전에서는 글쎄요.. 수량과 가격도 염두에 두기 시작하면 다른분도 지적하셨다시피 과연 덜 죽는 것일지..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1:37
우케케
전면전에서도 생존성이 높으면 병력이 '덜' 죽고 이건 작전능력에도 영향을 끼칩니다. 이스라엘과 러시아가 괜히 중장갑 APC/IFV를 만드는게 아니죠.
제주 2015.05.11. 21:48
김치찌짐
그러나 한편으로 그런 중장갑 APC/IFV가 모든 IFV 소요를 채우진 못하고 있죠. 러시아만 봐도 아르마타 T-15와 함께 쿠르네츠25와 부메랑을 동시에 공개했고, 미국은 브래들리 차체로 AMPV를 만들려고 하고 있죠.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1:51
제주
모든 APC/IFV를 중장갑화할 필요는 없으니 IFV는 중장갑화, APC는 기존과 비슷하게 하고 IED 대응에 초점을 맞추죠. 그런데 K-21이 그런가요?
제주 2015.05.11. 21:56
김치찌짐
K-21의 최종적인 방어력은 증가장갑키트가 나와보고 판단할 일이죠. 유럽의 여느 IFV도 증가장갑을 뺀 기본형 차체는 K-21과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마더나 영국 아스코드 같은 것도 말이죠.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2:00
제주

마더는 70년대 만들어진 물건이고, 아스코드도 기반은 90년대 만들어진 물건의 개량형입니다. 그리고 후자는 현재의 추세를 반영하여 30~35톤의 전투중량을 목표로 하고 있지요.

 

문제는 육군이 이러한 추세를 알아차리고 K-21을 개량할 생각과 의사가 있냐는 겁니다. 

제주 2015.05.11. 22:03
김치찌짐
푸마를 쓴다는게 마더를 썼네요..ㅡㅡ; 뭐 여튼, http://blog.naver.com/yanagi0221/30167812711 다른 글에 폴라리스님 붙여준 링크 주소고 김치찌짐님도 이미 보셨지 싶습니다만, 이거 보면 대충 생각이 없진 않아보입니다.
profile image
김치찌짐 2015.05.11. 22:08
제주
언젠가는 나올지도 모르겠지만, 그때의 전장환경과 추세는 또 다른 것을 요구하겠죠. 언제나 10~20년 정도 늦게 대응하는데 '그래도 하긴 하니까..' 라고 위안할 수는 없어 보입니다.
우케케 2015.05.11. 22:22
김치찌짐
전 전면전에서의 생존성은 더 많은 수량의 장갑차로도 높일 수 있다고 보거든요. 그리고 장갑차가 떡장 더 두른다고 mbt도 격파할지 모르는 대전차미사일이나 전차포를 버틸지도 의문이구요. 대구경 화포에도 외부장비나 궤도가 파괴되서 전투불능이 되는 것도 마찬가지구요.
우케케 2015.05.11. 21:13
fatman1000
떡장갑은 그냥 당장의 피해를 줄인다 정도의 의미죠. 그 이상의 근본적인 의미는 뭐.. 거의 없죠. 북한을 점령한 한국군의 경우 충분한 숫자의 전투병력, 무기나 폭발물에 대한 엄격하고 신속한 단속 및 통제, 현지 북한 군경을 활용한 협동작전, 기존 북한 행정조직의 활용, 지역민과 밀착된 민사작전이 중요하겠죠
지논 2015.05.11. 20:48

K21은 전쟁을 이기기 위해 만든 놈이지 전투를 이길려고 만든게 아니라서 전혀 문제 없습니다.

만약 시가전에 필요하다면 얼마 안되는 K21을 손대는 것보다 도태되는 M48을 포탑을 들어내고 한국형 BMP-T같은 물건을 만들어서 지급하는게 더 좋습니다.

일단은 승리를 확정짓지도 않았는데 시가전 고민을 하고, 그거 때문에 기동력을 포기하자는 말은 주객 전도로 밖에 안들립니다.

그냥 시가전용 전투차를 따로 만들어서 투입해야 하는게 맞습니다.

