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탈린그라드 전략적 공세 작전
1942년 11월 19일 ─ 1943년 2월 2일
남서부, 돈 및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이 볼가 소함대의 지원으로 수행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소련군은 제1 및 제2 근위, 제5 충격 및 제6군 지휘부, 5개 전차 및 3개 기계화 군단, 6개 여단을 증원받았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스탈린그라드의 독일군을 포위하는 11월 전선 공세 작전 "우란" (천왕성), 코텔니코보 전선 공세 작전, 스레드네돈스크 전선 공세 작전 "말리 사투른" (소토성),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독일군 집단을 섬멸하는 전선 공세 작전 "콜초" (고리) 가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76일. 전선 폭 ─ 85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50-2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1.5-2.5km, 전차 및 기계화 ─ 4-4.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남서부 전선 (42년 11월 19일 ─ 12월 31일) |
sd — 18, kd — 6, mk — 1, tk — 3, sbr — 2, tbr — 1 |
398100 |
64649 |
148043 |
212692 |
4946 |
돈 전선 (전 기간) |
sd — 24, tk — 1, tbr — 6, UR — 2 |
307500 |
46365 |
123560 |
169925 |
2236 |
스탈린그라드 전선 (42년 11월 19일 ─ 12월 31일) |
sd — 24, kd — 2, mk — 1, tk — 1, sbr — 17, tbr — 8, UR — 7 |
429200 |
43552 |
58078 |
101630 |
2363 |
보로네즈 전선 제6군 및 제2항공군 (42년 12월 16일 ─ 18일) |
- |
- |
304 |
1184 |
1488 |
496 |
볼가 소함대 (42년 11월 19일 ─ 43년 2월 2일) |
- |
8700 |
15 |
27 |
42 |
0,5 |
합 |
사단 — 74, tk, mk — 7, 여단 — 34, UR — 9 |
1143500 |
154885 13,5% |
330892 |
485777 |
6392 |
작전 결과. 전투 행위 동안 소련군은 독일 제4 전차 및 제6 야전군 주력을 포위하고 섬멸하였고, 루마니아 제3, 제4군, 이탈리아 제8군을 격퇴시켜 막대한 손해를 입혔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독일 사령부는 운명에 저항하는 병사들에게 종종 무거운 처벌을 집행하였다. 예를 들어, 포로로 잡힌, 스탈린그라드에서 제8군단을 지휘하던 하이츠 대장은, 전투의 마지막 단계에서 8일간 364건의 사형 판결을 내렸다. 적 손실은 80만 이상에 달했고, 32개 사단 및 3개 여단을 완전히 섬멸하였으며 16개 사단에 막대한 손실을 입혔다. 1943년 1월 10일부터 2월 2일 동안 집단 포위 섬멸 간 2500명의 장교와 24명의 장군을 포함하는 9.1만명의 병사를 생포하였다. 스탈린그라드에서의 승리는 전쟁의 터닝 포인트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었고 전쟁의 향후 진행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붉은 군대는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가져갔고 종전 때까지 유지하였다.
북카프카즈 전략적 공세 작전 "돈"
1943년 1월 1일 ─ 2월 4일
자카프카즈, 남부 및 북카프카즈 전선군이 흑해함대와의 공조로 실시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제5충격군 지휘부, 5개 사단 및 6개 여단이 추가적으로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부로 살스크, 모즈도크-스타브로폴, 노보로시스크-마이코프 및 티호레츠크-예이스크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35일. 전선 폭 ─ 840km. 소련군 진격 종심 ─ 300-6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9-17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남부 전선 (전 기간) |
sd — 13, kd — 2, mk — 3, tk — 2, sbr — 7, tbr –3, UR — 3 |
393800 |
54353 |
47364 |
101717 |
2906 |
자카프카즈 전선 (전 기간) |
sd — 37, kd — 7, sbr — 35, tbr — 8, UR — 2 |
685600 |
12088 |
30340 |
42428 |
1212 |
북카프카즈 전선 (43년 1월 24일 ─ 2월 4일) |
- |
- |
2970 |
6986 |
9956 |
830 |
흑해 함대 (전 기간) |
- |
65900 |
216 |
222 |
438 |
13 |
합 |
사단 — 59, tk, mk — 5, 여단 — 53, UR — 5 |
1145300 |
69627 6,1% |
84912 |
154539 |
4415 |
작전 결과. 우회 공세 동안 소련군은 집단군 "A" 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로스토프와 쿠반 강 경계까지 접근하였다. 그러나, 작전 계획은 완전히 이행되지 못했다. 적 주력은 돈바스에서 후퇴할 수 있었고 궤멸을 면했다. 붉은 군대는 점령된 스타브로폴 지역, 체첸-잉구셰티야, 북오세티야 및 로스토프 주와 크라스노다르 지역 일부인 카바르디노-발카리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을 해방하였다.
레닌그라드 봉쇄 돌파 작전 "이스크라"
1943년 1월 12일 ─ 30일
레닌그라드 봉쇄 돌파를 위한 전략적 공세 작전은 레닌그라드 및 볼호프 전선 타격 집단이 발트 함대 및 장거리항공군과의 협동으로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19일. 전선 폭 ─ 45km. 소련군 진격 종심 ─ 6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3-3.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레닌그라드 전선 (전 기간) ─ 제67군 - 제13항공군 (비행 제대) |
sd — 6, sbr — 7, tbr — 3, UR — 1 |
133300 |
12320 |
28944 |
41264 |
2172 |
볼호프 전선 (전 기간) ─ 제2충격군 - 제8군 - 제14항공군 (비행 제대) |
sd — 15, sbr — 7, tbr — 4 |
169500 |
21620 |
52198 |
73818 |
3885 |
합 |
사단 ─ 21, 여단 — 21, UR — 1 |
302800 |
33940 11,2% |
81142 |
115082 |
6057 |
작전 결과. 공세 동안 레닌그라드 및 볼호프 전선군은 적의 레닌그라드 봉쇄를 돌파하였고, 지상 교류를 복구시켜 줄 8-11km 폭의 회랑을 만들어내었다. 라도가 호수 남부 수역은 적에 의해 정리되었다. 소련군의 추가적인 공세 확대는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봉쇄 돌파 작전은 강력한 전략적 중요성을 함의하고 있었고 레닌그라드 전투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도시의 방어자들과 거주민들을 말려 죽인다는 적의 의도는 좌절되었다. 본 방면에서의 전투 행위는 이니셔티브는 붉은 군대 쪽으로 돌아갔다.
