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관련 토론 게시물이 올라오는 게시판입니다.
공중체계

6세대 전투기 개발기간과 5세대기 양산성공 기간의 현실

옆집아저씨 3969

4

6

1.  양산개발에 성공한 5세대기는 F-35 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K-9의 수출성공 이유와 2차대전 T-38전차의 성공이유를 적절한 성능과 가격 때문이라는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군사 분야에서 무기 제작에서 성능도 중요하지만 경제성과 운용성은 더욱 필연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 아닙니다.
 
 우선 F-22의 순수한 비행성능은 F-35보다 우수하지만 왜 미국은 F-22를 고작 195대만 생산후 중단하고 F-35를 약3000여대 생산하려는지
이해를 해야 합니다.  F-22의 치명적인 약점은 장기적 경제적 생산및 운용성에 맞지 않는 플렛폼 이였습니다.
 미국의 스텔스기에 관한 연구는 SR-71 의 개발 시작시점인 1960년 초반기 부터 현재까지 약60년 연구 데이터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정점에선 결과물이 F-117->b-2->F-22->F-35로 이어지는 결과물이며 5세대 스텔스기라는 새로운 전투개념을 만들었지만
어느 나라도 미국만큼 높은 수준의 스텔스기 양산에 성공하지는 못했습니다.
 
 실제 전세계에서 경제적 5세대기 개발후 의미있는 양산을 성공한 나라는 미국 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F-35 개발 기간을 X-35 시험기부터 18년 정도로 알려졌지만 Joint Strike Fighter program 은
1992년 부터 시작헸으며 어느정도 완성한 2018년 현재까지 26년짜리 초장기 프로젝트입니다.
순수하게 개발비만 X-32,X-35프로젝트 보상비 까지 합치면 약200조 가량 되는 인류역사상 가장 큰 단일 사업 입니다.
 
 미국에서 성공한 경제성의 전략적 양산이라고 할수 있는 양산 스텔스기는 오직 F-35뿐입니다.
그외 스텔스기들은 이미 F-117은 조기 퇴역 F-22는 양산 중단, B2 스텔스 폭격기 또한 차세대 사업진행이 이미 결정 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대량 양산중단의 숨겨진 이면에는 양산비보다 2배 이상 커진 운용유지비와 스텔스기 로서의 급격한 성능 저하가 원인 입니다.
 
 보통 4세대급 전투기는 전투기 한대를 구매하면 운용유지 비용이 약 40년간 1~1.2대 정도 더 들게 됩니다.
하지만 스텔스기들은 비용이 약 2배이상 발생하고 수명이 40년을 보장하기는 커녕 10~20년만 지나도 스텔스로서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져 동체 노후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것의 의미하는 바는 총비용이 4배이상 증가하고 전투기 물량이 약 1/4로 줄여 군이 모든 임무를 해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대부분 F-117,B-2,F-22 스텔스 기체는 양산을 중단하고 차세대 스텔스기로 양산하는 것입니다. 
 
F-35는 약40년 운용성은 보장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100% 개발성공한 사업이 아닌것이 초기 의도보다 (4세대 고비용기체인 F-15보다 약1.5배) 운용유지비가 비싼것으로 알려 지고 있습니다.

 2. 6세대기 개발기간과 양산기간의 오해
 
중국의 스텔스기인 J-20전투기가 개발되었지만 모기만하게 보여야할 스텔스기가 농구공만하게 보인다는 흘러나온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런 근거없는 이야기로서 중국은 미국의 1990년초 개발 수준으로 기술이 성공했다고 추정 하더라도 중국은 미국의 양산기술을 넘기 힘듭니다. 앞으로 10년후 중국은 그들이 엔진개발에 성공하더라도 J-20은 의미 있는 전략적 양산수에 이르지는 못할 것입니다.
러시아 Su-57 성능또한 인도가 개발 탈퇴하고 심지어 러시아에서 조차 대량  양산에서 손을 땔 만큼 스텔스 성능이 실패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중국과 러시아는 모두 5세대 전투기를 개발완료 했으나 전략적으로 의미있는 양산은 하지 못했습니다.
즉 많은 국가나 사람들이 스텔스 모양이나 전파흡수 RAM도료만으로 해결될 것으로 보였던 5세대 전투기 양산기술은 결코 쉽게 극복할수 있는 기술이 아닙니다.
 
