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군단직할 제1,5포병여단이 왜 포병'여단'인가요?

갑자기 포병에 대해 궁금해저서 이래저래 포병에 대해 기웃거리다가 국군 군단 직할 포병들에 대해 찾아보게 됐습니다. 그런데 편제를 보니 제1,5포병여단의 경우 러시아의 포병사단이 바로 떠오르더군요 규모가 포병사단급인데도 포병'여단'이라는 이름을 고수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댓글 8
댓글 쓰기

하시는 말씀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우선 저는 군단직할 포병여단 그 중에서도 1, 5포병여단만을 가리켜 물었습니다. 그 포병단이라는 것이 기계화사단의 포병여단이나 보병사단의 포병연대급와 동급또는 그 이상이기때문이지요 그러니까 군단직할 포병여단중 1, 5 포병여단의 경우 러시아의 포병사단급인데 포병'여단'이라는 이름과 소장이 아닌 준장이 지휘관을 맡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물은겁니다.

그 부대들이 막고 있는 길목 밑에 어떤 도시들이 있는지, 협조하는 군단 예하 사단들이 어디인지 보시면(...)
과연 말이 여단이지 포병대대 편성 규모에서 사단급 이상이군요

합참의 군사용어사전에서 사단의 정의를 찾아보시면 금방 답이 나올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합참에서의 사단과 러시아 쪽의 사단의 정의의 차이이대해서도 알 수 있을까요?
일반 포병 연대급 이상의 4개의 단으로 편성된 여단이라 편성 규모 면에서는 사단급이나 사단급에 응당 편성되어야할 직할대가 미미해 보입니다
군단 직할대가 있어 굳이 따로 직할대를 편성할 필요가 없겠고
군단직할에서 독립을 한다면 직할대를 따로 편성하여 사단으로 승격할수도 있겠죠

http://www.jcs.mil.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1157&siteId=jcs&menuUIType=sub
국군에서 사단이라 함은 "독립작전이 가능한 최소단위 제병협동부대"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포병부대는 제병협동부대도 아니고 자체수단으로써 독립된 전술작전을 수행할 수도 없죠. 따라서 예하 대대가 얼마나 많든 포병사단이라는 편제는 있을 수가 없습니다.
기보사단 포병여단이 말이 여단이지 연대급 부대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연대급 부대 2,3개 모였다고 사단으로 개칭하기엔 단이라는 단대도 있지요. 거기다 군단포병여단은 부대장은 준장 아닙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