보로네즈-하르코프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1월 13일 ─ 3월 3일
보로네즈 전선군, 브랸스크 전선 제13군 및 남서부 전선 제6군이 실시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제69 및 제64군 지휘부, 전차 및 기병 군단, 9개 사단 및 5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오스트로고즈스크-로소샨스크, 보로네즈-카스토르노예 및 하르코프 전선 공세 작전을 수행하였다.
지속기간 ─ 50일. 전선 폭 ─ 250-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360-52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7-10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브랸스크 전선 제13군 (전 기간) |
sd — 7, id — 1, tbr — 2 |
95000 |
13876 |
23547 |
37423 |
748 |
보로네즈 전선 (전 기간) |
sd — 20, id — 1, kd — 2, tk — 2, sbr — 10, otbr — 10 |
347200 |
33331 |
62384 |
95715 |
1914 |
남서부 전선 제6군 (전 기간) |
sd — 5, sbr — 1, otb — 2 |
60200 |
8268 |
12155 |
20423 |
408 |
합 |
사단 — 36, tk — 2, 여단 — 25 |
502400 |
55475 11,0% |
98086 |
153561 |
3071 |
작전 결과. 우회 공세 동안 소련군은 적 "B" 집단군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헝가리 제2 및 이탈리아 제8군은 완전히 궤멸되었다. 침략자로부터 방대한 영토, 거대한 산업 및 행정 지구 ─ 보로네즈, 쿠르스크, 벨고로드, 하르코프 등을 해방하였다. 3월 초 공세군은 모든 역량을 소모하였고 모든 잠재적 임무 수행이 불가능해진 고로 방어로 전환되었다.
하르코프 방위 작전
1943년 3월 4일 ─ 25일
보로네즈 전선 좌익군 및 남서부 전선 제6군이 수행하였다. 작전 동안 제21군 지휘부, 6개 사단, 1개 전차 군단이 증원되었다.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보로네즈 전선, 좌익: 제3전차, 제40, 제69군 (전 기간) |
sd — 8, id — 1, kd — 2, tk — 1, sbr — 4, otbr — 5 |
281800 |
29807 |
28437 |
58244 |
2647 |
남서부 전선 제6군 (전 기간) |
sd — 5, kd — 3, sbr — 1, otbr — 1 |
64100 |
15412 |
12813 |
28225 |
1283 |
합 |
사단 — 19, tk — 1, 여단 — 11 |
345900 |
45219 13,1% |
41250 |
86469 |
3930 |
지속기간 ─ 22일. 전선 폭 ─ 200-240km. 소련군 퇴각 종심 ─ 100-150km.
작전 결과. 우세한 적 세력의 타격에서 보로네즈 전선 좌익 및 남서부 전선 제6군은 하르코프를 이탈하고 크라스노폴, 베레조프, 벨고로드 및 세베르스키 도네츠 강으로 후퇴하기를 강요받았다. 그러나 하르코프 지역에서 소련군을 포위하고 전략적 이니셔티브를 가져간다는 독일 사령부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쿠르스크 전략적 방위 작전
1943년 7월 5일 ─ 23일
중부, 보로네즈 및 스텝 전선군이 수행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스텝 전선 지휘부, 제5 근위. 제27, 제47, 제53 제병협동, 제5 근위 전차 및 제5항공군, 5개 전차 및 1개 기계화 군단, 19개 사단 및 1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오렐-쿠르스크 방면 전선 방위 작전 및 벨고로드-쿠르스크 방면 전선 방위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19일. 전선 폭 ─ 550km. 소련군 퇴각 종심 ─ 12-3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중부 전선 (43년 7월 5일 ─ 7월 11일) |
sd — 41, id — 1, tk — 4, sbr — 5, otbr — 3, UR — 3 |
738000 |
15336 |
18561 |
33897 |
4842 |
보로네즈 전선 (전 기간) |
sd — 35, mk — 1, tk — 4, otbr — 6 |
534700 |
27542 |
46350 |
73892 |
3889 |
스텝 전선 (43년 7월 9일 ─ 7월 23일) |
- |
- |
27452 |
42606 |
70058 |
4670 |
합 |
사단 — 77, tk. mk — 9, 여단 — 14, UR — 3 |
1272700 |
70330 5,5% |
107517 |
177847 |
9360 |
작전 결과. 쿠르스크 전투의 1단계인 쿠르스크 방위 작전은 규모와 강도에 있어 제2차 세계대전 중 가장 거대한 전투 중 하나가 되었다. 방위 전투 간 중부 및 보로네즈 전선군은 독일-파시스트군 타격 집단에 출혈을 내고 공세를 저지하였고 오룔 및 벨고로드-하르코프 방면에서의 역공 전환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창출하였다. 쿠르스크 돌출부의 소련군을 섬멸한다는 히틀러의 계획은 완전히 무너졌다.
