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마린온 추락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일어나서는 안될 비극이기에 무거운 마음을 가지고 글을 시작합니다.
우선 단순한 사실관계만 나열하겠습니다. 저는 항공사고전문가가 아니며, 항공사고조사는 몇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제가 논할 수 있는 범위가 아니기 때문이죠.
지금 제가 당황하는 점은 내추락/내충돌 성능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출처 - 본인촬영
우선 마린온은 수리온을 베이스로 제작되었기에 수리온과 유사한 내충돌/내추락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UH60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내추락 및 내충돌성능을 가지고 있죠.
출처 - https://youtu.be/VIbvcfPIdkE
또한 홍보영상에서 보는 것 처럼 내추락시험도 실시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충돌사고가 났을 때 많은 사상자가 나온 것이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출처 - https://youtu.be/M38aNvgX7tk
하지만 사고 영상을 보니 주로터가 동체로부터 이탈되면서 동체가 기울어져서 추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내추락 / 내충돌은 착륙장치나 기체하부의 인자가 큰 것으로 알고 있어,
사진처럼 동체가 기울어져서 추락할 경우 목표한 내추락 / 내충돌 성능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여 차량의 전면충돌성능과 측면충돌성능이 다른것처럼요.
또한 추락이후 화재가 난 것에도 상당히 충격을 받았습니다.
출처 - 본인촬영
수리온의 연료탱크도 동체처럼 내추락 및 내충돌 성능이 있으며, MIL-DTL-27422D 규격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이 규격은 65ft의 높이에서 연료탱크를 낙하할 때, 누수가 일어나면 안됩니다. 물론 누수가 없다고 화재가 나지 않는건 아니지만,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네요.
이번 사고가 설계된 내충돌 / 내추락 성능을 초과했는지 혹은 설계된 내충돌 내추락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았는지도 따져야할 겁니다.
물론 이번 사고의 원인도 철저히 조사하여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겠지요.
- |
- 20171021_105400.jpg (File Size:727.4KB/Download:1)
- 포맷변환_2017 수리온 (Surion_KUH-1) 홍보영상.mp4_20180719_232103.857.jpg (File Size:553.8KB/Download:1)
- 포맷변환_2017 수리온 (Surion_KUH-1) 홍보영상.mp4_20180719_232111.919.jpg (File Size:726.5KB/Download:2)
- 포맷변환_2017 수리온 (Surion_KUH-1) 홍보영상.mp4_20180719_232114.564.jpg (File Size:921.0KB/Download:1)
- 포맷변환_2017 수리온 (Surion_KUH-1) 홍보영상.mp4_20180719_232115.968.jpg (File Size:873.0KB/Download:2)
- KakaoTalk_20180726_003857715.png (File Size:1.00MB/Download:3)
- DSC01519.JPG (File Size:924.0KB/Download:2)
내추락성능은 자유낙하 기준인가요 아니면 어느정도 프로펠러가 돌아가면서 양력을 조금이라도 유지할 때 기준인가요?
본문의 실험사진을 보면 자유낙하인거 같습니다
너무 지면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떨어진 게 문제였을까요? 방산비리라면 심각하네요.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이용약관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별도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글/댓글 작성 전 이용약관을 숙지는 의무사항입니다. 규정 미준수에 의한 책임은 온전히 작성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