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주제로 글을 올리는 곳입니다. (단, 이용약관 필독)
뉴스

수정]방위사업청 서포터즈가 공개한 LAH의 최근 소식

unmp07 unmp07 2694

0

54

출처는 http://blog.naver.com/dapapr/220864665348 입니다.

 

우선 LCH는 착륙장치는 접이식이지만 LAH는 고정식으로 설치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또한 계기판에는 대형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사진이 보입니다.

 

LAH의 CG를 자세히보면 TADS의 위치가 또 다시 바뀐 점도 보이네요.

 

마지막으로 LAH의 방탄좌석도 보이네요.

 

KAI측은 LAH가 저가격 고효율을 목표로 하고 있어 수리온을 보는 시선으로 LAH를 보면 부족해보일거라는 것도 알고 있다는 점도 언급하는게흥미롭네요.

 

---------------------------------------

글을 수정하기전에는 전문공격헬기의 모든 부분이 방탄된다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01.PNG

 

02.PNG

 

출처 - TM 1-1520-238-10, HELICOPTER, ATTACK, AH-64A APACHE

 

아파치공격헬기조차 일부구역이 방탄처리되었고 조종석좌석도 방탄처리하네요.

 

헬기동체자체를 모두 방탄처리한다고 알고 있던 내용이 잘못되어 이를 수정합니다.

 

또한 LAH의 방탄능력은 공개되기전까지 판단하기 어렵겠네요.

 

그러나 유상하중문제로 방탄능력이 제한될 가능성은 있어보입니다.

신고
54




    


????? 2016.11.18. 17:21

ah-1s 수준의 방탄을 기대하는건 무리겠죠..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17:24
?????

제가 AH-1의 정확한 방탄성능을 알지는 못하지만...

 

LAH가 AH-1을 대체하는만큼 이 녀석수준의 방탄성능을 갖췄으면해서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19:00
?????

자료를 찾아보니 AH-1S가 그렇게 방탄성능이 좋은편이 아니네요.

 

ah1z에 가서야 12.7mm에 대해 방탄성능을 가지게되고 그 이전버전들은 이보다 못했다고 하니...AH-1S의 방탄성능보단 못하진 않겠네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19:23
?????

The AH-1 incorporated a number of design features to provide a high degree of ballistic tolerance to the most widely encountered threat of the time (the .30cal/7.62mm bullet) [Ref. 4].

 

출처 - https://dspace-erf.nlr.nl/xmlui/bitstream/handle/20.500.11881/338/p017.pdf?sequence=1

 

으음....겨우 30구경 화기에만 내탄성능을 가지고 있네요.

 

즉, AH-1S가 겨우 7.62mm급 화기에만 내탄성능을 가지고 있는지라 LAH가 이보다 낮은 성능을 가지진 않을 것 같네요.

????? 2016.11.18. 21:37
unmp07

조종석뿐만이 아니라 연료탱크, 엔진과 같은 주요부분 방탄 혹은 내탄까지 고려해야되는 상황에다 무장, 생존장비 무게까지 고려하면 가능할까 의문입니다.

그나마, 다행인지 불행인지 요구하는 무장이 대전차미사일이 2 x2 라... 아파치 처럼 PNVS도 있었으면 하지만 개인적인 희망이니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9. 09:36
?????

SAM_4348.JPG

 

 

LAH도 TADS가 있어 아파치헬기의 에로우헤드역할을 합니다.

????? 2016.11.19. 11:24
unmp07
Arrowhead 처럼 TADS는 사수 머리시야연동, PVNS는 조종사 머리시야연동되어서 따로 움직이면서 악천후/야간 작전시 생각했습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9. 11:37
?????

아 그 의미로 하신말씀이군요. 저는 LAH에 TADS가 없다는 것으로 착각하시는줄알고 사진을 올렸습니다;;;;

profile image
척키스 2016.11.21. 17:36
unmp07

불행이도 좌석과 엔진 보호용 방탄판의 성능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연료시스템은 .50 Cal 까지 버티는게 가능한듯 합니다.

 

2-11. SEATS.


a. Construction. The seats, side-shoulder panels, and head protective panels are of armor material which provides protection. Both seats are equipped with contoured seat cushions and back supports made of foam and open mesh for vibration attenuation and crew comfort.

 

2-18. ENGINE PROTECTION.

 

Armor material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engine compartment doors to provide armor protection for the engine compressor, fuel control, oil filter, and fuel filter.

 

2-27. FUEL SUPPLY SYSTEM.