오룔 전략적 공세 작전 "쿠투조프"
1943년 7월 12일 ─ 8월 18일
브랸스크, 중부 전선군 및 서부 전선 일부가 실시하였다. 공세 동안 제11 제병협동, 제3 근위, 제4 전차군 지휘부, 1개 기계화 및 1개 기병 군단, 11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부로 볼호프-오룔 및 크로미-오룔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38일. 전선 폭 ─ 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4-5km, 전차 및 기계화 ─ 7-10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서부 전선 |
sd — 19, tk — 2 |
233300 |
25585 |
76856 |
102441 |
4241 |
좌익: -제11 근위군 (43년 7월 12일 ─ 30일) |
otbr — 5, sd — 12, tk — 2, otbr — 4 |
170500 |
12768 |
38513 |
51281 |
2699 |
-제50군 (43년 7월 12일 ─ 8월 18일) |
sd — 7, otbr — 1 |
62800 |
5395 |
17767 |
23162 |
610 |
-제11군 (43년 7월 20일 ─ 8월 18일) |
- |
- |
4979 |
15580 |
20559 |
685 |
-제4 전차군 (43년 7월 20일 ─ 8월 18일) |
- |
- |
2443 |
4996 |
7439 |
248 |
브랸스크 전선 (전 기간) |
ad — 21, tk — 2, sbr — 1, otbr — 1 |
409000 |
39173 |
123234 |
162407 |
4274 |
중부 전선 (전 기간) |
sd — 41, id — 1, tk — 4, sbr — 3, otbr — 4, UR — 3 |
645300 |
47771 |
117271 |
165042 |
4343 |
합 |
사단 — 82, tk — 8, 여단 ─ 14, UR — 3 |
1287600 |
112529 8,7% |
317361 |
429890 |
11313 |
작전 결과. 우회 공세 동안 소련군은 독일 "중부" 집단군에 심대한 피해를 입혔고, 지역 중심 ─ 오룔을 포함한 방대한 지역을 침략자로부터 해방시켰다.
쿠르스크 공세 시작과 함께 적의 오룔 교두보 섬멸과 같이, 소비에트-독일 전선 중부의 상황이 극적으로 변화하였고, 브랸스크 방면으로의 공세 확대와 소련군이 벨로루시 동부 지역으로 진출하는 가망성을 열었다.
벨고로드-하르코프 전략적 공세 작전 "루먄체프"
1943년 8월 3일 ─ 23일
쿠르스크 전투의 마지막 작전. 보로네즈 및 스텝 전선군이 수행하였다. 공세 동안 제4 근위, 제47 및 제57군 지휘부, 전차 및 기계화 군단, 19개 사단 및 2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벨고로드-보고두호프 및 벨고로드-하르코프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21일. 전선 폭 ─ 300-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4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7km, 전차 및 기계화 ─ 10-1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보로네즈 전선 (전 기간) |
sd ─ 28, tk — 8, mk — 2, otbr — 2 |
739400 |
48339 |
108954 |
157293 |
7490 |
스텝 전선 (전 기간) |
sd ─ 22, mk – 1, otbr — 3 |
404600 |
23272 |
75001 |
98273 |
4680 |
합 |
사단 ─ 50, tk, mk — 11, 여단 — 5 |
1144000 |
71611 6,2% |
183955 |
255566 |
12170 |
작전 결과. 공세 간 보로네즈 및 스텝 전선군은 강력한 적의 벨고로드-하르코프 집단을 격멸하였고 하르코프 산업 지구, 벨고로드 및 하르코프 시를 해방하였다. 우크라이나 좌안 해방을 위한 유리한 조건이 창출되었다.
스몰렌스크 전략적 공세 작전 "수보로프"
1943년 8월 7일 ─ 10월 2일
칼리닌 및 서부 전선군이 실시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제2 근위 전차, 제3 근위 기병 군단 및 2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스파스-데먄스크, 옐냐-도로고부즈, 두호프시나-데미도프, 스몰렌스크-로슬라블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57일. 전선 폭 ─ 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00-2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4-5km, 전차 및 기계화 ─ 6-10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칼리닌 전선 (전 기간) |
sd — 26, sbr — 10, otbr — 4, UR — 3 |
428400 |
28106 |
90172 |
118278 |
2075 |
서부 전선 (전 기간) |
sd — 58, kd — 3, mk — 1, sbr — 2, otbr — 10, UR — 2 |
824200 |
79539 |
253649 |
333188 |
5845 |
합 |
사단 — 87, mk — 1, 여단 — 26, UR — 5 |
1252600 |
107645 8,6% |
343821 |
451466 |
7920 |
작전 결과. 우회 공세 동안 칼리닌 및 서부 전선군은 침략자로부터 스몰렌스크 주와 칼리닌 일부, 옐냐, 두호프시나, 로슬라블, 스몰렌스크 시를 해방시켰고 벨로루시 끝단에 진입하였다. 소비에트 군의 신속한 진격은 동부 샤프트의 붕괴를 제공했고 "중부" 집단군 북익을 위협했다. 독일 사령부는 쿠르스크의 소련군에게로의 성공적인 진격을 보장하기 위해 오룔-브랸스크 방면으로부터 추가적인 세력의 재배치를 강요받았다.
돈바스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8월 13일 ─ 9월 22일
남서부 및 남부 전선군이 실시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제11 전차, 제5 근위 기병 군단 및 4개 사단을 지원받았다. 작전의 일환으로 바르벤코보-파블로그라드 및 미우스-마리우폴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41일. 전선 폭 ─ 45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50-300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남서부 전선 (전 기간) |
sd ─ 41, kd ─ 3, mk — 1, tk — 1, sbr — 1 , msbr ─ 1, otbr — 4 |
565200 |
40275 |
117074 |
157349 |
3838 |
남부 전선 (전 기간) |
sd — 30, kd — 3, mk — 2, sbr ─ 1, otbr ─ 4, UR ─ 3 |
446700 |
25891 |
90282 |
116173 |
2833 |
합 |
사단 ─ 77, tk 및 mk — 4, 여단 — 11, UR ─ 3 |
1011900 |
66166 6,5% |
207356 |
273522 |
6671 |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7-8km, 전차 및 기계화 ─ 10-15km.
