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도탄 요격한다는 소리는 많이 들어 봤지만 적이 발사한 공대공미사일을 요격한다는 소리는 들어본 바가 없네요.
토마호크같은 공대지는 항공기나 다름이 없어서 요격한다고는 하지만요.
공대공 미사일을 요격할수 있다면 같은 공대공미사일로 막나요?
탄도탄 요격한다는 소리는 많이 들어 봤지만 적이 발사한 공대공미사일을 요격한다는 소리는 들어본 바가 없네요.
토마호크같은 공대지는 항공기나 다름이 없어서 요격한다고는 하지만요.
공대공 미사일을 요격할수 있다면 같은 공대공미사일로 막나요?
번호 | 분류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추천 수 | 조회 수 |
---|---|---|---|---|---|---|
공지 | 주의나 경고 받은후 어물쩍 넘어가려분 들에게 경고합니다. | 운영자 | 18.11.24. | 5 | 8032 | |
공지 | 밀리돔 활동에서 지켜야할 몇가지! | 운영자 | 18.07.26. | 4 | 7362 | |
1165 | 질문 |
KF-X 목업 관련한 질문입니다.
[2] ![]() |
뚝배기 | 19.10.20. | 0 | 370 |
1164 | 질문 | 현대 PDW 가운데 .30카빈탄을 쓰는게 있나요? [7] | 만렙잉여 | 19.10.20. | 0 | 259 |
1163 | 질문 | 이런 유튜브 채널을 발견했습니다 [3] | A_TNT | 19.10.18. | 0 | 427 |
1162 | 질문 | 군용 헬멧에 장착하는 카메라중 실시간으로 영상을 송출하는것이 있나요? [2] | Golbez744 | 19.10.18. | 0 | 209 |
1161 | 질문 | 돌격소총탄을 단순히 에너지(J)만으로 구분하나요? | 만렙잉여 | 19.10.18. | 0 | 157 |
1160 | 질문 | 윈체스터 1907 SL이 쓰는 .35 SL탄이 소총탄인가요? [7] | 만렙잉여 | 19.10.16. | 0 | 234 |
1159 | 질문 |
한국형 단거리 로켓과 북한 분대에 대한 화력 열세에 관한 질문.
[14] ![]() |
뚝배기 | 19.10.03. | 0 | 988 |
1158 | 질문 | k11은 정말로 백지화 된건가요? [13] | 뚝배기 | 19.10.01. | 0 | 999 |
1157 | 질문 | 쪽지 기능하고 비밀 답글은 어떻게 사용하나요? [9] | MTP | 19.09.29. | 0 | 217 |
1156 | 질문 | 우리 군은 대구경방사포에 관심이 없나요? [4] | 순한개 | 19.09.28. | 0 | 565 |
공대공미사일을 요격해야하는건 같은 전투기들이 방어용으로 요격을 해야하는 경우일텐데 요격용 미사일을 따로 탑재하기 위해선 기존 무장을 포기해야 하는것도 있고 기존 방어장비 개량, 그리고 아예 저피탐성을 높이는 쪽이 경제적이라 판단해서 아닐까요
기술적으로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일반적인 비스텔스 순항미사일을 요격하는 기술 보다는 어려울 것입니다. 우선 피요격체의 크기가 작고, 이에 따라 RCS도 작으며, 일반적으로 속도도 빠르며, 운동성능도 더 좋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무엇 보다 중요한건, 공대공 미사일을 요격해야하는 주체가 비행 중인 항공기일 경우가 많을텐데, 폭격기나 조기 경보기 같이 대형 항공기가 아니고선, 이런 공대공 미사일 요격 시스템을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전투기의 경우, 자신을 조준하며 날아오는 미사일을 회피하면서 소프트킬(플레어나 디코이로 속이는 것)로 대처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회피와 속임을 지향하는 소프트킬과 맞서서 격추시켜 버리는 하드킬은 그 지향점이 다르기 때문에(반대 방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공중에서 운용되는 공대공 미사일 요격 체계는 잘 없다고 보여집니다. 덧붙여 공간이 충분한 대형 항공기의 경우, 폭격기는 이미 제공권이 확보되어 적대공미사일이나 요격기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에서 임무를 수행하거나, 이들 요격수단의 사정거리나 활동반경 밖에서 공격을 하게 발전 되었습니다. 스텔스 폭격기는 상대로부터 탐지되지 않은 상태로 몰래 들어갔다가 몰래 나오게 개발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하드킬에 대한 요구가 거의 없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조기경보기는 후방에서 작전하기에 공대공 미사일에 의해 요격되는 경우가 적었습니다. 결국 이런 대형 기종도 소프트킬 방식으로 방어를 해왔기에 하드킬의 수요가 적었습니다.
냉전 시절, 레오파드 1은 경쾌한 기동성과 가벼운 무게로 적전차의 포탄을 회피하는 것이 목표였다면, 치프텐과 패튼은 느리지만, 두꺼운 장갑으로 적포탄을 막거나 튕겨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공대공 미사일에 대한 대처도 이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레이저 병기가 발전하면 다가오는 미사일의 시커를 노리는 방법으로 가능하겠네요. 공대공 미사일로 공대공 미사일을 요격하는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JAQ님의 질문에 MBDA가 파리에어쇼에서 미래의 비전을 내놨네요.
https://www.mbda-systems.com/press-releases/mbda-unveils-its-vision-of-future-air-systems/?fbclid=IwAR1lhkCOYx4Pg3UUKGltuVgXOWDfNfsplw2aiW4RiTgH0iyrzAVh9OwVoJc
강조하지만, 미래의 비전입니다.
챙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이용약관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별도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글/댓글 작성 전 이용약관을 숙지는 의무사항입니다. 규정 미준수에 의한 책임은 온전히 작성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