The helicopter is equipped with a crashworthy fuel system. The system is designed with the potential of containing fuel during a severe, but survivable, crash impact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fire. The system has a 50 caliber ballistic protection level. Fuel grades and specifications are included in Section XIV.

 

출처 TM 1-1520-236-10 TECHNICAL MANUAL OPERATORS MANUAL FOR ARMY MODEL AH-1F ATTACK HELICOPTER.

정맞은모난돌 2016.11.18. 17:38
개인적으로 LAH에는 목업 때처럼 스키드식 착륙장치를 적용했으면 합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18:13
정맞은모난돌

스키드가 아니라 고정식이 좀 더 낫지않나요?

 

스키드보다 고정식이 충격흡수를 더 잘할것같아서요.

정맞은모난돌 2016.11.18. 20:48
unmp07
LAH가 중량이 큰 대형헬기도 아니고 사단 항공대에서 굴린다는 놈이니 거친 야전의 간이 이착륙장에서 운용하기에는 정비소요가 조금이라도 적고 단순한 형태가 좋을 것 같아서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21. 18:23
정맞은모난돌

오히려 스키드형태보다 고정식 착륙장치가 충격흡수를 더 잘해 간이 이착륙장이나 기울어진 곳에 더 잘 착륙할 수 있죠.

 

정비소요야....더 좋은 장비를 쓰니 그 정도는 감수해야할것같고요.

물늑대 2016.11.18. 18:29

수리온 눈높이보다도 낮다면 도대체 뭐가 나올려고 저럴까요? ㅠ.ㅠ

profile image
Baccine 2016.11.18. 18:31

형상은 저게 최종형상인 건가요??

컴뱃메딕 2016.11.18. 18:32
Baccine
기관포만 3총신으로 바꾸면 크게 안바뀔듯 합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18:36
Baccine

확정된 최종형상은 아니겠지만

 

저기서 큰 변화는 없을겁니다.

hotae12 2016.11.18. 20:03

KAI쪽에선 이 물건을 대당 얼마정도로 예측하는 지 알려진게 있나요?

비토 2016.11.18. 20:32
그림을 한참 봤는데도 눈이 나쁜건지 상상력이 없는건지 TADS 가 어떤 형식으로 달리는 건지 그림이 안 그려지네요. ㅠㅠ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20:47
비토

mh-60r-sea-hawk_003-ts600.jpg

 

출처 - http://images04.military.com/media/equipment/military-aircraft/mh-60r-sea-hawk/mh-60r-sea-hawk_003-ts600.jpg

 

제가 봤을때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달려있는것같네요

비토 2016.11.18. 20:50
unmp07
아 그런가요. 근데 저런 형태면 기총과 간섭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네요.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8. 21:32
비토

제가 LAH를 설계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시뮬레이션을 돌려서 그런 문제를 미리 잡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yukim 2016.11.18. 21:36
비토

battlefield-4-ah-1z-viper-real-life-1.jpg

 

http://www.bfcentral.net/bf4/wp-content/uploads/2013/05/battlefield-4-ah-1z-viper-real-life.jpg

뭐..이분도 처지는 비슷하니..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07:48
비토

오랜만에 댓글을 달아보는데...

제 생각으론 대잠형 링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장착할 거라고 봅니다.

LAH 예상도에도 비슷하게 배치를 해 놓았죠.

 

http://www.ukserials.com/flynx/images/scmr_07.jpg

비토 2016.11.21. 16:14
무지막지
제가 헷갈리는게 이겁니다. 위의 호크처럼 거꾸로 메어 달린건지, 아니면 링크해주신 링스처럼 올려져 있는건지. 메어 달린 경우 하방 시계는 좋을 거 같은데 기총과 간섭이 우려되고, 올려진 경우는 간섭은 없겠지만 하방 시계가 안 좋을것 같아서요.
비토 2016.11.21. 16:26
비토
CG만 봐서는 메어 달리는 형태인 듯 합니다.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18:28
비토

작년 ADEX 2015 에서 전시된 모형입니다.

http://www.janes.com/images/assets/398/55398/1643117_-_main.jpg

비토 2016.11.21. 19:15
무지막지
이 사진은 저도 봤고, 기존 다른 CG나 모형들도 다 링크해주신 것과 유사했는데 원글의 블로그에서 보이는 CG는 기존과 다른듯 합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9. 11:36
필라델피아

14년에는 KAI측도 ROC가 4발이 아니라 그 이상이면 좋겠다고 언급을 했는데...정작 16년 DX코리아에서 한화측이 유상하중문제로 8발을 달기 어렵다고 말해 저도 꽤 혼란을 느끼고 있습니다.

eceshim 2016.11.19. 14:18
unmp07

우리가 만드는 천검 미사일이 spike ER이랑 거이 똑같은데요. 