작전 결과. 공세 전투 동안 남서부 및 남부 전선군은 돈바스를 해방하였고, 자포로제 지역 및 몰로츠나야 강에 도달하였고, 드네프르 우안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국가는 중요한 경제적 기역을 되찾았다. 드네프르, 몰로츠나야 강으로의 소련군의 진출은 우크라이나 우안 남부 지역과 북부 타브리야의 성공적인 공세를 위한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다.
체르니고프-폴타바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8월 26일 ─ 9월 30일
중부, 보로네즈 및 스텝 전선군이 수행하였고 드네프르 전투의 개막을 알렸다. 전투 행위 동안 전선에서 주력 재배치가 이루어졌다. 추가적으로, 제37, 제46 및 제61군 지휘부, 제3 근위 전차군 지휘부, 1개 기계화 및 2개 기병 군단, 14개 사단 및 5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동시에 전선 전투 편제로부터 1개 제병협동 및 2개 전차군이 후퇴하였다. 작전의 일환으로 체르니고프-프리퍄트, 수미-프릴루키 및 폴타바-크레멘축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36일. 전선 폭 ─ 6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50-3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7-8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중부 전선 (전 기간) |
sd — 35, vdd — 3, id — 1, mk — 1, tk — 3, sbr — 3, otbr — 3 |
579600 |
33523 |
107878 |
141401 |
3928 |
보로네즈 전선 (전 기간) |
sd — 42, vd — 5, mk — 2, tk — 7, otbr — 1 |
665500 |
46293 |
131211 |
177504 |
4930 |
스텝 전선 (전 기간) |
sd — 30, mk — 2, tk — 2, otbr — 5 |
336200 |
23141 |
85906 |
109047 |
3029 |
합 |
사단 — 116, tk, mk — 17, 여단 — 12 |
1581300 |
102957 6,5% |
324995 |
427952 |
11887 |
작전 결과. 중부, 보로네즈 및 스텝 전선군의 공세는 적 방어 돌파 이후 추격으로 전환되었고, 우리 군은 드네프르 도달하고 우안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침략자로부터 우크라이나 좌안의 거대한 지역과 주 중심지 ─ 수미, 체르니고프, 폴타바를 포함하는 많은 도시들을 해방시켰다. 우크라이나 좌안에서 장기 방위를 펼친다는 독일 사령부의 계산은 좌절되었다.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의 조건이 준비되었다.
노보로시스크-타만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9월 10일 ─ 10월 9일
카프카즈 전투의 마지막 작전. 북카프카즈 전선군, 흑해함대 및 아조프 소함대가 수행하였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노보로시스크 상륙 및 타만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30일. 전선 폭 ─ 8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5-6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북카프카즈 전선 (전 기간) |
sd — 20, sbr — 5, tbr-2 |
248700 |
13912 |
50323 |
64235 |
2141 |
흑해 함대 및 아조프 소함대 (전 기간) |
- |
68700 |
652 |
623 |
1275 |
43 |
합 |
사단 — 20, 여단 — 7 |
317400 |
14564 4,6% |
50946 |
65510 |
2184 |
작전 결과. 북코카서스 전선군 및 흑해함대는 적 "A" 집단군 제대에 피해를 입히고, 바다와 육지의 타격으로 노보로시스크를 해방시켰고, 케르치 해협 해안에 도달하였고 카프카즈의 해방을 완료하였다. 크림 방위를 보장하던 적 교두보는 와해되었다. 노보로시스크와 타만 반도의 적군 축출은 흑해함대 기지에서 상당히 진척되었고 케르치 해협 횡단과 바다에서 크림의 적 집단 타격을 위한 가망성을 창출하였다.
니주네드네프로프스크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9월 26일 ─ 12월 20일
드네프르 전투의 마지막 작전. 스텝 (제2 우크라이나), 남서부 (제3 우크라이나) 및 남부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실시하였다. 작전의 일환으로 멜리토폴, 자포로제, 퍄티하트키, 즈나멘스코예 및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86일. 전선 폭 ─ 750-8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00-3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2-4km, 기갑 및 기계화 ─ 5-10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스텝 (제2 우크라이나) 전선 (43년 10월 1일 ─ 12월 20일) |
sd — 38, vdd — 4, mk — 1, otbr – 5 |
463500 |
77400 |
226217 |
303617 |
3530 |
남서부 (제3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29, mk — 1, tk — 1, msbr — 1 , otbr — 2 |
461600 |
34821 |
132248 |
167069 |
1943 |
남부 (제4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35, kd — 6, mk — 2, tk — 3, sbr — 4, otbr — 5, UR — 3 |
581300 |
60980 |
222726 |
283706 |
3299 |
합 |
사단 — 112, mk 및 tk — 8, 여단 — 17, UR — 3 |
1506400 |
173201 11,5% |
581191 |
754392 |
8772 |
작전 결과. 제2, 제3 및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적 크림 군 집단에 의해 봉쇄되었던 드네프르 하류의 우크라이나 좌안 해방을 완료하고 드네프르 서안에서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에 지대한 역할을 할 전선 400km 및 종심 100km 의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키예프 전략적 공세 작전
1943년 9월 3일 ─ 13일
키예프의 적 군 집단의 섬멸과 우크라이나 수도의 해방을 위해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수행하였다.
지속기간 ─ 11일. 전선 폭 ─ 320-5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12-14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42, vdd — 3, kd — 3, mk — 1, tk— 5, sbr — 2, otbr — 4 |
671000 |
6491 1,0% |
24078 |
30569 |
2779 |
작전 결과. 전선군은 신속한 공세 동안 우크라이나 수도 ─ 키예프를 를 해방시키고, 드네프르 우안에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을 위한 장기 작전 수행에 주요 역할을 담당할 전선 300km 와 종심 50km 의 전략적 교두보를 형성했다.