6세대기는 이러한 5세대 스텔스기 양산 기술위에 무인전투기나, EODAS가상화, 장 단거리 네트웍, 인공지능, 내부무장 모듈화등 그들에게 아직 없는 덜잡힌 개념을 넣어야 하는 것입니다.
 
 5세대기를 양산하지 않고 바로 6세대기로 개발 양산 할수 있고 곧 나올 것이라고  오해를 하시면 안됩니다. 
5세대 양산기를 넘지못하는 6세대기는 이미 6세대기 양산이 실패한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영국의 템피스트,  프랑스와 독일의 차세대 전투기, 일본의 F-3모두 개념적인 전투기일 뿐 입니다.중국,러시아처럼 걸음마도 시작하지 않은 나라들인 것입니다. 그럴일이 거의 없겠지만 이들 국가가 양산 까지 미국의 적극적 개발 지원을 받거나 F-35개발개념을 흡수해 개발을 완벽히 성공한다 해도 족히 그들 국가에서  양산을 하려면 30년은 걸릴 사업인 것입니다.
 
그만큼 6세대 스텔스 전투기 개발성공과 양산은 어려운 사업이고 개념인 것입니다. 
이것의 근본 원인은 전투기라는 제한된 공간에 가중되는 스텔스 중량과 내부무장중량  5세대 중량, 물리적 스텔스 물성특징, 전투기 양산용 복합재 물성특징, 엔진 개발 특성, 각종 5세대 개념 장비개발을 넘어 6세대 장비 개발 장착을 포함한 필연적인 기간 입니다.
 
계단을 한번에 오르는것 같아도 그 후유증은 운용및 양산기에서 미국처럼 철저하게 좌절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스텔스기 개발 역사를 반복하지 않으면 결코 얻을 수 없는 데이터 부족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F-35를 더 구매 해야 할까요? 그러나 그것은 결코 바람직한 현상은 아닙니다. F-35는 미국의 전투기이지 한국의
전투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F-35 운용 유지비 또한 F-15K의 운용비용 증가 상황을 고려하면 마냥 믿을 만한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 입니다. 그만큼 전투기 댓수는 줄고 운용유지비는 더많이 지불해야 합니다.
 그 대안 으로서 한국에서 개발하는 KFX는 얼마전 공개된 개발형상으로는 미들급 주력기로서 운용비용이 4.5세대 수준으로 예상되고 5세대 기술을 조합해 넣을 수있는 좋은 자국 플랫폼 입니다. 스텔스기로서 발전은 연구실에서 만드는것이 아닌 실제 양산 운용해 보아야 그 허실을 알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국이 정치적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중립국가에게 미국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저비용 최신 미들급 서방 플랫폼 이기도 합니다.
 5세대 전투기나 시험 전투기 개념은 앞에서 거론한 나라나 우리나라도 만들수 있지만 실제로 단기간에 경제적 운용성이 높은 단계로 양산할 수 있는 나라는 미국뿐 이라는 무기제작 현실을 꼭 염두해 두었으면 합니다. 한국은 차후 사업에서 스텔스기를 양산하고 싶다면 이러한 초기 스텔스기와 f-35의 양산및 운용의 차이점을 정확히 인지하여 스텔스기 양산 개발연구 간격을 사전에 따라잡아야 개발비용을 1/10~1/20로 줄일 가능성이 있을 것입니다.  

------

 

<운영자>

 

본문과 제목을 삭제했던 옆집아저씨님이 사과와 함께 본문과 제목을 보내와 복구했습니다.