라파엘사 카달로그를 보면 런쳐 포함 4발 무게가 187kg 이고

록히드 마틴사 카달로그에 나온 헬파이어 미사일은 4발 런쳐 포함 245kg 정도 됩니다. 

 

제가 알기론 ROC 4발이 헬파이어 미사일 기준으로 알고 있는데 spike ER 기준이면 빡빡하지만 어떻해든 8발 달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eceshim 2016.11.19. 14:12

유상하중 문제가 의문인게

엔진출력만 놓고보면 AH-1S보다 더 높은데 유상하중이 적다구요?

자중 자체가 많이 나가는가 보네요. 

 

그리고 방탄문제는 수송헬기에서 기총이랑 스터브윙 단 수준의 개발이라 설계자체가 공격헬기 만큼의 능력을 기대하는건 무리죠 ㅇㅅㅇa

특히 저 헬기 시장은 레드오션이라 팔려봐야 군용으로 대부분 팔릴건데 차라리 제일 돈 많이 먹는 구동계만 공유하고 제대로 만드는게 낫지 않나 싶은 생각도 들지만

 

쩝............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9. 14:26
eceshim

그게.....엔진출력자체는 AH-1S보다 높지만, LAH의 원형이되는 H155의 공허중량이 코브라랑 거의 동일합니다. 또한 LCH를 LAH로 고치는격인지라 항전이라던지 생존장비, 방탄장비, 무장 등 여러 장비가 추가될거니 필연적으로 무거워질거고요.

eceshim 2016.11.19. 14:30
unmp07

images.jpg

https://encrypted-tbn2.gstatic.com/images?q=tbn:ANd9GcQclEKh88kjCuDntRZXdgd8qiw_mSKUkG3HtEmw9afWkKMRMc7wdQ

 

정맞은모난돌 2016.11.19. 15:32
unmp07
민항기의 승객용 안전/편의 시설이 몽땅 빠질테니 어느정도는 상쇄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19. 21:21
정맞은모난돌

제 기억이 가물가물거리는데....민항기는 정말로 깡통을 기준으로 중량을 측정해서 안전 편의시설을 뺄 녀석도 몇없고 뺀다고해도 중량감소효과가 크지 않을 것 같네요.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08:42
eceshim

민간기체는 항전장비들은 없습니다만 그대신 편의성을 위한 시설들이 많이 적용되서 자중이 그렇기도 하고... 전투용으로 생산 된다면 그런 것들은 설치 되지도 않을 것 입니다.

일단 메인로터가 5엽 입니다. 더불어 페넥스트론 테일로터 시스템이 일반 테일로터 보다 복잡하고 무겁습니다.

반면에 로터의 직경이 작고 불레이드의 크기도 작습니다. 그 덕에 진동과 소음이 훨씬 작습니다. 

 

공격 전용기체의 개발은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 중국도 Z-19를 내어놓기 전에 엄청 많은 Z-9 개량기체들을 테스트 했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무장헬기부터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야드버드 2016.11.20. 07:05
LAH는 단발형 코브라와 비교하면 엔진 출력자체는 동급이라고 하지만 근본적으로 수송용의 볼륨이 있는 동체를 그대로 가져가기에 기체 중량에서 핸디캡이 있죠. 반면 코브라는 군더더기없이 날씬한 동체이구요..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08:18
야드버드

개인적인 판단 입니다만...

기동성은 H-155가 코브라 보다 한수 위라고 봅니다. 

완전무장을 했다면 예기가 또 달라질 수도 있겠습니다만...

우선 엔진출력이 (2기 합쳐) 기존의 1900 HPS에서 2100HPS 정도로 업그레이드 된다고 보면 LAH형 H155 출력이 코브라 보다 월등히 높아 집니다.

더불어 5엽의 메인로터는 2엽 로터의 코브라 보다 직경이 1M 작으면서도 소음도 적고 진동도 적어 훨씬 안정된 비행이 가능 합니다.

그리고 짧은 길이는 기체의 기동성에 유리하죠. 가속능력도 훨씬 났습니다.

그리고 너무 출력이 높아지면 트랜스밋션이 완전히 새로 개발 되어야 하는 문제도 발생 합니다.

솔직히 후보기종 중 저만한 스펙을 가진 기체도 없죠.