드네프르-카르파티아 전략적 공세 작전
(우크라이나 우안 해방)
1943년 12월 24일 ─ 1944년 4월 17일
제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큰 작전 중 하나. 상호관련된 10개 전선 작전의 시간과 방향에 대한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제1, 제2, 제3 및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실시하였다. 마지막 단계에서, 제2 벨로루시 전선군이 참여하였다.
공세 행위 동안 소련군 구성에 제2 벨로루시 전선 지휘부, 제47, 제61, 제70군 지휘부, 제2, 제4, 제6 전차군, 제6 항공군, 6개 전차, 2개 기계화 군단 및 33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지토미르-베르디체프, 키로프그라드, 코르순-셰브첸코프, 로프노-루츠크, 니코폴-크리보이 로그, 프로스쿠로프-체르노비츠, 우만-보토샤니, 베레즈네고바토예-스니기레프카, 폴레스크 및 오데사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116일. 전선 폭 ─ 1300-1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50-4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2-4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62, vdd ─ 1, kd ─ 3, mk — 2, tk ─ 6, otbr ─ 5, UR — 2 |
924300 |
124467 |
331902 |
456369 |
3934 |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52, vdd ─ 7, kd ─ 3, mk ─ 4, tk — 3, otbr — 3 |
594700 |
66059 |
200914 |
266973 |
2301 |
제3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19, tk — 1, otbr — 1 |
336900 |
54997 |
214238 |
269235 |
2321 |
제4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38, kd ─ 3, mk ─ 2, tk — 1, otbr ─ 3, omsbr ─ 1, UR ─ 3 |
550200 |
21914 |
83905 |
105819 |
912 |
제2 벨로루시 전선 (44년 3월 15일 ─ 4월 5일) |
- |
- |
2761 |
8371 |
11132 |
506 |
합 |
사단 — 188, mk 및 tk — 19, 여단 — 13, UR ─ 5 |
2406100 |
270198 11,2% |
839330 |
1109528 |
9565 |
작전 결과. 공세 전선군은 파시스트 독일 동부 전선 남익 전체를 섬멸하였고, 다른 전역의 상황은 급박하게 변화하였다. 독일 사령부는 유럽의 군 집단을 약화시키는, 서부에서 우크라이나 우안으로 34개 사단 및 4개 여단의 재배치를 강요받았다. 소련군은 우크라이나 우안의 방대한 영토를 해방하였고, 폴란드 남부와 체코슬로바키아에 근접하였고, 3월 28일 프루트 강을 건너 루마니아에 진입하였다. 전쟁 간 최초로 전투 행위가 소비에트 연방 국경 외부로 이동하였다.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1월 4일 ─ 3월 1일
레닌그라드, 볼호프 및 제2 발트 전선군 일부가 수행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제3 충격, 제10 근위 및 제22군 지휘부, 30개 사단 및 6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크라스노셀스크-로프샤, 노브고로드-루가, 킨기세프-그도프 및 스타로이 루스-노보르제프스크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48일. 전선 폭 ─ 6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20-28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5-6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레닌그라드 전선, 제23군 제외 (전 기간) |
sd ─ 30, sbr — 3, otbr — 4, UR — 3 |
417600 |
56564 |
170876 |
227440 |
4738 |
볼호프 전선 (44년 1월 14 ─ 2월 15일) |
sd — 22, sbr — 6, otbr — 4, UR — 2 |
260000 |
12011 |
38289 |
50300 |
1524 |
제2 발트 전선 제1충격군 (44년 1월 14일 ─ 2월 10일) |
sd — 5, sbr — 1 |
54900 |
1283 |
3759 |
5042 |
180 |
제2 발트 전선 (44년 2월 10일 ─ 3월 1일) |
- |
- |
6659 |
23051 |
29710 |
1485 |
발트 함대 (전 기간) |
- |
89600 |
169 |
1292 |
1461 |
30 |
합 |
사단 ─ 57, 여단 — 18, UR ─ 5 |
822100 |
76686 9,3% |
237267 |
313953 |
6541 |
작전 결과. 공세 전투 동안 소련군은 독일 "북부"집단군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레닌그라드 봉쇄를 완전히 풀었으며, 침략자들로부터 레닌그라드, 노브고로드 주의 대부분, 칼리닌 주의 큰 부분을 해방시켰고 에스토니아 영토에 진입했다. 소련군의 북서부 방면 공세는 독일 사령부에게서 "북부" 집단군의 겨울 캠페인의 아군에 대한 주요 타격이 진행될 남쪽으로의 사용 가망성을 박탈하였다.
크림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4월 8일 ─ 5월 12일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독립 프리모르스크 군, 흑해함대 및 아조프 소함대가 실시하였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페레코프-세바스토폴 및 케르치-세바스토폴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35일. 전선 폭 ─ 16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00-26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세바스토폴 진출 이전 ─ 20km, 세바스토폴 방어 돌파 ─ 3-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4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18, tk — 1, otbr — 2, UR — 2 |
278400 |
13332 |
50498 |
63830 |
1824 |
독립 프리모르스크 및 제4 항공군 (전 기간) |
sd — 12, sbr — 2, otbr — 1 |
143500 |
4196 |
16305 |
20501 |
586 |
흑해함대 및 아조프 소함대 (전 기간) |
- |
40500 |
226 |
262 |
488 |
14 |
합 |
사단 — 30, tk — 1, 여단 — 5, UR — 2 |
462400 |
17754 3,8% |
67065 |
84819 |
2423 |
작전 결과. 소련군은 페레코프 지협, 케르치 반도, 세바스토폴 지역의 적 계층 방위를 돌파하였고 제17 야전군을 격멸했다. 우크라이나 우안 전선의 행동을 위협하던 최후의 주요 적 교두보가 궤멸되었다. 흑해함대는 <중략>.. 본 기지 ─ 세바스토폴로 복귀하였다.