M48 600대이상 도태될텐데 동류전환으로 반만 유지한다고 치고, 그중 일부는 이스라엘 식으로 중장갑 돌격 APC로 만들고, 예산에 여유가 되면 러시아의 BMP-T처럼 고각 사격이 가능한 40mm기관포에 중장갑 떡칠한 놈을 만들어서 지급하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입니다.
(개인적으론 K21포탑을 추가 장갑 떡칠해서 얹어버리는 거 추천)

이미 비활성 반응 장갑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니 값비싼 사통이나 화력 시스템 추가되는 중량에 따르는 개량이 필요한 구동계 개량 등을 생각할 필요없이 포탑 들어내고 기관포 또는 아예 추가되는 장갑구획 일부만 얹고 시가전 전용 APC를 만드는게 여러모로 이익으로 보입니다.

러시아나 이스라엘이나 전부 시가전 지겹게 해보고 나온 결론인데 BMP-T방식이 비싸다면 이스라엘식 접근법이라도 적용하던가. 아무튼 이럴경우 진짜 제대로 된 시가전 장비가 될겁니다.
그리고 M48 자체가 지뢰방호가 좋은 차량이니 베이스로는 매우 완벽합니다.

우케케 2015.05.11. 21:19
지논
하긴 많은 수량이 필요한 것도 아닐테니 아예 시가전 전용 차량을 만드는 것도 나쁘지는않을듯합니다.
eceshim 2015.05.11. 21:15
결국 나메르 장갑차에 40미리 포탑올린 물건을 만들어야 만족하겟다 그거네요.
우케케 2015.05.11. 21:17
eceshim
오오 그거이야말로 밀덕의 꿈아니겠습니까ㅋㅋㅋ근데 가격이..흠..
profile image
폴라리스 2015.05.11. 21:17
러시아가 아르마타 BMP(보병전투차)를 만들면서 30mm와 코르넷 4발을 단 이유를 생각해봐야죠.
profile image
ssn688 2015.05.12. 12:26
K21의 (수상도하 포기하고)중량증가 제한에 대해선 디펜스타임스 외에도 밀리터리리뷰에서도 언급했는데, 일단 중량증가 폭을 결정할 만한 요인으로선 현수장치와 변속기이며, K21의 경우 각기 30t까진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 실질적인 중량증가폭은 3t이란 표현도 있습니다만, 딱히 이유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런 조건에선 반응장갑까진 달겠는데 반응장갑 + 능동방어 구비는 불가능하다고 보더군요.
종이호랭이티거 2015.05.12. 15:16
방어력은 바라지도 않규 시속6km가 고작인
어설픈 수상주행능력이나 개선했으면
좋겠습니다
제주 2015.05.12. 15:39
종이호랭이티거
워터제트가 없는게 아쉽긴 합니다만 수상주행이 가능한 다른 장갑차들과 비교해도 딱히 떨어지는 속도는 아닙니다만.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6328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41305
250 육상체계
normal
잉크 15.05.12.21:09 0 3471
249 육상체계
image
unmp07 15.10.24.21:08 0 3443
248 육상체계
image
yukim 16.10.12.11:27 0 3380
247 육상체계
normal
치킨먹고싶다 15.06.30.18:06 0 3379
246 육상체계
normal
yukim 16.06.10.13:12 +1 3338
245 육상체계
normal
화력덕후대한민국 16.12.22.22:52 0 3333
244 육상체계
normal
yukim 16.01.29.18:15 0 3328
243 육상체계
image
unmp07 14.12.03.10:53 +1 3321
242 육상체계
normal
yukim 15.03.09.17:05 +2 3295
241 육상체계
normal
hotae12 17.01.14.14:16 +2 3259
240 육상체계
image
shaind 19.07.11.00:49 +4 3256
239 육상체계
image
리피 16.04.13.15:17 0 3248
238 육상체계
image
Кузнецов 18.07.23.21:55 +4 3230
237 육상체계
normal
안승현 16.06.08.06:35 0 3226
236 육상체계
normal
DeltaForce 17.08.28.05:53 +2 3208
235 육상체계
image
whitecloud 16.03.22.23:36 +2 3205
육상체계
image
unmp07 15.05.11.15:53 0 3185
233 육상체계
image
eceshim 15.03.24.18:54 0 3185
232 육상체계
normal
필라델피아 16.09.14.13:19 0 3178
231 육상체계
image
unmp07 14.07.08.09:47 +1 3162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