야드버드 2016.11.21. 09:55
무지막지

엔진과 트랜스미션, 로터 블레이드, 기체 중량,  항력 등 성능을 종합적으로 따져봐야 하겠지만  일단 비슷한 출력과 연비일 경우 쌍발이 구조적으로 더 복잡하죠. 즉 엔진만 놓고보자면  쌍발이 단발보다는 더 무거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동일한 출력일 경우 1개 장착하는 것보다는 2개 장착하는 것이 아무래도 중량측면에서는 불리합니다. 부품 수도 늘어나고.. 그래서  단순히 엔진의 출력만 가지고는 비교하기가 어렵지 않나 생각하네요. 그리고 기체의 형상도 단발 코브라는 날씬하고 좀 더 가벼워 보이고 LAH는 그렇지 않죠.

정맞은모난돌 2016.11.21. 10:06
야드버드
피탄을 고려 탠덤형으로 설계된 코브라에 비할 바는 아니겠지만 H155도 민수형으로 연비등을 고려한 나름 최적의 공기역학적 설계가 들어간 것으로 압니다.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10:52
야드버드

그래서 자중 이라는 데이타 정보가 있는 것 이겠죠.

그것과 출력이 상관관계를 갖게되는 거죠.

그래서 UH-1의 계보상에 있는 코브라 보다 LAH 가 자중대비 출력의 여유로 인해 기동성이 더 낮다고 보는 겁니다. 

참고로  H-155 엔진 두개가 코브라 엔진 한개보다 100 Kg 더 가볍습니다. ^^

 

야드버드 2016.11.21. 11:24
무지막지

AH-1S의 임무중량은 모르겠는데 에어버스 홈피에 보면 H-155의 Useful Load는 5천 파운드가 약간 넘는 것으로 나오네요. 원 기체의 비행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려면 이걸 가지고 LAH로 개조하면서 방탄장비, 사통, 생존 등 각종 전자장비, 20밀리 터렛 기관포 및 탄약, 연료, 공대지 미사일에 사용해야 하는데 H-155 원형만 가지고 비교하기는 어렵지 않을까요?

profile image
무지막지 2016.11.21. 13:39
야드버드

물론 원형기체 데이터만 가지고는 비교가 불가능 합니다만...

50년전에 개발되어 적용된 전투장비들이 현재의 신형장비들과 비교했을때 무게와 성능이 같다고 볼 순 없습니다. 

그리고 경공격 헬기에 중공격 헬기에 버금가는 장비를 탑재한다는 것도 넌센스라고 봅니다. 

 

일단 두 기체를 놓고 더하기 빼기를 해 보자면....

AH-1S 자중은 2,993 kg  최대 이륙중량은 4,500 kg 으로 위키에 나옵니다.

그렇다면 탑재능력은 최대 1,507 kg 이 되겠죠. 실제로는 저렇게 무장을 탑재하지 못합니다만...

아무튼 코브라의 무장능력이 최대 1,500 kg 정도가 되겠죠.

여기에 H-155를 비교해 보면 

자중이 2,618 kg이고 최대 이륙중량이 4,920 kg 이니 가능한 탑재량은 2,300 kg이 됩니다.

코브라와 동일하게 1,500 kg의 탑재량을 적용 한다면 800 kg의 여유가 생깁니다. 

그런데 여기에 출력을 1~200 HPS 올린 엔진 2L2 를 적용 한다면 추정 가능한 탑재량은 2,500~2,800 kg 가까이 올라가게 됩니다. 

여기에 추가되는 항전장비들이 1,000 kg이 넘을 거라곤 생각지 않습니다만 1,000 kg 의 항전장비들을 추가 한다고 해도 같거나 300 kg 의 여유가 생기게 됩니다. 

여기에 원래의 기체가 갖고있는 기동성을 고려한다면 저는 H-155 가 나쁜 선택이 아니였다고 봅니다. 

적어도 중국의 Z-9 보다는 월등히 우수한 기체를 확보한 것 이니까요.

야드버드 2016.11.21. 15:41
무지막지

코브라 시리즈의 원형기체(AH-1G)와 H-155의 원형기체(AS-365 Dauphin)는 등장한지 10여년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AS-365는 1975년인가 처음 날랐고 AH-1G는 1965년에 날랐죠. 물론 코브라의 원류를 UH-1까지 거슬러 가면 좀 더 된다고 볼수는 있지만요...