비보르그-페트로자보드스크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6월 10일 ─ 8월 9일
레닌그라드 전투의 마지막 작전은 레닌그라드 전선 우익 및 카렐 전선 좌익이 발트 함대, 라도가 및 오네가 소함대와의 공조로 실시하였다. 전투 행위 동안 추가 증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작전의 일부로 비보르그 및 스비르-페트로자보드스크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61일. 전선 폭 ─ 28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10-2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2-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카렐 전선 좌익: 제7 및 제32군, 제7 항공군 (44년 6월 21일 ─ 8월 9일) |
sd — 16, sbr — 3, otbr — 2, UR — 2 |
202300 |
16924 |
46679 |
63603 |
1272 |
레닌그라드 전선 우익: 제21 및 제23군, 제13 항공군 (44년 6월 10일 ─ 20일) |
sd — 15, otbr — 1, UR — 2 |
188800 |
6018 |
24011 |
30029 |
2730 |
발트 함대, 라도가 및 오네가 소함대 (전 기간) |
- |
60400 |
732 |
2011 |
2743 |
45 |
합 |
사단 — 31, 여단 — 6, UR — 4 |
451500 |
23674 5,2% |
72701 |
96375 |
4047 |
작전 결과. 소련군은 카렐리야-핀란드 SSR, 레닌그라드 북부 지역을 해방시켰고 핀란드군을 격멸하였다. 성공적인 아군의 작전은 핀란드를 전쟁 밖으로 끌어내리고 소련 극북 및 노르웨이 북부 지역 해방을 위한 조건을 창출하는 등 소비에트-독일 전선 북부 섹터의 상황을 상당히 변화시켰다.
벨로루시 전략적 공세 작전 "바그라티온"
1944년 6월 23일 ─ 8월 29일
제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거대한 전략적 작전 중 하나. 제1 발트, 제3, 제2 및 제1 벨로루시 전선군과 드네프르 소함대가 협동하여 수행하였다. 제1 벨로루시 전선의 일부로 폴란드군 제1군이 활동하였다. 작전 동안 제2 근위 및 제41군 지휘부, 제19 전차 군단 및 24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벨로루시 전략적 작전의 전투 행위 및 완료 임무의 내용은 2단계로 분할되어 있었다. 1단계 (1944년 6월 23일 ─ 7월 4일): 비텝스크-오르샤, 모길레프, 보브루이스크, 폴로츠크 및 민스크 전선 공세 작전. 2단계 (1944년 7월 5일 ─ 8월 29일): 빌뉴스, 샤울랴이, 벨로스톡, 류블린-브레스트, 카우나스 및 오스베츠 전선 공세 작전.
지속기간 ─ 68일. 전선 폭 ─ 11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550-6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1단계 ─ 20-25km, 2단계 ─ 13-14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1 발트 전선 (전 기간) |
sd — 24, tk — 1, sbr — 1, otbr — 4, mekhbr-1, UR — 1 |
359500 |
41248 |
125053 |
166301 |
2446 |
제3 벨로루시 전선 (전 기간) |
sd — 33, kd — 3, mk — 1, tk — 3, otbr — 5, UR — 1 |
579300 |
45117 |
155165 |
200282 |
2945 |
제2 벨로루시 전선 (전 기간) |
sd — 22, otbr — 4, UR — 1 |
319500 |
26315 |
91421 |
117736 |
1731 |
제1 벨로루시 전선 (전 기간) |
sd — 77, kd — 9, mk — 1, tk — 6, sbr — 1, otbr — 2, sabr — 2, UR — 4 |
1071100 |
65779 |
215615 |
281394 |
4138 |
드네프르 소함대 (전 기간) |
- |
2300 |
48 |
54 |
102 |
2 |
합 |
사단 — 168, tk 및 mk — 12, 여단 — 20, UR — 7 |
2331700 |
178507 7,6% |
587308 |
765815 |
11262 |
폴란드군 제1군 |
pd — 4, kbr — 1, otbr — 1 |
79900 |
1533 |
3540 |
5073 |
75 |
작전 결과. 공세 전선군은 가장 강력한 적 세력 집단 중 하나인 "중부" 집단군을 분쇄하였고, 이들이 가진 17개 사단 및 3개 여단을 섬멸, 50개 사단이 구성에 절반 이상의 손실을 입혔다. 벨로루시 SSR 전체, 리투아니아 SSR 및 라트비아 SSR 일부를 해방시켰다. 붉은 군대는 폴란드 영토로 진입했고 동프러시아 경계까지 진격했다. 공세 동안 베레지나, 네만, 비슬라의 물 장애물에 힘입어 서쪽 기슭의 중요한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이는 동프러시아 깊숙한 곳 및 폴란드 중부 지역으로의 타격을 위한 조건을 제공하였다. 전선 안정화를 위해 독일 사령부는 46개 사단과 4개 여단을 다른 소비에트-독일 전선 및 서부 섹터로부터 벨로루시로의 재배치를 강요받았다. 이는 프랑스에서 전투 행위를 수행하는 앵글로-아메리카군의 부담을 상당히 경감시켜주었다.