신고
6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8.10.30. 15:14

저와 의견이 다른 부분도 있지만 생각해 볼 만한 부분이 많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image
김민석(maxi) 2018.10.30. 15:17

다만 운용유지비의 경우 비싼 것은 맞지만 그것이 과연 실패한 것인가(5세대기의 비싼 도입단가를 숨기기 위해 기체 단가는 낮추고 유지비용을 높인것은 아닌가)라는 점과, 비싼 운용유지비가 스텔스 성능 때문인가는 살펴보고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F-35의 운용유지비는 현재 우리 공군도 KF-16대비 약 X배로 추정하지만 직접 받아보고 굴려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영국과 프랑스-독일의 개념도 단순 6세대 개념이라기 보다는 5세대 전투기의 장점을 더 살리고 유지비용을 낮추는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5세대를 넘기고 6세대로 점프한다는 내용은 부적당해 보입니다.

옆집아저씨 글쓴이 2018.10.30. 21:02
김민석(maxi)

안녕하세요? 김민석님 에비에이션 위크 한국기자님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댓글만으로 영광입니다.

6세대기라고 말한것은 누군가 함부로 정의 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말이였습니다만

그러한 근거는 기존에 나온 5세대기와 차별화 하기위해 5세대기도 만들어보지 못한 영국과 프랑스가 너무 무리수로 만든 컨셉성이 보여서 도저히 6세대라고 지칭을 안할수가 없었습니다.

영국의 템피스트는 안정성과 고받음을 보증하는 델타익 카나드와. 수평미익을 없앴습니다. 더구나 드론을 초음속기에 내장 운용한다는 것은 초소형 드론도 초음속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저는 F-35에 스텔스 양산 개념을 넣고 저사이즈로 전투기가 300기이상 양산되어 나오면 6세대기가 맞을 정도로 획기적이라 봅니다.  프랑스의 컨셉은 아애 수직미익까지 없지요. F-35의 거대한 수평미익과 F-22의 수직미익을 없앨 정도면 그정도 찬사는 아깝지 않습니다.

자신감인지 미숙함인지 알수없는 새로운 컨셉이지만 무언가 다른 대안을 근거로 만들었다고 6세대기라는 말로 희망을 걸어 보았습니다.

 

도나 2018.11.21. 10:44

6세대를 자꾸 유인기에 한정하는 것 같아서 조금은.. 

현재 6세대기의 최대관점은 무인기입니다. 

 

아직까지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문제는 바로 유인기의 존재를 버릴것인가 아니면 존치할것인가 입니다. 

그결론은 미국에서는 금방났읍니다.

 

유인기 무인기의 혼용이라는 결론을 유추햇읍다.

 

그리고  각국에서는 유인기의 개발보다는 무인기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인기개발을 포기하지 않고서 계속해서 개발하는 이유는 한가지입니다. 

혼용운영을 할 유인기의 개발입니다. 

 

걸프전 아프카니스탄 보스니아 내전을 거치면서 이번 이라크점령까지 

극비로 진행된것은 바로 유인기의 출격횟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라는 것입니다. 

 

반면 유럽의 출격횟수는 늘어났다라는 것이고, 

 

특히 지상군의 아파치헬기의 능력치이상의 전공과 육군의 전공의 2번의 걸프전의 차이가 극심하게 났다라느것에 주의할필요가 있다라는 것입니다. 

 

미군 이제는 무인기를 맘껏 뿌려대고 있다라는 것이고, 그에 대한 회수를 철저히 하고 있다라는 것입니다. 

현재 중국에게 콧웃음치는 상황도 무인기의 존재는 사실상 전력외로 치부하는 경향도 강합니다. 

 

서해상이 무인기가 활동하기 가장 좋은 입지조건이면서 치명적인 생산기지 군모항 등등 전략적인 타격목표점이 몰려있다라는 것이고, 

 

평택의 미군기지는 바로 이러한 활동을 활발히 또 긴밀히 할수 있는 공간을 확보했다라는데서 

ㅅ사실상 미군의 서해상의 압박은 끝났다고 보여지는 것 같읍니다 

 

문제는 바로 투입될 무인기를 선도할 유인기종이 필요하다라는 것이죠. 

아파치의 경우 8대를 동시운영할수 잇는 상황이니. 

 

아마도 혼자서 24기의 모체로서 운영될듯이 보여집니다. 

 

특히 얼마전 항모에서 이착륙이 가능한 실험을 완료하면서 그후 그 무인기종은 그어떠한 언론에 노출되지 않고

아직도 개발과정이 오리무중입니다. 