정맞은모난돌 2016.11.21. 16:19
야드버드
내부에 들어갈 장비의 무게를 이야기 하는데 원형기 초도비행년도를 굳이 알 필요는 없죠. 지금 말하는 요지는 AH-1S/F에 들어가있는 항전이 옛날 기술로 만들어진 것이고 새로 만드는 LAH에 통합될 항전은 같은 성능이라면 옛날 기술로 만든 항전의 무게보다 가벼울 것이라고 하는 내용이니까요. 단지 우리가 갖고 있는 AH-1S/F 버전에 들어간 항전이 50년전 기술은 아니죠.
야드버드 2016.11.22. 08:23
정맞은모난돌

80년대 이후  도입한  AH-1S/F 코브라가 50년전에 개발된 전투장비를 달고 다닌다고 해서 코브라와 H-155의 원형기체를 비교하는것인줄 알았습니다.  물론 M-197 기총은 50년 가까이 된 것은 맞습니다..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21. 16:44
무지막지

LAH가 소형'무장헬기'임에도 저는 공격헬기로 보는 이유가 LAH가 코브라도 대체하기 때문이죠.

 

LAH가 소형무장헬기중에는 세계최고의 성능을 가지게 될 것이라는건 알지만...전문적 공격헬기로는 모자란 점이 보여 이를 비판했던겁니다.

 

저도 H155가 후보기체 중 최고의 선택이었다고 보고 중국의 Z-9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2022년 이후에 등장하고 몇십년은 쓸 것이라 이보다 조금 더 고성능이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있기에 이 글을 쓴 것이죠.

 

그런데 2L2엔진의 출력이 1~200HPS가 오르신다고 적으셨는데 혹시 관련 자료가 있으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2L2엔진의 출력관련 자료를 구하지 못해 고생하고 있어서요.

profile image
척키스 2016.11.21. 17:24
unmp07

Arriel 2L2 엔진은 실물이 아직 안 나온 물건이라 기반이되는 Arriel 2N 엔진 스펙을 가지고 추정하는게 최선 아닐까 싶네요.

 

한불상공회의소의 Arriel 2L2 계약에 관한 내용.

http://www.fkcci.com/ko/single-news/n/safran-selected-as-engine-supplier-for-south-korean-lch-and-lah-helicopters/

 

같은 내용의 플라이트 글로벌 기사.

https://www.flightglobal.com/news/articles/safran-to-provide-engines-for-new-korean-helicopter-426114/

 

Safran 사의 Arriel 2N 엔진 설명.

http://www.safran-helicopter-engines.com/helicopter-engines/lower-1000-shp/arriel/arriel-2n

profile image
unmp07 글쓴이 2016.11.21. 17:45
척키스

으음....결국 2L2엔진의 성능이 나와봐야지 정확하게 알 수 있겠군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공지 2023년 하반기 개편 안내 (레벨 시스템 추가) 9 Mi_Dork 23.07.13.09:07 +1 6947
공지 밀리돔 후원 요청 (2023-06-23) 28 운영자 14.01.24.20:42 +13 41956
287 뉴스
normal
unmp07 16.12.06.19:42 0 830
286 뉴스
image
unmp07 16.12.06.13:32 0 5536
285 뉴스
normal
루프트바페 16.12.05.17:48 0 1740
284 뉴스
image
yukim 16.11.23.18:37 0 1835
283 뉴스
image
unmp07 16.11.21.18:40 0 1986
뉴스
image
unmp07 16.11.18.16:04 0 2694
281 뉴스
image
unmp07 16.11.17.08:49 +1 2729
280 뉴스
image
unmp07 16.11.15.08:30 0 2453
279 뉴스
normal
필라델피아 16.11.07.14:19 0 1537
278 뉴스
file
unmp07 16.11.04.04:40 0 2165
277 뉴스
image
개물고기 16.10.31.00:02 0 1446
276 뉴스
normal
unmp07 16.10.28.22:05 0 2805
275 뉴스
image
yukim 16.10.24.18:16 0 1818
274 뉴스
image
달려라두돈반 16.10.24.15:01 0 1461
273 뉴스
normal
Gascan 16.10.21.17:28 +2 457
272 뉴스
normal
제너럴마스터 16.10.21.09:12 0 1017
271 뉴스
normal
제너럴마스터 16.10.19.20:20 0 989
270 뉴스
normal
hotae12 16.10.17.22:56 +1 546
269 뉴스
image
스피릿(밀리초보) 16.10.13.17:18 +1 541
268 뉴스
normal
폴라리스 16.10.12.20:59 0 507

밀리돔 | milidom 의 저작물은 다음의 사이트 이용 약관 에 의거해 이용 가능합니다.
이 라이선스의 범위 이외의 이용허락은 운영진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