르보프-산도미에르즈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7월 13일 ─ 8월 29일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수행하였다. 전투 임무 완수와 전투 행위 동안의 특성으로 르보프-산도미에르즈 작전은 2단계로 분할되었다. 1단계 (7월 13일 ─ 27일) 전선군은 적의 방어를 돌파하고, 포위한 뒤, 브로드를 무력화하고, 르보프와 라바-루스카야의 적 집단을 섬멸하고, 르보프, 라바-루스카야, 페레미실, 스타니슬라프 및 기타 시를 해방하였다. 2단계 (7월 28일 ─ 8월 29일) 전선군은 공세를 확대하여 비슬라를 도하하고 산도미에르즈 지역의 서안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작전의 일환으로 르보프, 스타니슬라프 및 산도미에르즈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48일. 전선 폭 ─ 440km. 소련군 진격 종심 ─ 3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방어 돌파 이전까지 ─ 310km, 이후 비슬라까지 ─ 소총병 제대 ─ 17-22km, 전차 및 기계화 ─ 50-6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72, vdd ─ 2, kd ─ 6, mk — 3, tk ─ 7, otbr ─ 4 |
1002200 |
65001 6,5% |
224295 |
289296 |
6027 |
작전 결과. 소련군은 적의 전략적 집단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을 섬령하였고, 침략자들로부터 우크라이나 서쪽 주들과 폴란드 남동부 지방을 해방시켰다. 순차적으로 진행될 실레시안 방면, 폴란드 중부 지방 및 파시스트 독일 국경으로의 공세가 시작되는 비슬라 서안의 큰 교두보를 점령하였다.
야시-키시네프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8월 20일 ─ 29일
제2 및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흑해함대 및 두나이 소함대와의 공조로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제4 근위 기병 군단 (kd-3) 및 2개 소총병 여단이 증원되었다. 작전의 일환으로 야시-포크샤니 및 키시네프-이즈마일 전선 공세 작전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10일. 전선 폭 ─ 5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300-320km. 일 평균 공세 속도: 소총병 제대 ─ 20-25km, 전차 및 기계화 ─ 30-32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46, vdd — 7, kd — 3, mk — 2, tk — 3, otbr — 1, sabr — 1, UR — 2 |
771200 |
7316 |
32669 |
39985 |
3998 |
제3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34, vdd — 1, mk — 1, omsbr — 1, otbr — 1, UR — 1 |
523000 |
5820 |
21126 |
26946 |
2695 |
흑해함대 및 두나이 소함대 (전 기간) |
- |
20000 |
61 |
138 |
199 |
20 |
총 |
사단 — 91, mk 및 tk — 6, 여단 — 4, UR — 3 |
1314200 |
13197 1,0% |
53933 |
67130 |
6713 |
작전 결과. 소련군은 단기간에 "남우크라이나" 집단군 주력을 섬멸하였고, 소비에트-독일 전선에 있던 22개의 독일 및 대다수의 루마니아 사단을 격멸하였다. 몰도바를 해방시키고, 루마니아를 파시스트 블록에서 꺼내고 독일과의 전쟁을 선포하게 하였다. 광대한 전선에서의 적 방위 돌파는 루마니아 심장부, 헝가리 및 불가리아로의 신속한 공세의 가망성을 열어젖혔다.
동카르파티아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9월 8일 ─ 10월 28일
제4 우크라이나 전선 및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좌익군이 슬로바키아 국민 봉기의 도움으로 수행하였다. 작전에는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이 포함되었다. 추가적으로 전투 행위 동안 제4 근위 및 제31 전차 군단, 5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작전의 일환으로 카르파티아-두클라 및 카르파티아-우제고로드 전선 공세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51일. 전선 폭 ─ 4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50-110km. 일 평균 진격 속도 ─ 1-2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제38군, 제2 항공군, 제1 근위 기병 및 제25 전차 군단 (전 기간) |
sd — 9, kd — 3, тк — 1 |
99100 |
13264 |
48750 |
62014 |
1216 |
제4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20, vdd — 1, otbr — 2 |
264000 |
13579 |
50618 |
64197 |
1259 |
합 |
사단 — 33, tk — 1, 여단 — 2 |
363100 |
26843 7,4% |
99368 |
126211 |
2475 |
체코슬로바키아군 제1군단 (전 기간) |
pbr — 2, vdbr — 1, otbr — 1 |
14900 |
1630 |
4069 |
5699 |
112 |
작전 결과. 소련군은 적군의 군 집단 "하인리히" 를 패배시켰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를 해방시키고, 카르파티아 주요 능선을 극복해 체코슬로바키아 영토로 진입하였다. 적의 거대한 세력을 밀어냈고, 소련군은 슬로바키아 국민 봉기를 지원하였다. 독일군은 동쪽에서 점령된 체코슬로바키아를 커버하던 중요한 전략적 경계를 잃어버렸다.
발트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9월 14일 ─ 11월 24일
제1, 제2 및 제3 발트 전선군과 레닌그라드 전선 세력 일부가 발트 함대와의 공조로 수행하였다. 더하여 작전 간 제39군 지휘부, 6개 사단 및 1개 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환으로 리가 및 탈린 전선 공세 작전, 문준드 상륙 및 메멜 작전이 실시되었다.
지속기간 ─ 72일. 전선 폭 ─ 1000km. 소련군 진격 종심 ─ 3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4-5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레닌그라드 전선 제2 충격 및 제8군, 제13 VA (전 기간) |
sd — 16, UR — 3 |
195000 |
6219 |
22557 |
28776 |
400 |
제3 발트 전선 (44년 9월 14일 ─ 10월 10일) |
sd — 35, tk — 1, otbr — 2, UR — 2 |
345500 |
11867 |
43621 |
55488 |
2055 |
제2 발트 전선 (44년 9월 14일 ─ 10월 10일) |
sd — 33, tk — 1, otbr — 3, UR — 1 |
339400 |
15735 |
58000 |
73735 |
1993 |
제1 발트 전선 (44년 9월 14일 ─ 10월 10일) |
sd — 51, mk — 1, tk — 4, otbr — 6 |
621000 |
24188 |
79758 |
103946 |
2809 |
제3 벨로루시 전선 제39군 (44년 10월 1일 ─ 10월 31일) |
- |
- |
3201 |
13154 |
16355 |
528 |
발트 함대 (전 기간) |
- |
45500 |
258 |
1532 |
1790 |
25 |
합 |
사단 — 135, mk, tk — 7, 여단 — 11, UR — 6 |
1546400 |
61468 3,9% |
218622 |
280090 |
3890 |
작전 결과. 소련군은 독일 "북부" 집단군에 막대한 피해를 가했고, 잔존 제대들은 쿠를란드, 메멜 지역 (클라이페다) 에서 깃눌렸고 동프러시아로부터 끊어졌다. 발트가 거의 완전히 해방되었고 동프러시아로의 공세 확대를 위한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었다.