 

유인기의 개발은 현재 몇가지 특징이 있읍니다. 

1. 스텔스성

2.소규모내부무장창

3.강력한 추력이 아닌 고속순항능력

4.미국만의 특징으로 엄청난 수량의 공중급유기를 보유.

5.aesa레이더는 기술발전으로 축소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확장성의 공간을 크게한다라는 점. 

6,일본의 실증기 크기로서도 확실한 스텔스능력을 확보할수 잇는데도 미국은 전혀 소형 스텔스기종을 만들어내지 않는다라는 점. 

 

 

현재 유인기의 개발은 모두 무인기의 모체로서의 운영을 하기위한 .. 미래전장에서 보기힘든것은 

유인기대 유인기으 도그파이팅은 거의 보기 힘들어질지 모릅니다. 

 

현재 러시아도 개발비용을 주구장창 외치는데 이제 쏟아져내는 무인기관련은 일언반구 언급조차되지 않고 있읍니다. 

 

중국은 되지도 않는 무인기를 자꾸 발표하고 있고, 

 

 

아마도 이제는 서해상은 무인기의 전투로서 모든것이 판도가 바뀔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지금 대한항공의 무인기관련해서는 엄청나게 조심히 극비로 취급되고 있고, 

 

아마도 서해상정도의 크기의 공간에서 운영하려면 항속거리 3000km내로 필요한 무인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오기전까지는 

유인기로서의 효용성은 그어느때보다 중요한 시기가 지금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보여집니다. 

지리둥절 2018.12.05. 10:17

현 전투기 기동성에 가장 큰 제약이 유인기라는 점이죠. 아무리 기술력으로 기동성을 높여도 인간이감당할수있는 중력의 한계는 정해져있으니...

옆집아저씨 글쓴이 2018.12.09. 19:44

추력이 강한 6세대나 주력 전투기형 무인기는 아직 미국도 제대로 컨셉을 못 만들었습니다.

주력 무기라는 것이 그렇게 쉽게 무인화가 안됩니다. 리퍼 같은 무인기는 속도도 느리고 대공능력도 거의 없는 공격기 일 뿐 입니다. 

멀티롤 전투기고 상위기종이 없는 무인전투기가 주력이면 적이 노리는 인적 기술적 보안 침투는 100% 막을수 없는 것이 기술의 현실입니다.

한번 뚫리면 국방력이 끝나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인기의 고기동성은  100~200km급 전투기 레이더, 광학장비 등과  조합된 20G이상 기동이 가능한 현대 미사일 때문에 절대적 큰 장점은 아닙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3722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38570
874 해상체계
image
밀리터리리뷰 20.02.04.19:19 0 5272
873 해상체계
image
코코리크리 20.02.02.17:30 0 1530
872 육상체계
image
밀리터리리뷰 20.01.29.18:52 0 3671
871 공중체계
normal
짬뽀 19.10.30.20:24 0 1832
870 육상체계
normal
다크쉐도우 19.10.21.19:23 0 4242
869 기타
normal
다크쉐도우 19.10.20.14:54 0 4132
868 육상체계
normal
코코리크리 19.10.17.11:02 0 2111
867 KF-X
normal
데인져클로즈 19.10.07.22:25 0 5029
866 공중체계
normal
코코리크리 19.10.01.16:42 0 4889
865 기타
normal
mahatma 19.09.24.09:42 0 3678
864 공중체계
normal
daumhyun 19.09.12.21:13 0 5530
863 기타
normal
mj8944 19.09.12.20:45 +3 1532
862 해상체계
normal
농부 19.08.28.12:27 0 6573
861 KF-X
normal
도룡이 19.08.27.23:15 +1 2384
860 전략
normal
아르마타 19.08.27.07:03 +1 3030
859 전략
normal
아르마타 19.08.18.12:39 0 1180
858 기타
normal
펭귄 19.08.15.10:06 0 698
857 전략
image
아르마타 19.08.13.10:37 0 1864
856 전략
normal
MIRAS 19.07.24.11:48 0 3112
855 해상체계
normal
MIRAS 19.07.20.11:56 0 2996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