벨그라드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9월 28일 ─ 10월 20일
제3 우크라이나 전선 및 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 세력 일부가 유고슬라비아 및 불라기아군과 함께 수행하였다. 작전에는 두나이 소함대가 포함되었다.
지속기간 ─ 23일. 전선 폭 ─ 400-62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8-9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3 우크라이나 전선 제57군, 제17 VA, 제4 근위 기계화 군단, 제236 sd, 제5 msbr, 제96 otbr (전 기간) |
sd — 10, mk — 1, sbr — 3, otbr — 1, UR — 1 |
200000 |
3242 |
9498 |
12740 |
554 |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제46군, 제5 VA (전 기간) |
sd — 9 |
93500 |
1100 |
4990 |
6090 |
265 |
두나이 소함대 (전 기간) |
- |
6500 |
8 |
- |
8 |
- |
합 |
사단 — 19, mk — 1, 여단 — 4, UR — 1 |
300000 |
4350 1,5% |
14488 |
18838 |
819 |
작전 결과. 소련군은 유고슬라비아 인민해방군과 불가리아 제대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독일 군 집단 "세르비아" 를 섬멸하였다. 수도 벨그라드를 포함한 유고슬라비아 동부 및 북동부 지역을 해방시켰고 부다페스트 공세를 위한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었다. 발간의 적군 전선은 200km 를 이동하였고, 테살로니키-벨그라드의 주요 연결선이 끊어졌다. 이는 독일 사령부에게 발칸 반도 남부의 병력들에 신속한 철수를 강요하였다.
페트사모-키르케네스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10월 7일 ─ 29일
카렐리아 전선군과 북해함대 세력이 수행하였다. 추가적인 병력 증원은 없었다.
지속기간 ─ 23일. 전선 폭 ─ 80km. 소련군 진격 종심 ─ 15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6-7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카렐리야 전선 제14군, 제7 항공군 (전 기간) |
sd — 8, sbr — 5, otbr — 1, UR — 1 |
113200 |
5298 |
13137 |
18435 |
801 |
북해함대 (전 기간) |
- |
20300 |
786 |
2012 |
2798 |
122 |
합 |
사단 — 8, 여단 — 6, UR — 1 |
133500 |
6084 4,6% |
15149 |
21233 |
923 |
작전 결과. 제14군은 북해함대와의 공조로 자폴랴르의 혹독한 기후에서 적에게 피해를 입혔고 무르만스크 주의 점령지 일부, 페트사모 (페첸가) 및 노르웨이 인민들의 독일 침략자들 축출에 대한 도움으로 키르케네스를 포함하는 노르웨이 북부 지역을 해방시켰다. 소련군의 페트사모 및 키르케네스 점령은 북부 통신망과 독일로 니켈 원석을 공출하던 독일 함대의 활동을 강력히 제한하였다.
부다페스트 전략적 공세 작전
1944년 10월 29일 ─ 1945년 2월 13일
제2 및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과 두나이 소함대가 실시하였다.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산하로 제1 및 제4 루마니아군이 배속되었다. 작전 동안 제3 우크라이나 전선 지휘부, 제4 근위군 지휘부, 제26 및 제57군, 제5 항공군 지휘부 및 22개 사단이 증원되었다. 본 작전의 일부로 솔노크-부다페스트, 니레기하자-미슈콜츠, 에스테르곰-코마르노, 세케슈페헤르바르-에스테르곰 전선 공세 작전 및 부다페스트 공격이 수행되었다.
지속기간 ─ 108일. 전선 폭 ─ 420km. 소련군 진격 종심 ─ 250-400km. 일 평균 공세 속도 ─ 2.5-4km.
전투 구성, 인원 및 인명 손실
제대명 및 작전 참가 기간 |
작전 개시 당시 군 전투 구성 및 인원 |
작전 중 인명 손실 (명) |
||||
제대 수 |
인원 |
회복불능 |
위생 |
총 |
일일평균 |
|
제2 우크라이나 전선 (전 기간) |
sd — 39, vdd — 4, kd — 9, mk — 4, tk — 3, sabr — 1, otbr — 1, UR — 2 |
712000 |
35027 |
130156 |
165183 |
1529 |
제3 우크라이나 전선 (44년 12월 12일 ─ 45년 2월 13일) |
- |
- |
44887 |
10900 |
154787 |
2418 |
두나이 소함대 (전 기간) |
해군보병 여단 ─ 1 |
7500 |
112 |
- |
112 |
1 |
합 |
사단 — 52, mk, tk — 7, 여단 — 3, UR — 2 |
719500 |
80026 11,1% |
240056 |
320082 |
2964 |
작전 결과. 제2 및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헝가리 중부 지역 및 수도 ─ 부다페스트를 해방시켰다. 적 집단 18.8만명을 포위하고 섬멸하였다. 독일-헝가리 동맹을 전쟁에서부터 끌어내렸다. 작전 종료와 함께 상당한 수의 병력을 아꼈고 체코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로의 공세 확대를 위한 유리한 조건을 창출하였다.
─
2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이용약관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별도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글/댓글 작성 전 이용약관을 숙지는 의무사항입니다. 규정 미준수에 의한 책임은 온전히 작성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